||<-2>
{{{#!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5px; margin-bottom:+5px" [[파일:burial.png|width=130]]}}} || ||<-2>{{{#!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5px; margin-bottom:-5px" [[파일:0027053256_10.jpg|width=100%]]}}} || || '''{{{#white 본명}}}''' ||윌리암 엠마누엘 베번[br]William Emmanuel Bevan|| ||<|2> '''{{{#white 출생}}}''' ||[[1979년]] [[8월]] ([age(1979-08-01)]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8]] [[잉글랜드]] 사우스런던|| || '''{{{#white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 '''{{{#white 직업}}}''' ||[[프로듀서]], [[DJ]]|| || '''{{{#white 활동 기간}}}''' ||[[2001년]] - [[현재]]|| || '''{{{#white 장르}}}''' ||[[덥스텝]], [[UK 개러지]], [[앰비언트]]|| || '''{{{#white 소속}}}''' ||Hyperdub|| || '''{{{#white 링크}}}''' ||[[https://burial.bandcamp.com/|[[파일:Bandcamp 아이콘.svg|width=20]]]] [[https://m.soundcloud.com/burial|[[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잉글랜드 출신의 [[DJ]], [[프로듀서]]. [[2000년대]] 초반에 실험적인 장르였던 극초창기의 [[덥스텝]]에 [[브레이크비트]], [[투스텝]], [[UK 개러지]], [[정글]] 등을 넣어 재해석해 영국형 [[덥스텝]]이라는 장르를 처음으로 만들어 낸 인물이다.[* [[Skream]]은 이렇게 탄생한 영국형 덥스텝에 멜로디와 훅을 넣는 재해석으로 미국형 덥스텝을 만들어내었다.] == 특징 == >21세기 초에 가장 칭송받고, 영향력 있고, 수수께끼 같은 일렉트로닉 뮤지션 중 한 사람. >---- >[[AllMusic]] [[https://www.allmusic.com/artist/burial-mn0000643682|#]] >왜 Burial의 'Untrue'는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일렉트로닉 앨범인가? >---- >[[피치포크]], 2017년 [[https://pitchfork.com/features/article/why-burials-untrue-is-the-most-important-electronic-album-of-the-century-so-far/|#]] 특유의 어두운 음색과 치밀한 박자 구성, 그리고 장르를 넘나드는 다양한 효과음과 보컬 샘플링을 완벽하게 프로듀싱하는 능력을 통해 단 2개의 앨범 발표만으로 [[개러지]]와 [[덥스텝]] 씬을 완전히 뒤흔들었던 뮤지션이다. 어둡고 우울하며 침울하게까지 느껴지는 분위기의 코드로 이루어진 멜로디에 투스텝 비트와 묘한 분위기의 보컬 샘플들이 곁들이는 음악을 만드며, 특히나 샘플링 프로듀싱 능력이 매우 뛰어난데 자유자재로 보컬 샘플의 피치를 올리고 내리는 윌리엄 특유의 프로듀싱이 어두운 음악과 완벽하게 어울리는 평가를 받고 있다. 리버브와 가끔 페이저를 물 먹인 드럼 샘플들을 스킵 비트로 흐르게 하면서 보컬 샘플들도 늘이거나 줄여져서 피치-시프팅등의 여러 이펙트들로 조정한다. 곡 작업은 거의 대부분이 사운드 편집 프로그램 Soundforge, Audacity를 사용하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시퀀서나 Renoise 등의 트랙커를 최대한 멀리 한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 사운드포지가 [[골드웨이브]]와 동급으로 비견될 정도로 오래된 사운드 편집 프로그램이라는 걸 감안한다면 복잡하고 기교가 들어간 보컬 샘플들을 완벽하게 프로듀싱했다는 점에서 그의 천재성이 잘 보여준다. 