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위저)]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2da5d6 '''Buddy Holly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499, 연도=2010, 순위2=484, 연도2=2021)]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429)]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708)] ---- }}} || ||<-2><#fffff7> '''{{{#2da5d6 {{{+1 Buddy Holl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uddy holly.jpg|width=100%]]}}} || ||<-2> {{{#2da5d6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프로모 아트 커버 ▼ [[파일:aprile16-28.jpg|width=100%]]}}}}}}}}} || || '''싱글 발매일''' ||[[1994년]] [[9월 7일]] || || '''싱글 B면''' ||Jamie || || '''앨범 발매일''' ||[[1994년]] [[5월 10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49bcd; font-size: .9em" [[Weezer(1994년 음반)|{{{#eceff1 '''Weezer'''}}}]]}}} || || '''녹음''' ||[[1993년]] 8월 - 9월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파워 팝]] || || '''재생 시간''' ||2:39 || || '''작사/작곡''' ||[[리버스 쿼모]] || || '''프로듀서''' ||릭 오케이섹 || || '''스튜디오''' ||일렉트릭 레이디 스튜디오 || || '''레이블''' ||DGC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4a576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QzMHhRCTYw,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irtBNejdr0, height=200)]}}} || || '''음원''' || '''라이브 버전''' || 1994년 9월 7일[* [[버디 홀리]]의 생일.](미국 기준) 발매된 [[위저]]의 2번째 싱글이자 데뷔 앨범 [[Weezer(1994년 음반)|Blue Album]]의 네 번째 트랙. == 상세 == [[위저]] 최고의 곡 중 하나로 손꼽히는 명곡으로, [[빌보드 얼터너티브 송 차트]] 최고 2위[* 1994년 12월 17일 차트], 차트 인 22주의 기록을 가지고 있는 곡이다. 작사/작곡은 Weezer의 보컬인 리버스 쿼모. 데모버전은 [[https://www.youtube.com/watch?v=tzvBVqr3Y-E|키보드를 사용한 훨씬 느린 템포의 곡]]이었으며[* 이 곡은 리버스 쿼모의 데모 컴필레이션 앨범인 Alone에 수록되어 있다.] 제목은 가사에서 언급되는 [[Buddy Holly]]에서 따왔지만 원래 제목은 미국의 배우인 Fred Astaire였다. 때문에 원래 가사에서는 Mary Tyler Moore 대신 Fred Astaire의 파트너였던 Ginger Rodgers의 이름이 쓰였었다 . 일반적으로 사랑 노래로 인식되고 있지만, 리버스 쿼모에 의하면 남녀간의 사랑이 아닌 우정에 대해서 쓴 곡이라고 한다. 어린 시절, 동네에서 '영어도 잘 못하고, 눈도 찢어'졌다고 친구들에게 놀림받던 아시안계 여자친구[* 같은 합창단에 있던 '경희(Kyung He)'라는 이름의 한국인이라고 한다.]가 모티브가 됐다고. 처음 곡을 만든 이후, '너무 촌스럽다'는 이유로 리버스 쿼모는 이 곡을 앨범에 넣을지 말지 고민하고 있었는데, 프로듀서였던 릭 오케이섹의 격려에 넣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이런 생각과 달리 곡은 대히트를 쳤다는 점이 아이러니. --그리고 10년 뒤 [[ASIAN KUNG-FU GENERATION|모 위저빠 밴드]]가 [[リライト|비슷한 모습]]을 보여준다.-- 처음 싱글 발매 당시의 앨범커버는 리버스 쿼모의 어릴 적 사진으로 친구와 찍은 것이었지만 앨범커버를 본 그 친구가 자신의 허락 없이 사용했다며 [[고소미]]를 시전했고, 리버스 쿼모는 어릴 적 친구와 연락을 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앨범 커버는 리버스 쿼모(오른쪽)와 그의 동생 리비스(Leaves) 쿼모의 사진으로 교체됐다. 국내 노래방에도 수록되어있다. [[TJ미디어]] 21161, [[금영엔터테인먼트]] 62045. == MV == || [youtube(kemivUKb4f4)] || [[스파이크 존즈]]가 감독을 맡았으며, 멤버들이 1970년대 유명 시트콤 해피 데이즈의 배경인 레스토랑에서 라이브를 하는 컨셉으로, 중간중간에 실제 시트콤에서의 장면들이 적절하게 삽입되어 있다. 실제 시트콤에 출연했던 알 몰리나로[* 초반에 위저를 소개하는 뚱뚱한 아저씨. 2015년 사망했다.]가 카메오로 출연하였다. 컨셉에 충실하게 실제 시트콤처럼 중간에 끊고 가는게 묘미. [[윈도우 95]] CD 안에 있는 FunStuff란 폴더에 이 뮤직비디오가 수록[* 같이 수록된 곡은 에디 브리켈의 Good Times]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수록이 된 이유는 '''[[빌 게이츠]]가 위저를 좋아해서'''. --역시 연줄을 잘 타야(...)