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동음이의어, rd1=블레이드, other2=마블 코믹스의 히어로, rd2=블레이드(마블 코믹스))] [목차] == [[O2Jam|오투잼]]의 수록곡 Blade == [youtube(QjhxtVV8x7M)] 원곡 [youtube(nJBLe-QWLas)] 원곡이 아닌 Another 버전. 다만 원곡과 큰 차이는 없다. 초기 [[O2Jam|오투잼]] 온라인에서 수록된 곡[* [[블레이드|곡]]의 등장 시기는 2의 항목보다 훨씬 일찍이다.]이며, BeautifulDay에서 작곡했다. 사이트에 적힌 곡 설명에선 [[블레이드(마블 코믹스)|뱀파이어 같은 괴물들을 머신건으로 상대]]하는 기분이 들도록 만들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썸네일에서의 오투잼 마스코트인 오투모의 모습은 [[블레이드(마블 코믹스)|블레이드]] 캐릭터를 의식한 듯하다. 곡 자체는 멋들어진 기타 사운드를 선보이며 나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원곡의 하드 패턴은 처음 나왔을 때 난이도 18을 부여받았다. 당시, 그러니까 [[O2Jam|오투잼]] 초창기 시절에는 최고 레벨이자 보스곡이었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1번-7번 노트에 16비트 하이햇 연타가 [[트릴]]로 주구장창 나오기 때문에 개인차가 상당히 갈렸었다. 그 실체는 노멀 패턴을 살짝 수정해서 가운데 5라인으로 몰아넣은 후 양쪽 트릴만 추가한 것. 이런 면에서는 성의 없다고 욕을 먹기도 했다.~~그러나 [[Jinglebell Mega Mix]]만큼 욕을 먹지는 않았다. 그건 그냥 사기도 아닌 막장노트~~ 본 채보의 난이도를 올리는 주범은 바로 '''배드 말림'''. [[O2Jam|오투잼]] 온라인은 판정이 상당히 후하기로 유명했는데, 문제는 배드 판정까지도 상당히 넓었고, 그렇기에 [[트릴]] 부분의 노트를 실수로 하나라도 더 치게되면 앞선 노트에서 계속해서 배드 판정이 나는 바람에 게이지가 뚝뚝 떨어졌다. 물론 노트가 밀린 부분을 한 박자 쉬어주면 수습이 가능하지만 다른 노트를 처리하면서 수습하기도 쉽지 않거니와, 설령 어찌저찌 수습한다 쳐도 다시 배드 말림이 일어나기 일쑤였다. 이런 이유로 난이도는 상당했으며, 특히 [[후살]]이 꽤나 강력하게 나온다. 이후 최고 레벨이 확장되면서 [[사기 난이도]]라는 말이 많았고, 결국 레벨 20으로 올라갔다. 그러나 체감은 23 내외로 여전히 사기라는 평을 들었다. 그리고 오투매니아에서 하드 판정을 먹인 후 플레이를 해보면 온라인에서 익숙한 판정이 죄다 배드뜨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이 곡의 최고 난이도 자리를 계승한 곡이 그 악명 높은 ~~[[Jinglebell Mega Mix]]~~ Electro Fantasy SUPER HARD의 '''이지''' 패턴이였으니 난이도 인플레이션이 얼마나 심각했는지 짐작이 갈 것이다(...). 그러나 실상은 초창기의 콩라인. 왜냐하면 [[Jinglebell Mega Mix]]가 16레벨 주제에 30레벨에서나 볼 법한 패턴으로 유저들의 키보드를 박살내버리면서 초창기의 진 최종보스곡으로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비록 난이도에 개인차가 있다고는 하지만 아무리 잘 평가해도 블레이드가 징글벨보다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은 한 명도 없다. 블레이드의 체감이 23정도라면 징글벨의 체감은 쉬는 구간을 감안하더라도 26 정도다(…). 배치의 특성상, New eXperience 패치에 추가 된 랜덤 옵션과 슈퍼랜덤 옵션[* [[EZ2AC 시리즈|EZ2DJ 시리즈]]의 그것과는 이름만 같고 다르다. EZ2DJ에서는 노트 하나하나당 배치가 무작위로 바뀌는 옵션이라면, [[O2Jam|오투잼]]에서는 마디마다 랜덤이 새로 걸리는 식의 옵션이다. 