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레드 제플린 노래]][[분류:1971년 노래]][[분류:1975년 노래]][[분류:부기우기]][[분류:Physical Graffiti]] [include(틀:Physical Graffiti)] ||<#cbbb97><-2> '''{{{+1 Boogie with St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viBlaTIV-s, width=100%, height=250)]}}} || || '''앨범 발매일''' ||[[1975년]] [[2월 24일]] || || '''스튜디오''' ||헤들리 그레인지 || || '''녹음일''' ||1971년 1월 || || '''장르''' ||[[부기우기]] || || '''러닝 타임''' ||3:50 || || '''작사/작곡''' ||[[플랜트-페이지]], [[존 폴 존스]], [[존 본햄]], 이안 스튜어트, 리치 발렌스 || || '''연주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bb97; font-size: .9em" [[로버트 플랜트|{{{#bc212f '''로버트 플랜트'''}}}]]}}} 리드 보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bb97; font-size: .9em" [[지미 페이지|{{{#bc212f '''지미 페이지'''}}}]]}}} 리드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bb97; font-size: .9em" [[존 폴 존스|{{{#bc212f '''존 폴 존스'''}}}]]}}} 베이스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bb97; font-size: .9em" [[존 본햄|{{{#bc212f '''존 본햄'''}}}]]}}} 드럼, 퍼커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bb97; font-size: .9em" [[롤링 스톤스#s-10.1|{{{#bc212f '''이안 스튜어트'''}}}]]}}} 건반 }}}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bb97; font-size: .9em" [[Physical Graffiti|{{{#bc212f '''Physical Graffiti'''}}}]]}}} || || '''레이블''' ||[[스완 송 레코드|[[파일:레젭 이카루스.png|width=50]]]] || [목차][clearfix] == 개요 == [[영국]]의 록밴드 [[레드 제플린]]의 6집 [[Physical Graffiti]]에 수록된 곡. == 상세 == 곡의 제목은 ‘이안 스튜어트와 함께한 [[부기우기]]’라는 뜻으로 [[롤링 스톤스]]의 비공식 멤버이자 피아노 세션을 맡고 있는 이안 스튜어트가 참여한 곡이다. Stu는 그의 널리 알려진 별명이다. 곡 자체는 1971년에 [[Led Zeppelin IV]]를 작업할 때에 작곡되었다. 당시 밴드 멤버들은 4집을 [[더블 앨범]]으로 만들 구상을 하고 수많은 곡들을 제작해 놨었는데, [[로버트 플랜트]]가 더블 앨범을 반대하면서 제작해 놓았던 곡들 중 가장 훌륭하다고 생각되는 곡들을 4집에 수록하면서 미발매 곡들이 여러 곡 생겼다. 이 곡은 그러한 미발매 곡들 중 하나인데, 아무래도 [[Rock and Roll(노래)|Rock and Roll]]과의 유사성 때문에 4집에는 수록되지 못했던 것 같다.[* Rock and Roll에도 이안 스튜어트가 참여했다.] == 가사 == ||<:> ---- '''{{{+2 {{{#bc212f Boogie with Stu}}}}}}''' ---- Been in town, my baby We just got to rock on Yeah-yeah-yeah-yeah, darlin' We just got to go home I don't want no tutti-frutti, no lollipop Come on, baby, just rock, rock, rock. Yeah-yeah-yeah-yeah, honey We've been shakin' all night Oh-oh-oh-oh darlin', we just got to roll right Ahhhh Ooh, my head... rock on Rock on Yeah Hey babe, hey babe Hey babe, hey babe Hey babe, hey babe Hey babe, hey babe I don't want no tutti-frutti, no lollipop Come on baby, just rock, rock, rock Oh hoo, oh hoo Oh hoo, oh hoo Oh hoo, oh hoo Oh hoo, oh hoo ooo ooo Oh hoo, oh hoo Let's go Oh hoo, oh hoo Oh hooo hoo I don't want no tutti-frutti, no lollipop Come on baby, just rock, rock, rock yeah! ----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png|width=1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