--[* 물론 위저를 끼워팔기하려고 윈도95에 수록된 건 아니고, 당시 강력해진 멀티미디어 성능을 체험케 해 주는 일종의 견본품으로 뮤직비디오가 들어간 것이다. 그 전까지 Mac이나 Amiga가 아닌 IBM 계열 PC로 음악 듣는다는 건 기껏해야 FM음원 흉내낸 미디 사운드로 뚱땅거리는 게 다였기 때문에...] 윈도우 95가 대히트를 하면서 위저 또한 널리 알려졌고, 이 덕분에 1995년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4관왕을 차지[* Best Alternative Video, Breakthrough Video, Best Direction in video, Best Editing in a Video 부문 수상. Video of the Year 부문에는 노미네이트 됐지만 [[TLC]]의 Waterfalls에 밀려 수상하지 못했다.]하며 위저의 흥행에 큰 역할을 하였다. 국내에서도 이 비디오 덕분에 Weezer가 알려지는 계기가 됐다. 코덱은 Cinepack이고 해상도는 320*240, 오디오코덱은 PCM이다. 당시 컴퓨터 성능을 배려해서인지 저화질버전과 고화질버전이 따로 들어있다. 고화질 버전은 highperf 폴더에 있다. == 가사 == ||<-2><#fffff7> ---- {{{+2 '''Buddy Holly'''}}} ---- What's with these homies, dissin' my girl? 이 녀석들은 뭣 때문에 내 여잘 욕 하는거지? Why do they gotta front? 왜들 이렇게 나대는거지? What did we ever do to these guys 우리가 무슨 짓을 했다고 That made them so violent? 이들은 이렇게 폭력적인걸까? Woo-hoo, But you know I'm yours 근데 넌 내가 네 것인 걸 알잖아 Woo-hoo, And I know you're mine 난 네가 내 것인 걸 알고 Woo-hoo, and that's for all of time 그리고 언제나 그럴거야 Oo-ee-oo, I look just like Buddy Holly 나는 꼭 버디 홀리 같아 보여 Oh-oh, and you're Mary Tyler Moore 그리고 너는 메리 타일러 무어 같아 I don't care what they say about us anyway 난 쟤네들이 우리한테 뭐라하든 신경쓰지 않아 I don't care about that 난 신경쓰지 않아 Don't you ever fear, I'm always near 두려워 하지마, 내가 언제나 곁에 있으니 I know that you need help 네가 도움이 필요한 걸 알아 Your tongue is twisted, your eyes are slit 네 혀는 꼬이고, 네 눈은 째졌지 You need a guardian 너는 수호자가 필요해 Woo-hoo, And you know I'm yours 근데 넌 내가 네 것인 걸 알잖아 Woo-hoo, And I know you're mine 난 네가 내 것인 걸 알고 Woo-hoo, and that's for all of time 그리고 언제나 그럴거야 Oo-ee-oo, I look just like Buddy Holly 나는 꼭 버디 홀리 같아 보여 Oh-oh, and you're Mary Tyler Moore 그리고 너는 메리 타일러 무어 같아 I don't care what they say about us anyway 난 쟤네들이 우리한테 뭐라하든 신경쓰지 않아 I don't care about that 난 신경쓰지 않아 I don't care about that 난 신경쓰지 않아 Bang! Bang! A knock on the door 쾅! 쾅! 문을 두드려 Another big bang get down on the floor 또 크게 쾅, 바닥에 엎드려 Oh no! What do we do? 이런! 우린 어쩌지? Don't look now but I lost my shoe 쳐다 보지마, 난 내 신발을 잃어버렸어 I can't run and I can't kick 뛸 수도 없고 발로 찰 수도 없어 What's a matter babe are you feelin' sick? 무슨 일이야 자기야, 아픈 것 같아? What's a matter, what's a matter, what's a matter you? 무슨 일이야, 무슨 일이야, 무슨 일이야? What's a matter babe, are you feelin' blue? 무슨 일이야 자기야, 우울한 것 같아? ...and that's for all of time 그리고 언제나 그럴거야 ...that's for all of time 언제나 그럴거야 Oo-ee-oo, I look just like Buddy Holly 나는 꼭 버디 홀리 같아 보여 Oh-oh, and you're Mary Tyler Moore 그리고 너는 메리 타일러 무어 같아 I don't care what they say about us anyway 난 쟤네들이 우리한테 뭐라하든 신경쓰지 않아 I don't care about that 난 신경쓰지 않아 I don't care about that 난 신경쓰지 않아 I don't care about that 난 신경쓰지 않아 ---- || [[분류:위저]][[분류:1994년 싱글]][[분류:1994년 음악]][[분류:얼터너티브 록]][[분류:파워 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