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펌프 잇 업/리믹스 수록 목록]]으로 돌아가기 ||<:> 최초 수록 버전||||<:> [[펌프 잇 업 NX2]] || ||<:> 아티스트 ||||<:> [[BanYa|Banya Production]] || ||<:> BPM ||||<:> 120 || ||<:> 비주얼 ||||<:>[[범용 BGA]] || ||<:> 채널 ||||<:> Remix / NX ~ NXA || ||||||||||<:><#DDDDDD> 레벨 데이터 ※[[펌프 잇 업 XX|XX]] 기준 || ||<:> 타입 ||||<:> 레벨 || ||<|2><:> Remix ||<#ff5400> {{{#white Single}}} || '''22''' || ||<#00881a> {{{#white Double}}} || '''24''' || ||||||||||<#DDD> 채보 제작자 || || 타입 |||| 레벨 및 제작자 || ||<|2> Remix ||<#ff5400> {{{#white '''S22'''}}} ||<|2> '''EHNE''' || ||<#00881a> {{{#white '''D24'''}}} || [목차] == 개요 == [include(틀:펌프 잇 업 보스곡)] 펌프 잇 업 NX2에 추가된 리믹스로, 일렉 기타 위주의 반야 곡인 [[Gun Rock]], [[Phantom(펌프 잇 업)|Phantom]], [[Beat the ghost]]와 [[Guitar Man]]을 리믹스했다. 전체적인 흐름은 건 락과 팬텀을 따라가고, 비트 더 고스트가 두 곡 사이의 흐름을 매끄럽게 잇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각 음절 부분들을 적절히 다시 반복하거나 컷팅하여 분량에 균형을 맞춘 것도 특징이다. 이런 구성 덕분에 완성도가 높은 리믹스들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 채보 구성 == XX 기준으로 채보가 단 두 개 밖에 없다. 기타 맨의 고속 떨기나 팬텀의 저배속 채보과 같이 각 곡들의 아이덴티티인 패턴들을 가져온 게 특징이다. 이 때문에 두 채보들은 모두 종합적인 기술이 요구된다. 위의 음악적 평가와는 다르게 채보 제작자인 EHNE는 반야 프로덕션 노래가 맘에 들지 않아 플레이 카운트를 낮추려고 일부러 엉망으로 채보를 제작했다는 뒷얘기가 있다. === 싱글 === [youtube(_OyyM5WDMRA)] * Lv.22 - 한마디로 초살곡이다. 보통 초반 2노트+고각틀기 구간, 32비트 떨기와 뭉개기 구간+'''팬텀 저속구간'''에서 브렉오프 당하는 경우가 많다. 처음에 포션 없이 종합적인 기술을 테스트하기 때문에 특정 기술이 부족하면 곤란하다. 이 구간을 넘기면 이후는 22치고는 할만하다. 채보가 전체적으로 쉬는 구간이 없고 지저분하긴 하지만 반대로 딱히 강력한 킬링 파트도 없기 때문에 끌기를 적절히 사용하면 충분히 넘길 수 있다. 체력도 체력이지만 게이지 관리가 더욱 중요한 채보이다. === 더블 === [youtube(d-hAMvlkTNI)] [youtube(JRDKHXMsj8g)] 이 저속패턴을 공략하기 위해 일반 속도로 풀어낸 영상. * Lv.24 - S22를 펼친 채보로, 재봉틀 연타 앞에 [[Final Audition Episode 1]] D23와 비슷한 롱잡까지 추가되는 등으로 살이 많이 붙어서 훨씬 어려워졌다. 또한 건 락 부분에는 건 락 D24 초반부를 연상시킬 정도로 체중이동과 틀기도 상당해서 S22보다도 훨씬 더 많은 체력을 요구한다. 그리고 백미는, S22와 동일한 팬텀 저속구간. 피기타하면 모두가 이 구간을 떠올릴정도로 이 초살에서 무너지는 유저가 거의 대다수이다. 그러므로, 채보 숙지가 필요한 채보중 하나. 여담으로 이 채보를 [[FEFEMZ*]]가 러쉬 120을 걸고 브렉온한 적이 있었는데, 플레이 도중 관람하고 있던 누군가가 "러쉬 거니까 노래가 더 좋은데?"라고 말한 덕분에 이 곡은 일부 유저들에게 '''러쉬를 걸면 듣기 좋아지는 곡'''으로 통하고 있다.[* 참고로 BPM 120짜리 곡을 1.2배속하면 144가 된다.] [[분류:펌프 잇 업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