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In Rainbows)]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9956)] ||<#000><-2> '''{{{+1 {{{#F6EC5A Bo}}}{{{#447EB8 dy}}}{{{#F26635 sn}}}{{{#3F9C4B at}}}{{{#EAB334 ch}}}{{{#EB2730 er}}}{{{#A2DAEA 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IQxhSvSRnQ, width=100%, height=200)]}}} || || '''{{{#F6EC5A 앨범 발매일}}}''' ||[[2007년]] [[10월 10일]] || || '''{{{#447EB8 녹음일}}}''' ||[[2005년]] [[5월]] - [[2007년]] [[6월]] || || '''{{{#F26635 장르}}}''' ||[[얼터너티브 록]], [[노이즈 팝]] || || '''{{{#3F9C4B 러닝 타임}}}''' ||4:02 || || '''{{{#EAB334 프로듀서}}}''' ||나이젤 고드리치 || || '''{{{#EB2730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In Rainbows|'''{{{#F6EC5A In }}} {{{#447EB8 Ra}}}{{{#F26635 in}}}{{{#3F9C4B b}}}{{{#EAB334 o}}}{{{#EB2730 w}}}{{{#A2DAEA s}}}''']]}}} || || '''{{{#A2DAEA 레이블}}}''' ||[[파일:1200px-XL_Recordings_Logo.svg.png|width=28]] [[XL 레코딩스]]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WAlhxCoGrk,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Xl0F9oF92E, height=200)]}}} || || '''"Later... with Jools Holland" 2008년 라이브''' || '''Bonnaroo 2006 라이브'''[* 앨범 발매 이전 라이브이기 때문에 곡의 진행 방식이 다르다.] || 2007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7집 [[In Rainbows]]의 두 번째 트랙. == 상세 == [[House of Cards]]와 함께 프로모셔널 싱글로 발매된 곡으로 [[빌보드 모던 록 차트]]에서 8위를 찍었다. 이는 [[Creep]] 이후 라디오헤드의 최고 순위이다. [[노이!]]와 울프마더에 영향을 받은 곡이다. 소통이 단절된 상태에서 육체적 의식이 갇혀있는 느낌을 표현한 노래이고 소설 [[스텝포드 부인들]], 빅토리아의 유령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다. 나이젤 고드리치와 함께 윌트셔에 있는 황폐한 토트넘 시골집에서 녹음했다. 톰은 이를 두고 "당신들은 이 노래에서 그 장소의 분위기를 확실히 느낄 수 있다. 이 노래는 우리 모두가 함께 연주하고 있는 앨범의 유일한 라이브 트랙이다."라고 말했다. == 가사 == ||<#000000> ---- '''{{{+2 {{{#F6EC5A Bo}}}{{{#447EB8 dy}}}{{{#F26635 sn}}}{{{#3F9C4B at}}}{{{#EAB334 ch}}}{{{#EB2730 er}}}{{{#A2DAEA s}}}}}}''' ---- I do not understand 이해를 못하겠어 What it is I've done wrong 내가 잘못한 게 뭔지 Full of holes, check for pulse 구멍으로 덮였고, 심장박동을 확인하네 Blink your eyes 눈을 깜박이세요 One for yes, two for no "네"는 한 번, "아니오"는 두 번 I've no idea what I am talking about 내가 무슨 말을 하는지 전혀 모르겠어 I'm trapped in this body and can't get out 이 몸에 갇혀서 나가지 못하네 You killed the sound, removed backbone 넌 소리를 죽이고 척추를 없앴지 A pale imitation with the edges all sawn off 끝부분이 모두 잘린 엉성한 모방일 뿐 I have no idea what you are talking about 네가 무슨 말을 하는지 전혀 모르겠어 Your mouth moves only with someone's hand up your arse [[인형극 #s-3.3|{{{#4472B8 네 입은 다만 네 궁둥이 위 누군가의 손으로 움직이네}}}]] Has the light gone out for you? 너도 희망을 잃었니? Because the light's gone out for me 나는 희망을 잃었거든 It is the twenty-first century 이게 21세기야 It is the twenty-first century 이게 21세기야 It can follow you like a dog 그건 널 개처럼 쫓아다닐 거야 It brought me to my knees 나를 무릎 꿇게 만들었고 They got a skin and they put me in 그들은 껍질을 만들어서 나를 그 속으로 넣어 They got a skin and they put me in 그들은 껍질을 만들어서 나를 그 속으로 넣어 All the lines wrapped 'round my face 끈들이 내 얼굴을 감싸네 All the lines wrapped 'round my face 끈들이 내 얼굴을 감싸네 And for anyone else to see 그리고 다른 모든 사람들이 보는 And for anyone else to see 그리고 다른 모든 사람들이 보는 I'm a lie 나는 거짓이야 I've seen it coming 나는 이미 알고 있었어 They've seen it coming 그들도 이미 알고 있었어 They've seen it coming 그들도 이미 알고 있었어 They've seen it coming 그들도 이미 알고 있었어 ---- [[라디오헤드|[[파일:Radiohead Cyan.png|height=30]]]]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In Rainbows, version=262)] [[분류:In Rainbows]][[분류:라디오헤드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