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Drain Ga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파일:BladeeLogo.png|width=100%]] [br]}}}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ladee.jpg|width=100%]]}}}|| || '''이름''' ||'''Bladee[br]{{{-1 블레이드}}}'''[* 블레이디라 불러도 된다. [[#상세|상세]] 문단 참고] || || '''본명''' ||Benjamin Thage Dag Reichwald[br]{{{-1 베냐민 타거 다그 라이히발트}}} || ||<|2> '''출생''' ||[[1994년]] [[4월 9일]] ([age(1994-04-09)]세) || ||[[스웨덴]] [[스톡홀름주]] [[스톡홀름]]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 || '''신체''' ||188cm[* [[https://on.soundcloud.com/vDjyU|6' 2"]]] || || '''장르''' ||[[클라우드 랩]], [[얼터너티브 R&B]], [[익스페리멘탈 힙합]], [[이모 랩]] || || '''직업''' ||[[가수]], [[래퍼]], [[프로듀서]], [[패션 디자이너]] || || '''활동 기간''' ||[[2006년]] - [[2007년]], [[2011년]] - 현재 || || '''소속''' ||[[Drain Gang]], Krossad || || '''AKA''' ||DG Bladee, DJ Baby Icy Yeti, Evil Bladee, Ex Toy, Ken Burns, Drain Gang CEO || || '''레이블''' ||[[파일:YEAR0001_Logo.png|width=22]] YEAR0001 || ||<|2> '''홈페이지''' ||[[https://ee.gtb.sg/|[[파일:BladeeLogo.png|height=18]]]][* 블레이드는 공식 홈페이지가 상당히 많으므로 여기서는 현재 가장 대표적인 블레이드 머천 판매 사이트로 링크를 걸어놓았다. 앨범별 홈페이지는 문서 하단의 각 앨범 문단을 참고하자.] || ||[[https://open.spotify.com/artist/2xvtxDNInKDV4AvGmjw6d1?si=i5LLbNw-TOShnGwY0wlc3Q|[[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2]]]] [[https://twitter.com/bladeecity|[[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2&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2&theme=dark]]]] [[https://instagram.com/dg_blade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bladee1000/|[[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soundcloud.com/bladee1000|[[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2]]]] [[https://youtube.com/user/gtbshieldga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deelive.png|width=100%]]}}} || [[스웨덴]] [[스톡홀름]] 출신의 [[래퍼]], [[프로듀서]], [[패션 디자이너]]. == 상세 == 고등학교 친구들인 [[Ecco2k]], [[Thaiboy Digital]] 그리고 [[Whitearmor]]와 함께 2013년 [[Drain Gang]]을 만들어 지금까지 함께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참고로 이름을 읽는 방법은 '블레이드'이다. [[영 린]]이 이걸 지키지 않고 블레이디라 발음하니 [[https://youtu.be/VvKyq89ZYxg|당황하며 쳐다보다가 다시 블레이드로 고쳐 말하자 표정을 푸는 ~~귀여운~~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하도 블레이디라 발음하는 사람이 많다 보니 요즘은 그냥 체념하고 [[https://youtu.be/723ywF5faV4?t=559|그렇게 불러도 된다고 말한다.]] == 음악 스타일 == [[오토튠]]을 사용한 보컬과 몽환적이고 차가운 질감, 실험적인 곡 구성이 특징적이다. 다만 Bladee는 계속해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고, 음악이 굉장히 전위적인 특성을 띄므로 특정한 하나의 표현으로 묘사하기는 어렵다. 앰비언트를 차용하여 기존의 힙합 비트와는 전혀 다른 느낌을 주는 [[Whitearmor]]의 비트 위에 무기력한 듯한 오토튠 보컬이 형용하기 어려운 중독성을 준다. [[이모(음악)|이모]], [[https://en.wikipedia.org/wiki/Scene_(subculture)|씬]], [[고스|몰 고스]], [[Y2K(동음이의어)|Y2K]] 문화에서 영향을 받은 [[키치]]한 감성도 음악적으로, 그리고 시각적으로 종종 두드러지는 편이다. 드레인 갱과 새드 보이스 멤버들과 함께 하나의 [[Aesthetic(인터넷 문화)|애스테틱]]을 정립하였으며 이 자체가 Drain[* Draincore, Drainer, Drainhook이라 불리기도 한다.]라고 불린다. 