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5 {{{#fff '''BuildTheEarth.net'''}}}}}} || ||<-2> [[파일:buildtheearth_logo.png|width=180]] || ||<|2> '''지원 버전''' || [[마인크래프트/자바 에디션|자바 에디션]]: 1.7 ~ 1.16[* 보통 1.12.2 버전으로 [[https://buildtheearth.net/faq|BTE 모드팩]]을 끼고 많이 접속한다] || || [[마인크래프트/베드락 에디션|베드락 에디션]] || || '''공식 홈페이지''' || [[https://buildtheearth.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 '''링크''' || [[https://discord.gg/buildtheearth|[[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2]]]][* 2021년 2월 11일 기준 '''6,112명'''의 건축가와 총 '''222,624명'''의 멤버를 가지고 있다.] [[https://www.facebook.com/BuildTheEarth|[[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channel/UC5CM95a6lQ2n8mcJeJ5dij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build.theearth/|[[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twitter.com/buildtheearth_|[[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2&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2&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세계를 [[마인크래프트]]에 1대 1 크기, 즉 '''실제 크기'''[* 1블록 당 1m]로 재현하는 프로젝트이다. 2020년 3월 21일 유튜버 [[https://www.youtube.com/user/PippenFTS|PippenFTS]]가 [[https://www.youtube.com/watch?v=8_bW3ab8YAk|소개 영상]]을 올리면서 시작됐으며, 현재는 디스코드 서버에만 약 200,000명의 멤버 수를 보유하고 있다. == 사용되는 모드 == *[[https://www.curseforge.com/minecraft/mc-mods/opencubicchunks|OpenCubicChunks]] - 마인크래프트 세계가 저장되는 방식을 바꿔 원래는 0~255 블록까지였던 y좌표 제한을 이론상 무한정으로 늘려주는 모드이다. *[[https://github.com/BuildTheEarth/terraplusplus|TerraPlusPlus (T++)]] - 현실의 지형 데이터와 도로 데이터 등을 마인크래프트로 가져와서 원하는 지도 도법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모드이다.[* 사용되는 API들에는 [[https://registry.opendata.aws/terrain-tiles/|AWS Terrain Tiles]], [[OpenStreetMap]] 등이 있다.] *~~[[https://www.curseforge.com/minecraft/mc-mods/terra-1-to-1-minecraft-world-project|Terra 1 to 1]] - TerraPlusPlus의 구 버전이다.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https://www.curseforge.com/minecraft/mc-mods/worldedit|WorldEdit]] - 건물들을 빠른 속도로 건축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드이다. 이 외에 필수는 아니지만 유용하게 쓰이는 모드들도 있다. *[[https://journeymap.info/Home|JourneyMap]] - 마인크래프트 미니맵을 띄워주는 모드이다. *[[https://www.curseforge.com/minecraft/mc-mods/terramap|Terramap]] - 지도 UI를 띄워 현실의 원하는 장소로 쉽게 텔레포트하게 해주는 모드이다. == 지도 도형법 == 처음에는 위도와 경도의 간격이 모든 지역에서 일정한 등장방형도법을 썼으나, 극지방으로 갈 수록 왜곡 현상이 심해지는 문제 때문에 이를 바꾸기로 결정했다. 그래서 나온것이 [[메르카토르 도법]]과 BTE Airocean 도법[* [[https://en.wikipedia.org/wiki/Dymaxion_map|다이멕시온 도법]]을 수정해서 만들어진 도법이다]인데, 메르카토르 도법 또한 극지방으로 갈 수록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어서 결국에는 BTE Airocean 도법을 쓰는 것으로 결정됐다. [[https://www.youtube.com/watch?v=0eyyuNvKNzw|출처]] BTE Airocean 도법은 왜곡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크기도 커봤자 1.4배까지밖에 커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모든 지역에서의 북쪽이 항상 같은 쪽이 아니라는 단점이 있다. || BTE Airocean 도법을 사용하여 출력해낸 지도 || || [[파일:bte_airocean_projection.png|height=300]] || == [[BuildTheEarth.net/건축 팀 목록|건축 팀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BuildTheEarth.net/건축 팀 목록)] y좌표 제한을 없애주는 OpenCubicChunks 모드가 서버에서 쓰이면 40명도 채 버티지 못하니까 사람들이 국가 별로 건축 팀을 만들어서 각 팀의 서버에서 건축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나중에 이 건축 팀들을 묶은 BTE 네트워크가 등장했다.[* 프록시를 사용해서 원하는 팀의 서버로 가도록 해주는 네트워크이다.][* 자바 에디션은 IP buildtheearth.net, 그리고 베드락 에디션은 IP bedrock.buildtheearth.net에 포트 19132] == 관련 문서 == * [[마인크래프트]] [[분류:나무위키 마인크래프트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