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Blur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a16746 '''Blur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137)]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675)]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513)]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57, 연도=1998, 순위2=271, 연도2=2000)]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include(틀:Indiehoy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24)] ---- }}} || ||<-2><#fbba25> '''{{{#a16746 {{{+1 Blu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lur blur.jpg|width=100%]]}}} || || '''발매일''' ||[[1997년]] [[2월 10일]] || || '''녹음일''' ||[[1996년]] [[6월]] ~ [[11월]]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인디 록]]|| || '''곡 수''' ||14 곡 || || '''재생 시간''' ||56:53 || || '''프로듀서''' ||[[블러(밴드)|블러]], 스티븐 스트리트 || || '''스튜디오''' ||그레티스갓 스튜디오[br]메이슨 로그 스튜디오[br]스튜디오 13[br]메이페어 스튜디오 || || '''레이블''' ||푸드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블러(밴드)|블러]]의 5번째 스튜디오 앨범. 1997년 2월 10일에 발매되었다. 그 유명한 '브릿팝은 죽었다' 선언 이후 나온 음반으로, 당시 블러는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랑 [[브릿팝 전쟁]]으로 피로가 극에 달했던 상태였다. 때문에 이들은 브릿팝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지는 방향을 선택했는데 그 와중에 [[그레이엄 콕슨]]의 발언권이 강해지면서 미국 언더그라운드 [[인디 록]]이나 [[노이즈 록]]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페이브먼트]]나 [[소닉 유스]], [[다이노소어 주니어]], [[요 라 텡고]] 같은 노이즈 중심의 미국 인디 록 밴드들의 작업을 많이 참고한 앨범이다. [[힙합 음악|힙합]]이나 [[트립 합]] 같은 다른 장르에서도 영감을 받은 곡들도 제법 포진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마냥 본래 뿌리에서 멀어진건 아니라 특유의 송라이팅은 여전히 남아있어서 상당히 중독적인 훅을 자랑한다. 5개월 뒤 발매된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의 [[Be Here Now]]가 실패작이라 평가받는데 비해, 이 앨범은 호불호가 갈리긴 해도 변신 자체는 성공적이였기 때문에 명반선에서도 심심치않게 볼 수 있는 앨범이기도 하다. 발매 당시엔 영국에서는 당혹감을 보였지만 이름값 때문에 흥행에 성공했고 미국 시장을 뚫는데도 성공했다. 100만장을 파는데는 실패했지만 미국에서 총 680,000장을 판매하며 RIAA에서 GOLD인증을 받았다 이 시절부터 가사면에서도 쾌활하면서도 사회풍자적인 면모는 사라지고 매우 개인적이고 모호한 가사들이 주를 이루기 시작했다. == 트랙 리스트 == * 1. [[Beetlebum]] * 2. [[Song 2]] * 3. Country Sad Ballad Man * 4. [[M.O.R]] : [[데이비드 보위]]의 'Boys Keep Swinging' 에서 코드 진행을 따왔다. 코러스도 리메이크 수준으로 매우 비슷하다. [[https://youtube.com/watch?v=2KcOs70dZAw]] * 5. [[On Your Own]] * 6. Theme from Retro * 7. You're So Great : 그레이엄 콕슨이 메인 보컬을 맡은 첫 번째 곡. 여담으로 녹음할 때 사람들 앞에서 노래하는게 부끄러워서 불을 끄고 책상 밑에서 녹음을 했다고 한다. * 8. Death of a Party * 9. Chinese Bombs : 1분 대의 짧고 강력한 lo-fi곡.[* 이런 빠르고 짧은, 직진적인 노래는 브릿팝 시절 (3집의 Bank Holiday, 4집의 Globe Alone{다만 이 곡은 2분 대가 넘어간다.})부터 있었으며 이후 후기 블러 앨범에서도 계속해서 등장한다 (6집의 B.L.U.R.E.M.I{이 곡은 3분 가까이 되긴 하나 노래의 속도감과 긴박한 진행이 해당 앨범의 다른 트랙들과 차별화된다}과 7집의 We've Got A File On You)] * 10. I'm Just a Killer for Your Love : 해당 앨범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작업된 곡이다.[* 동시에 데이먼의 개인 스튜디오 Studio 13에서 처음 녹음된 곡이기도 하다!] 드럼 소리가 연주 중에 우연히 녹음을 시작한양 부자연스럽게 들어오며 시작되는데, 이는 원래 이곡을 녹음할 당시 즉흥적으로 연주를 진행했고 데모로 남겨두려 했던 것을 앨범에 추가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가사는 해당 앨범의 다른 여러 곡들과 마찬가지로 초현실적인 아무말 대잔치(....) * 11. Look Inside America : 3집 [[Parklife]]가 떠오르는 상냥한 트랙. 3집의 Magic America가 미국을 풍자하는 어조를 지닌 것에 반해, '미국을 수용하자' 라는 느낌이 강하다.[* 2집의 Miss America, 3집의 Magic America에 이어 세번째로 제목에 'America' 가 들어가는 블러 노래이다.] * 12. Strange News from Another Star * 13. Movin' On * 14. Essex Dogs : 노래 중간중간 노이지한 불협화음이 특징인 곡으로, 미국 밴드 [[슬린트]]의 1991년 앨범 [[Spiderland]]에서 강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트랙이다. 6분 25초부터 히든트랙 'Interlude' 가 흘러나온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590493|가사 번역]] [[분류:블러(밴드)]][[분류:1997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인디 록]][[분류:얼터너티브 록]][[분류:셀프 타이틀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