거의 모든 곡에 오토튠을 사용하고, 랩 실력은 절대 뛰어나다고는 할 수 없어 호불호가 매우 심하게 갈리는 편이나, [[드레인 갱]]과 [[영 린]]을 비롯한 새드 보이스 멤버들과 함께 언더그라운드 힙합 씬에 미친 영향력을 높게 평가받는다. 더 페이더와의 인터뷰에서 [[치프 키프]], 릴 비, [[비치 보이스]], 베이스헌터 그리고 제임스 페라로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https://www.thefader.com/2019/09/17/bladee-interview-drain-gang-trash-island|#]] [[Eversince]], Gluee, 그리고 [[SoundCloud|사운드클라우드]]에 올라왔던 초기 음악들을 비롯한 2016년 전의 음악 스타일은 차갑고 우울한 가사와 공간적인 분위기를 가진 [[이모 랩]] 스타일이며 이때를 그리워하는 팬들도 많다. 또한 그의 음악 스타일은 2020년을 기점으로 많이 바뀌었는데, 믹스테이프 Icedancer까지는 [[클라우드 랩]]과 [[이모 랩]]을 섞은 [[트랩(음악)|트랩]] 느낌이었다면 2020년 Exeter와 333과 같은 음반을 발매한 이후부터는 영적인 느낌을 주는 [[익스페리멘탈 힙합]]이나 [[아트 팝]]을 주로 하고 있으며, Good Luck과 같이 버블검 베이스를 시도하기도 하였다. == 활동 == Bladee는 13살 때이던 2006년 [[Ecco2k]]와 함께 [[하드코어 펑크]] 밴드 Krossad를 결성하여 데뷔 앨범 Jävla äckel를 발매하나, 이는 완벽히 묻히게 된다. 그 후 5년 뒤 2011년부터 Ken Burns 명의로 싱글 Tony Hawk을 내며 활동을 재개하지만 여전히 지금의 음악과는 거리가 멀다. 2012년 동생의 친구였던 [[Yung Lean]]과 만나 [[SoundCloud]]에서 영 셔먼에게 함께 작업하자고 다이렉트 메시지를 보낸다. 그리고 영 린의 2013년 믹스테이프인 Unknown Death 2002에 피쳐링으로 참여하여 인지도를 얻기 시작한다. 2014년에는 YEAR0001 레이블과 계약한 뒤 데뷔 믹스테이프인 Gluee를 발매했다. 이는 사운드클라우드에서 인기를 얻어 이백만 회가 넘게 재생된다. 2016년 데뷔 앨범인 [[Eversince]]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블레이드의 유명한 곡 중 하나인 Who Goes There가 수록되어 있다. 2017년에는 프로듀서 그룹 Working on Dying과 함께 해당 그룹의 이름과 같은 이름의 믹스테이프 Working on Dying을 발매했다. 이 믹스테이프는 Tread 장르의 선구적인 믹스테이프로 평가된다. 그 다음 해인 2018년에는 두 번째 정규 앨범인 Red Light을 발매했다. 이 앨범에 수록된 [[Ecco2k]]와 함께 한 [[Obedient]]가 특히 유명하다. 같은 해 12월 28일, 프로듀서 그룹 Ripsquad와 함께 세 번째 믹스테이프인 Icedancer를 발매했다. 이 믹스테이프는 Bladee의 인지도를 더욱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Be Nice 2 Me, Side by Side 등이 수록되었다. 2020년 4월에는 [[고틀란드]]에서 Gud와 함께 작업한 9곡으로 구성된 네 번째 믹프테이프 EXETER를 발매했다. 그해 7월에는 세 번째 앨범인 333을 발매했다. 333은 [[Whitearmor]]가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고 추가적으로 Gud, Mechatok, Lusi[* Ripsquad 멤버], 그리고 스웨덴 벤드 JJ의 Joakim Benon이 일부 곡에 협업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2020년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작업물로 Mechatok가 앨범 전체를 프로듀싱한 Good Luck을 발매했다. 2021년 5월 다섯 번째 앨범 The Fool을 발매했다. 2022년 [[Ecco2k]]와 공동 작업한 앨범 [[Crest]]를 발매했다. 같은 해 9월에는 일곱 번째 앨범인 Spiderr를 발매했다. === 패션 및 미술 === 2018년 7월 S/S 2019 시즌 Alyx Studio 남성 패션쇼에서 [[매튜 윌리엄스]]의 초대로 [[Ecco2k]]와 함께 패션 모델로 런웨이를 걸었다.[[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menswear/alyx|#]][[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menswear/alyx/slideshow/collection#34|#]] 2021년 7월에서 8월까지 [[영국]] [[런던]]의 The Residence Gallery에서 개인 전시회 'Real Sprin9'를 열었다.[[https://www.theresidencegallery.com/benjamin-reichwald-real-sprin9-020721-150821/opdr4lzr8nxooosa5eod0mirke0stj|#]] 참고로 작품 스타일에서 알 수 있듯 Exeter와 [[Crest]]의 커버도 그가 직접 그린 것이다. 2021년 9월 패션 브랜드 GNAT과 협업하여 Drain Gang 컬렉션을 출시했다.[[https://www.highsnobiety.com/p/bladee-interview/|#]] 2022년 8월 [[마크 제이콥스]]의 세컨 브랜드인 Heaven과 협업해 Bladee x Heaven by Marc Jacobs 컬렉션을 출시했다.[[https://www.marcjacobs.com/default/heaven/projects/bladee/|#]] 2022년 [[Acne Studios]]의 모델이 되었다.