신상 정보와 얼굴 공개를 극도로 꺼리는 뮤지션으로 인터뷰조차 거의 응하지 않아, 인터넷에 그의 모습으로 알려진 사진도 타 뮤지션에 비해 매우 적은 편이다. 2번째 정규앨범 발표 전까지는 아무런 신상도 알려진게 없었으나 2집 앨범인 [[Untrue]] 앨범의 대성공으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415972|인터뷰]]를 제공한 것을 시작으로 발매 1년 후인 [[2008년]]에 들어서야 [[인디펜던트]]지에서 얼굴과 함께 어느 정도의 신원이 밝혀지게 되었는데 [[포 텟|Four Tet]], [[Hot Chip]]등의 뮤지션들이 다녔던 런던의 엘리엇 스쿨 출신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정체가 밝혀지기 전까지는 [[Fatboy Slim]] 아니면 [[에이펙스 트윈]]의 다른 명의일 것이라는 예측도 있을 정도로 수수께끼에 쌓인 뮤지션이었다. == 활동 == [[2006년]]에 발표만 1집과 1년 뒤인 [[2007년]]에 발표한 2집 앨범만으로 [[일렉트로니카]] 음악에 돌풍을 일으킨 인물로 두 앨범 모두 엄청난 극찬을 받았댜. 2006년에 1집이자 셀프 타이틀인 앨범 Burial을 역시 초창기 덥스텝 DJ였던 Kode9이 세운 레이블 Hyperdub에서 발매하며 그의 음악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Burial 앨범은 잡지 The Wire에서 올해의 앨범으로 선정되었고, 평론가들이 혁명적 앨범이라고 칭찬하는 등 꽤 성공을 거뒀지만.... 2007년에 발매된 2집 [[Untrue]]은 전작을 뛰어넘어 인디 씬에서 대히트를 치며 덥스텝 장르를 대표하는 앨범이 되어버렸다. [[2006년]]에 발표만 1집과 1년 뒤인 [[2007년]]에 발표한 2집 앨범만으로 [[일렉트로니카]] 음악에 돌풍을 일으킨 인물로 두 앨범 모두 엄청난 극찬을 받았으며, 특히 2집 앨범 Untrue는 발표 직후 불호를 아예 찾아 볼 수가 없을 정도로 압도적한 찬사를 받아 [[피치포크]] 선정 올해의 앨범 10위[* 당시 리스트에 있던 앨범들이 [[LCD 사운드시스템]]의 [[Sound of Silver]], [[라디오헤드]]의 [[In Rainbows]], [[M.I.A.]]의 [[Kala]] 등이 있었고 무엇보다 윌리엄은 모든 작업을 본인 혼자서만 하는 것을 생각하면 이 사람의 능력이 정말 뛰어나다를 것을 보여준다.],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90점'''으로 '''공동 1위'''[* 다른 아티스트는 스웨덴 출신의 프로듀서인 The field.]를 달성했다. Untrue 이후에는 [[Four Tet]]이나 [[톰 요크]], [[매시브 어택]] 등과도 교류하며 깨작깨작 컴필레이션 EP등을 발표하고 있으며 모두 높은 평가를 받고있다. 2014년에 드디어 자기 얼굴을 공개하고 계속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자기 동네 사람들은 아무도 자기가 음악하는 사람인지 몰랐다고(...) 실제로 이전에는 그의 얼굴이 나와있는 사진이 딱 1장 존재하였다.] 미발표 트랙들도 LP로 내고싶지만 [[다크 소울 2]]하러[* 참고로 게임을 엄청 좋아하는듯 하다. 2집에 [[메탈기어 솔리드 2]] 사운드트랙을 샘플링했을 정도.] 가야한다는 내용의 처음이자 마지막일 것 같은 팬들과의 소통(...)을 Hyperdub 웹사이트에서 한 후~~떡밥투척~~ 2015년에는 싱글Temple Sleeper를 내놨다. 몇 년 안에 3집이 나올지도 모른다.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굵은 글자는 스튜디오 앨범 || 년도 || 이름 || || 2005 || South London Boroughs || || 2006 || Distant Lights || || 2006 || '''Burial''' || || 2007 || Ghost Hardware || || 2007 || '''[[Untrue]]''' || || 2011 || Street Halo || || 2012 || Kindred || || 2012 || Truant / Rough Sleeper || || 2013 || Rival Dealer || || 2016 || Young Death / Nightmarket || || 2017 || Subtemple / Beachfires || || 2017 || Rodent || || 2017 || Pre Dawn / Indoors || || 2019 || Tunes 2011–2019 || === 싱글 === || 년도 || 이름 || || 2007 || Archangel || || 2007 || Ghost Hardware || || 2009 || Moth / Wolf Cub || || 2011 || Ego / Mirror || || 2011 || Four Walls / Paradise Circus || || 2012 || Nova || || 2015 || Temple Sleeper || || 2016 || Sweetz || || 2017 || Rodent || || 2017 || Pre Dawn/ Indoors || || 2019 || Claustro/ State Forest || || 2020 || Her Revolution / His Rope || [[분류:영국의 DJ]][[분류:영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일렉트로닉 뮤지션]][[분류:1979년 출생]][[분류:2005년 데뷔]][[분류:런던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