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드 핫 칠리 페퍼스)] ||<-5><#fff> '''[[파일:Red-Hot-Chili-Peppers-Logo.png|height=25]][br]{{{#000 Blood Sugar Sex Magik}}}''' || ||<-5><#fff> '''{{{#000 수상 내역 및 기록}}}'''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8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310,연도2=2020,순위2=186)]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217)]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114, 연도=1998, 순위2=142,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 순위=29)] ---- [include(틀:Sentire Ascoltare 선정 1990년대 35대 록 명반)]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35)] ---- [include(틀:Popkultur 선정 1990년대 100대 명반, 순위=17)]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90년대의 100대 명반)] ---- [include(틀:Indiehoy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40)]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483)]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 || ||<-2><#FCFCFA> '''{{{#B3C0D0 {{{+1 Blood Sugar Sex Magi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johnwelbourn.powerathletehq.com/BLOOD-SUGAR-SEX-MAGIK1.jpg|width=100%]]}}} || || '''발매일''' ||[[1991년]] [[9월 25일]] || || '''장르''' ||[[펑크(음악)|펑크(funk) 록]], [[얼터너티브 록]] || || '''러닝 타임''' ||73:55 || || '''프로듀서''' ||[[릭 루빈]] || || '''곡 수''' ||17곡 || || '''발매사''' ||[[워너 브라더스]] || || '''스튜디오''' ||더 맨션 스튜디오 || || '''판매량(미국)''' ||RIAA 7x 플래티넘 (2001.4.2)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1년 발매된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5집 앨범. == 상세 == RHCP 최고의 명반 중 하나이자,[* 함께 언급되는 앨범으로는 [[Californication|7집]], [[By the Way|8집]]이 있다.] 펑크(funk) 록 불후의 명반으로 평가받는다. 이 앨범을 발표하고 나서 레드 핫 칠리 페퍼스는 본격적으로 세계적인 스타 반열에 오른다. 다만 이런 갑작스러운 인기와 영예가 몹시 부담스러웠던 밴드의 기타리스트 [[존 프루시안테]]는 투어 도중 돌연 모습을 감추고 만다. 이후 [[제인스 어딕션]] 출신의 기타리스트 데이브 나바로가 그의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앨범 제작 과정을 다룬 한 시간 정도 분량의 다큐멘터리 'Funky Monks'가 있다. [[플리(RHCP)|플리]]하면 대부분 뮤직맨 스팅레이 베이스를 생각하기 때문에 이 앨범에서 스팅레이로 녹음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Wal의 Mk II 베이스로 녹음을 진행했고 스팅레이로 녹음한 트랙은 단 2트랙뿐이다.[* 앞서 언급한 다큐멘터리 Funky Monks를 보면 Mk II 베이스를 들고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위의 내용과 비슷하게 존 프루시안테가 이 앨범을 녹음할 때 Boss 사의 CE-1 코러스 앙상블을 사용했을 것이라고 대부분 생각하지만, 당시 해당 페달은 수리 중이었고, 레코딩에 사용된 코러스 페달은 DOD의 FX65였다고 한다. == 트랙 리스트 == === The Power of Equality - 4:03 === [youtube(H3tdhMazGC8)] === If You Have to Ask - 3:37 === [youtube(7PgaW596DKc)] === Breaking the Girl - 4:55 === [youtube(EVmfXA3vjuE)] === Funky Monks - 5:23 === [youtube(vGMqOhXtIa0)] === Suck My Kiss - 3:37 === [youtube(KlQmOZ5TMeY)] === I Could Have Lied - 4:04 === [youtube(vvfWewLU7N0)] === Mellowship Slinky in B Major - 4:00 === [youtube(RRQwn8rmZfo)] === The Righteous & the Wicked - 4:08 === [youtube(0aJfQdui66E)] === Give It Away - 4:43 === [youtube(XhjqmAoBKCQ)] * Under the Bridge와 함께 앨범 내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이다. * 뮤직 비디오도 있는데, 멤버들은 몸에 유광 페인트를 칠하고, 반짝이 옷을 입고 들판에서 춤을 춘다. * 가사 중에서 나오는 "There's a river born to be a giver로 시작하는 대목은 배우 [[리버 피닉스]]를 언급하는 내용이다.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멤버들은 리버와 친밀한 사이였다.[* 플리가 베이스를 치고 그가 함께 기타를 치는 영상도 남아있다.] 이후 밴드는 그가 요절한 이후에 Transcending이라는 이름의 추모곡을 발표하기도 했다. * 또한 리버 피닉스에 대해 이야기하는 소절 바로 전에 밥 말리에 대해 이야기하는 구절도 있는데, 그를 삶에 대해 가르침을 준 인물로서 언급하고 있다. * 물론 가사는 베푸는 삶에 대해 노래하고 있지만, 그 알레고리를 위해 가사가 취하는 묘사는 의심할 여지없이 성적인 것이다. ~~내걸 너한테 집어넣겠다는 이야기가 섹스 얘기가 아닐리가~~ === Blood Sugar Sex Magik - 4:31 === [youtube(umopTKfas5g)] * 벌스에서의 무거운 웅웅거리는 분위기와 달리 후렴구의 반복되는 중독적이고 신나는 멜로디와 찰진 가사가 매우 인상적으로, 한번 들으면 계속 생각나는(...)노래이다. --쎅스 매직! 쎅스 매직!-- * 전체적으로 욕망적이고 노골적으로 성행위에 대해 묘사하는 가사로, 가사의 수위가 매우 높다. === [[Under the Bridge]] - 4:24 === [youtube(4UnU3r0M3zg)] * 문서 참조. === Naked in the Rain - 4:26 === [youtube(-D91M_5v3aQ)] === Apache Rose Peacock - 4:42 === [youtube(_AAixJwhy2M)] === The Greeting Song - 3:13 === [youtube(oIDihZ0PaeE)] * 앤서니 키디스가 본인들의 곡 중에서 가장 싫어하는 곡 중에 하나이다. 프로듀서 릭 루빈이 여자와 자동차를 주제로 가사를 써보라고 한 것에 하기 싫었지만 억지로 썼다고 한다. * 중간에 [[쉐보레]]를 언급하는 가사가 있는데, 실제로 그 당시 앤서니가 쉐보레 자동차를 타고 다녔다고 한다. 그래서 쉐보레가 그 가사를 광고에 쓰려고 했지만, 앤서니가 거절했다고 한다. === My Lovely Man - 4:39 === [youtube(hFVZ7cEqZYo)] * 헤로인 과다복용으로 요절한 밴드의 전 기타리스트 힐렐 슬로박을 추모하는 곡이다. === Sir Psycho Sexy - 8:17 === [youtube(tX23qUNslJA)] * 앤서니 자신(Sir Psycho)의 성생활, 여자와의 관계 등의 이야기가 있는 곡이다. * 곡 제목과 야리꾸리한 분위기로 대충 예상이 갈 수 있지만, 사실 Blood Sugar Sex Majik 이상으로 가사가 온갖 음담패설과 섹스이야기로 가득한 곡이다. 평소엔 은유적으로 가사를 쓰는 앤서니지만, 이 곡에선 직설적이다 못해 노골적인 가사가 8분이 넘게 이어진다. === They're Red Hot - 1:12 === [youtube(yxK8JwsPiOU)] * 블루스의 영원한 전설 [[로버트 존슨]]의 곡의 리메이크. [[분류:레드 핫 칠리 페퍼스 앨범]][[분류:1991년 앨범]][[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빌보드 200 3위 음반]][[분류:Funk rock]][[분류:얼터너티브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