[[https://www.instagram.com/p/Cj7HogrN4Uc/?igshid=MDJmNzVkMjY=|#]][[https://www.instagram.com/p/Cj8QMIXDtmW/?igshid=MDJmNzVkMjY=|#]] 이 외에도 그의 홈페이지에서 종종 머천다이즈 상품이 나온다.[[https://ee.gtb.sg/|#]] 발매 정보는 그의 인스타그램이나 [[레딧]]의 팬 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https://www.reddit.com/r/sadboys|#]] [[영 린]]의 의류 라인업 Sadboys Gear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기도 하다. == 디스코그래피 == === 정규 음반 === ==== [[Eversince]] (2016) ==== ||<-4><:> {{{#000000 '''Eversince'''}}}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054526812079.png|width=100%]]}}} || ||<-4> [[Eversince|[[파일:EversinceLogo.png|width=150]]]] {{{#7CE2F0 (2016.05.25)}}} || ||<-4> '''트랙 리스트''' || || # || 제목 || 프로듀서[*WA 별도로 표기한 경우가 아니면 [[Whitearmor]]가 프로듀서이다.] || 길이 || || '''1''' || Who Goes There || || 3:09 || || '''2''' || So What[br]{{{-2 '''feat.''' [[Ecco2k]]}}} || || 3:19 || || '''3''' || Lovenote || || 3:15 || || '''4''' || Missing Person || || 3:19 || || '''5''' || Romeo || || 2:51 || || '''6''' || Xd Out || || 3:36 || || '''7''' || Sick || || 3:00 || || '''8''' || Rip || || 2:58 || || '''9''' || Bloodveil / Stillborn[br]{{{-2 '''feat.''' [[Ecco2k]]}}} || || 3:30 || || '''10''' || Sugar || Whitearmor, Ripsquad || 3:06 || || '''11''' || Wrist Cry || Whitearmor, Hitkidd || 3:54 || || '''12''' || Skin || || 3:35 || || || || || 39:32 || [[https://eversince.gtb.sg/]]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Eversince)] ==== Red Light (2018)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84DCB, #000, #000, #F1483F, #000, #000, #484DCB)" {{{#FFFFFF '''Red Light'''}}}}}}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054526487055.png|width=100%]]}}} || ||<-4> [[Red Light(Bladee)|[[파일:RedLightLogo.png|width=150]]]] {{{#FFFFFF (2018.05.11)}}} || ||<-4> {{{#FFFFFF '''트랙 리스트'''}}} || || # || 제목 || 프로듀서[*WA] || 길이 || || '''1''' || 1D || || 2:42 || || '''2''' || Golden Boy || Whitearmor, Yung Sherman || 3:29 || || '''3''' || Westfield || Whitearmor, Ripsquad || 2:35 || || '''4''' || Fake News || Whitearmor, Ripsquad || 2:39 || || '''5''' || Steve Jobs || || 2:29 || || '''6''' || [[Obedient]][br]{{{-2 '''feat.''' [[Ecco2k]]}}} || || 2:59 || || '''7''' || For You[br]{{{-2 '''feat.''' [[Ecco2k]]}}} || || 2:36 || || '''8''' || Hex || || 2:40 || || '''9''' || Nike Just Do It || || 4:02 || || '''10''' || That Thing You Do[br]{{{-2 '''feat.''' Uli K}}} || || 2:54 || || '''11''' || Decay || || 2:08 || || '''12''' || College Boy || Whitearmor, Yung Gud || 3:02 || || '''13''' || Puppet Master || || 2:41 || || '''14''' || I'm Goofy || || 3:12 || || || || || 40:08 || [[https://redlight.gtb.sg/]] ==== 333 (2020) ==== ||<-4><:> {{{#D898B7 '''333'''}}}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054526945494.png|width=100%]]}}} || ||<-4> {{{#D898B7 '''트랙'''}}} || || # || 제목 || 프로듀서[*WA] || 길이 || || '''1''' || Wings in Motion || || 2:24 || || '''2''' || Don't Worry || || 2:18 || || '''3''' || Keys to the City || || 2:27 || || '''4''' || Hero of My Story 3style3 || Whitearmor, Lusi || 1:59 || || '''5''' || 100s || || 2:26 || || '''6''' || Mean Girls || || 2:26 || || '''7''' || Innocent of All Things || || 2:09 || || '''8''' || Reality Surf || Whitearmor, Gud || 2:03 || || '''9''' || Noblest Strive || Whitearmor, Mechatok || 2:14 || || '''10''' || It Girl || || 2:15 || || '''11''' || Oh Well || Whitearmor, Lusi || 2:27 || || '''12''' || Valerie || || 2:39 || || '''13''' || Finder || || 1:43 || || '''14''' || Exstasia || || 2:20 || || '''15''' || Only One || Whitearmor, Joakim Benon || 2:29 || || '''16''' || Swan Lake || || 2:57 || || || || || 37:16 || ==== Good Luck (2020)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ECF2FB, #DCB59E, #8D8CBC, #74B1EA, #E4DDA2, #E0B9B1)" {{{#616C7D '''Good Luck'''}}}}}}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056167129325_1.jpg|width=100%]]}}} || ||<-4> [[Good Luck|[[파일:GoodLuckLogo.png|width=150]]]] {{{#333E5F (2020.12.10)}}} || ||<-4> {{{#616C7D '''트랙 리스트'''}}} || || # || 제목 || 프로듀서[*Mechatok 별도로 표기한 경우가 아니면 Mechatok가 프로듀서이다.] || 길이 || || '''1''' || Intro || || 2:30 || || '''2''' || Rainbow || || 3:29 || || '''3''' || Sun || || 3:11 || || '''4''' || God || || 2:25 || || '''5''' || Drama || || 2:01 || || '''6''' || You || || 2:02 || || '''7''' || Into One || || 3:09 || || '''8''' || Grace || || 2:07 || || || || || 20:54 || [[https://goodluck.gtb.sg/]] Mechatok과의 합작 앨범. ==== The Fool (2021) ==== ||<-4><:> {{{#D34E44 '''The Fool'''}}}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056495335931.png|width=100%]]}}} || ||<-4> [[The Fool|[[파일:TheFoolLogo.png|width=150]]]] {{{#7A7073 (2021.05.28)}}} || ||<-4> {{{#D34E44 '''트랙 리스트'''}}} || || # || 제목 || 프로듀서[*Lusi 별도로 표기한 경우가 아니면 Lusi가 프로듀서이다.] || 길이 || || '''1''' || The Fool Intro || || 1:59 || || '''2''' || Let's Ride || || 2:25 || || '''3''' || Hotel Breakfast || Lusi, LOESOE, Rok || 2:14 || || '''4''' || I Think... || Lusi, LOESOE, Rip || 3:11 || || '''5''' || Thee 9 Is Up || || 3:04 || || '''6''' || desiree || || 2:26 || || '''7''' || I Want It That Way || || 2:00 || || '''8''' || BBY || Lusi, LOESOE, Outtatown || 2:02 || || '''9''' || Inspiration Comes[br]{{{-2 '''feat.''' [[Thaiboy Digital]]}}} || || 2:56 || || '''10''' || egobaby || || 2:18 || || '''11''' || Trendy || Lusi, LOESOE || 2:43 || || '''12''' || Search True || Lusi, Clibbo || 2:36 || || '''13''' || Wett (Water2) || || 2:25 || || || || || 32:19 ||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bladee-the-fool/, 점수=7.7)] [[https://thefool.gtb.sg/]] ==== [[Crest]] (2022) ==== ||<-4><:> {{{#465257 '''Crest'''}}}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720693978326.png|width=100%]]}}} || ||<-4> {{{#465257 '''트랙 리스트'''}}} || || # || 제목 || 프로듀서[*WA] || 길이 || || '''1''' || The Flag Is Raised || || 2:59 || || '''2''' || 5 Star Crest (4 Vattenrum) || || 8:50 || || '''3''' || White Meadow || || 3:30 || || '''4''' || Faust || || 2:06 || || '''5''' || Yeses (Red Cross) || || 3:02 || || '''6''' || Desire Is a Trap || || 2:51 || || '''7''' || Chaos Follows || || 2:31 || || '''8''' || Girls Just Want to Have Fun || || 2:15 || || '''9''' || Heaven Sings || || 2:52 || || || || || 30:56 || 같은 [[Drain Gang]] 멤버인 [[Ecco2k]]와의 합작 앨범.