다만 [[EZ2DJ Platinum]]의 슈퍼랜덤 옵션은 오투잼과 똑같은 옵션으로 변경된 적이 있었으며, [[EZ2DJ 6th TRAX ~Self Evolution~]]에서 원래대로 돌아왔다가 이후 PS(플래티넘 슈퍼랜덤) 옵션으로 분리되었다.]이 본 곡의 난이도를 크게 낮추는데 공헌을 하였다. 랜덤 옵션으로는 황금배치를 노릴 수 있고, 슈퍼랜덤 옵션은 황배를 노리긴 좀 까다로워도 말리기 딱 좋은 채보의 반복성을 떨어뜨리는 데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번외 버전으로 리로디드와 어나더가 있었는데, 거의 같은 곡에 패턴만 약화시켜(…) 내놓은 것. 특유의 무한 [[트릴]] 패턴의 빈도는 많이 줄었지만, [[후살]]만큼은 그래도 강력하다. 하드 난이도가 8밖에 안되는 아나더 버전도 후살 패턴은 난이도에 비해 상당히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youtube(m0Dpm77ntC0)] [[오투잼 U]]에도 업데이트 되었는데, 온라인 수록곡들은 대부분 온라인 시절의 패턴을 최대한 반영한 것과는 다르게 이 곡은 패턴을 거의 갈아엎어 흔적도 찾기 힘들 정도로 새롭게 작성되어있다. 본 게임 특성상 양측 [[트릴]] 배치를 넣기 곤란한 것도 있지만, 옛 시절의 썩 좋지 않았던 패턴을 기억하는 유저 대다수에게 호평을 받았다. [youtube(l0DceWEUT6Y)] 이후에 아티스트 KAZ에 의해 [[오투잼 아날로그]]에 Blade II (Live Mix)란 제목으로 리메이크되었다. 원곡에 비해 펑크한 분위기가 일품. [youtube(hT38oW3zGO4)] 후속작인 Blade III. 원작과의 괴리가 상당하다. == [[Ryu☆]]의 5집 앨범 [[Plan 8]]의 수록곡 Blade == [youtube(Q3PhgCLS-tM)] 롱버전 음원 [[Ryu☆]]가 靑龍 명의를 사용하여 작곡한 곡으로, 그의 5번째 앨범인 [[Plan 8]]에 최초로 수록되었다. [[리플렉 비트 콜레트]] 섬머 시즌의 추가 해금곡으로 수록되었다. 그 탓에 역시 같은 작곡가의 앨범에 수록된 곡인 [[KOROBUSHKA (Ryu☆Remix)]]나 [[Sakura Luminance]]처럼 라이센스 곡 취급을 받는다. 해당 곡 앨범 자켓도 그렇고, 앨범 발매 기념 이식곡으로 보면 된다. 청룡의 곡들 중 그 어떤 곡들보다도 '''굉장히 부담스러운 보이스 샘플링'''으로 악명높다(...).~~링간 쒀쒀쒀 링간 쒀쒀쒀 링간 쒀쒀쒀 라이트닝 넥싱~~ --[[프링글스]]를 더 달라거나 빅맥이 너무 크다고 부르는 노래-- [[BLUE DRAGON]]에 해당곡을 다시 리믹스한 ~~현실은 사골~~ 곡이 수록되었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include(틀:콜레트 피싱)] ||<-7>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6> 난이도 || ||<|2><:> 191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 {{{#green 3}}} || {{{#orange 8}}} || {{{#red 10}}} || || 오브젝트 || {{{#green 124}}} || {{{#orange 405}}} || {{{#red 604}}} || || 수록버전 ||<-4> [[리플렉 비트 콜레트]] || [youtube(WfW7DonAgeo)] 전체적으로는 [[Ryu☆]]이 작곡한 곡들의 패턴이 복합적으로 나오는 보면. [[Castle on the Moon]]에 등장하는 3TOP 투하와 일반+TOP 동시치기, [[waxing and wanding]]에 등장하는 체인-일반-체인의 16비트 [[트릴]], [[532nm]]에 등장하는 연속 롱노트 등, 종합적인 처리력을 요구하는 보면이다.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 삭제되었다. [[분류:오투잼 시리즈/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콜레트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