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rest)] ==== Spiderr (2022) ==== ||<-4><:> {{{#70729F '''Spiderr'''}}}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720766426693.png|width=100%]]}}} || ||<-4> {{{#70729F '''트랙 리스트'''}}} || || # || 제목 || 프로듀서[*WA] || 길이 || || '''1''' || UNDERSTATEMENT || || 3:08 || || '''2''' || ITS OK NOT TO BE OK || || 1:17 || || '''3''' || I AM SLOWLY BUT SURELY LOSING HOPE || || 2:33 || || '''4''' || ICARUS 3REESTYLE || || 2:06 || || '''5''' || NOTHINGG[br]{{{-2 '''feat.''' Wondha Mountain}}} || || 3:06 || || '''6''' || BLUE CRUSH ANGEL || || 314 || || '''7''' || DiSASTER PRELUDE[br]{{{-2 '''feat. '''[[Ecco2k]]}}} || Whitearmor, Gud || 1:57 || || '''8''' || HAHAH || || 2:16 || || '''9''' || DRAIN STORY || || 1:50 || || '''10''' || Velociraptor || || 2:18 || || '''11''' || DRESDEN ER || || 2:55 || || '''12''' || She's Always Dancing || Whitearmor, Joakim Benon || 1:48 || || '''13''' || URIEL OUTRO || || 2:51 || || || || || 31:19 ||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bladee-spiderr/, 점수=7.7)] === 믹스테이프 === ==== Gluee (2014) ==== ||<-2><:> {{{#9771EB '''Gluee'''}}}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zsv23czgje91.jpg|width=100%]]}}} || ||<-2> {{{#9771EB '''트랙'''}}} || || '''1''' || Deletee (Intro) || || '''2''' || Safehouse || || '''3''' || Ebay[br]{{{-2 '''feat.''' [[Thaiboy Digital]] & [[Ecco2k]]}}} || || '''4''' || Shadowface || || '''5''' || Spellbound || || '''6''' || Everlasting Flames[br]{{{-2 '''feat.''' [[Thaiboy Digital]]}}} || || '''7''' || Freeze || || '''8''' || Upgrade Enabled || || '''9''' || Unreal || ==== Working on Dying (2017) ==== ||<-2><:> {{{#BC060F '''Working on Dyi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054526272675.png|width=100%]]}}} || ||<-2> {{{#BC060F '''트랙'''}}} || || '''1''' || Redlight Moments || || '''2''' || Lordship[br]{{{-2 '''feat.''' [[Yung Lean]]}}} || || '''3''' || Knightsbridge || || '''4''' || Backstr€€t Boys[br]{{{-2 '''feat.''' Black Kray}}} || || '''5''' || Under Your Spell || || '''6''' || D-925 || || '''7''' || Gatekeeper || || '''8''' || Cherry Bracelets[br]{{{-2 '''feat.''' [[Yung Lean]] & [[Ecco2k]]}}} || || '''9''' || Best Buy || ==== Icedancer (2018)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45398, #01ACFD, #F530FA, #00FB52, #F530FA, #01ACFD, #045398)" {{{#FFFFFF '''Icedanc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cedancer.jpg|width=100%]]}}} || ||<-2> {{{#0F4176 '''트랙'''}}} || || '''1''' || SmartWater || || '''2''' || OKK || || '''3''' || Mallwhore Freeestyle || || '''4''' || Be Nice 2 Me || || '''5''' || Frosty the Snowman || || '''6''' || Inside Out[br]{{{-2 '''feat.''' [[Yung Lean]]}}} || || '''7''' || Close || || '''8''' || Jaws || || '''9''' || Cartier'God - Icedancer (Intermission) || || '''10''' || Side by Side[br]{{{-2 '''feat.''' [[Thaiboy Digital]]}}} || || '''11''' || Topman || || '''12''' || Waster || || '''13''' || Special Place || || '''14''' || DG Jeans || || '''15''' || Feel Like || || '''16''' || Linkdin || || '''17''' || For Nothing || || '''18''' || Anything || || '''19''' || The Silent Boy Cries (Ripsquadd Outro) || ==== Exeter (2020) ==== ||<-2><:> {{{#FBFA75 '''Exet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054526644649.png|width=100%]]}}} || ||<-2> {{{#B8680C '''트랙'''}}} || || '''1''' || Mirror (Hymn) (Intro) || || '''2''' || Wonderland[br]{{{-2 '''feat.''' [[Ecco2k]]}}} || || '''3''' || Merry-Go-Round || || '''4''' || Rain3ow Star (Love Is All) || || '''5''' || Every Moment Special || || '''6''' || DNA Rain || || '''7''' || Open Symbols (Play) Be in Your Mind || || '''8''' || Lovestory[br]{{{-2 '''feat.''' [[Ecco2k]]}}} || || '''9''' || Imaginary ||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bladee-exeter/, 점수=7.2)] [[https://exeter.gtb.sg/]] === EP === * Rip Bladee (2016) * AvP (2016)[* [[Thaiboy Digital]]과 함께 작업한 EP] * Sunset in Silver City (2018) * Exile (2018) == 여담 == * 상당히 잘생겼다. * 팬덤 내에서 블레이드를 비롯한 [[드레인 갱]]의 음악에 빠져든 것을 'drained'라고 말하고, 드래인 갱의 음악을 듣는 것을 'draining', 드레인 갱의 팬을 'drainer'라고 부르곤 한다. * 인터넷 음악 평론가 [[앤서니 판타노]]는 Red Light에 1점을 주며 혹평하는 것으로 블레이드의 음악을 평가하기 시작했는데, 갈수록 블레이드의 앨범에 매기는 점수가 1점씩 오르더니 결국 Crest에는 기어코 8점을 줬다. * 정규 앨범과 믹스테이프의 구분이 조금 모호하다. 확실히 믹스테이프라고 알릴 때도 있으나, 소속 레이블인 YEAR0001의 홈페이지에서는 싱글 아니면 앨범 [[흑백논리|두 가지로만 분류]]하기 때문에 혼선을 빚기 쉽다. 특히 Exeter의 경우 정규 앨범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다. * 패션 스타일이 매우 변화무쌍한데, 이 때문에 사진마다 모두 다른 사람으로 보일 정도다. 심지어 외모마저 조금씩 다르게 보이기도 해서 뭐가 진짜 블레이드의 모습인지 모르겠다는 말이 나올 정도. * --[[https://youtu.be/LDGNdQ_DXRY?t=829|라이브를 잘한다.]] 의외로 원곡과 라이브 차이가 거의 없는 래퍼다.-- * 어렸을 때에는 예술가나 화가가 꿈이었고 음악을 풀타임으로 하게 될 줄은 상상도 못했다고 한다.[[https://i-d.vice.com/en/article/xwmzgz/10-things-you-need-to-know-about-bladee|#]] * 어딘가 삐걱거리는 모습 때문에 밈이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게 wooden horse(...) * [[스웨덴어]]로 인터뷰하는 영상이 있다.[[https://youtu.be/NqRpFavp8wQ|#]] [[영 린]]의 다큐멘터리 영상의 일부분인데 영어로 말할 때와는 완전 다른 목소리이다. 이 때문에 유튜브 댓글 중 전쟁 후 살아남은 군인의 인터뷰를 듣는 것 같다는 글이 있다. * 숫자 3을 특히 좋아한다. * [[Asian Glow]]가 블레이드의 팬으로, 커버곡을 내기도 하였다. * [[xQc]]는 블레이드 노래를 처음 듣고 쓰레기같다고 비난했으나 나중에 라이브 도중 Be Nice 2 Me를 흥얼거리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다. * [[태국]]에서 [[번개]]를 맞은 적이 있다. 그런데 당시 병원을 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서 그냥 침대에 누웠고 죽을 것이라 확신했지만 죽지 않았다.[[https://www.thefader.com/2019/09/17/bladee-interview-drain-gang-trash-island|#]] [각주] [[분류:Blad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