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920년대]]부터 [[1960년대]]에의 [[미국]] [[극장]]에서 상영된 단편 [[애니메이션]] 중 [[검열]]되거나 몇몇 장면이 인종주의적 연출로 TV에서 편집되어 방영된 에피소드를 가리키는 용어 중 하나이자 폭력성, 저작권, 스토리텔링 연출 등의 문제로 방송이 금지된 미국의 [[TV판]] [[애니메이션]]을 가리키는 용어이기도 하다. 해당 목차의 단어로 구글이나 [[유튜브]]에 검색해보면 현재 [[텔레비전]] 방송이 금지된 적지 않은 극장용 단편들과 TV판 애니메이션들을 접할 수 있다. == 정의 == * 이 문단의 정의는 방송금지된 루니 툰 단편 [[https://en.wikipedia.org/wiki/Censored_Eleven|Censored eleven]](검열된 11편)의 정의를 가리키므로 현재 TV에서 폭력성, 저작권 침해, 스토리텔링 문제 등으로 인해 방송이 금지된 TV판 애니메이션들은 제외되어 있으니 주의바람. 엄밀히 말하자면 과거 미국의 극장용 단편 애니메이션에서 묘사된 인종 관련 유머 & 개그에 대한 비판을 가리키므로 유의할 것.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 자체에 문제가 있었다기보다는 당시 사회의 문제점들을 반영하고 있다고 봐야 옳다. [[1968년]] 미국의 United Artists (현재 [[MGM]] 산하 스튜디오)에 의해 [[금서]]로 지정된 카툰 작품을 뜻한다. 당시 UA는 1948년 중기까지 상영되었던 루니 툰 단편 작품들에 대한 판권과 방송 권한을 가지고 있었기에 별다른 [[심의]] 기구가 없어도 제재가 가능했으며, 금서 지정 기준은 [[인종차별]]적인 스테레오 타입화가 두드러진 작품들이다. 해당 작품들은 1968년 이전까지만 해도 방송을 탔으나 이후에는 전혀 타질 못했다. [[21세기]]에 들어서 해당 작품에 대한 관심이 다시 환기되면서 재논의되기 시작하였고, [[2010년]]에는 해당 작품들의 [[필름]]들을 복원한 상연회가 열리면서 40여년만에 다시 방영되었다. == 해당 작품 == 문단 작성시 스테레오 타입 단편의 경우는 루니 툰 단편들과 타 영화사 작품들에서 인종에 대한 묘사가 문제점이거나 비 미국 백인종 스테레오 타입 유머가 들어간(전시선전 애니메이션[* 이경우는 주로 [[태평양 전쟁|태평양 전선]]에서의 추축국 황인([[일본군]])들에 대한 비하 및 희화화. 당시 전시선전용 애니메이션 자체가 추축군을 전체적으로 희화화하긴 했지만...]도 포함됨. 나머지는 대독선전물에 해당된다.) 작품들을 확인해 기록하며, TV판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확실히 스토리텔링 연출, 부정확한 유머나 폭력성들로 인해 논란이 빚여져 방송금지된 작품들을 기록할 것. 전시 프로파간다 작품인경우 ★로 표기함 === 극장용 애니메이션 === ==== [[루니 툰]] ==== * [[https://www.youtube.com/watch?v=TteiWRDSYm8&list=PLhGipfv0juZX6-WswR4uHYQDXV_op4_U7&index=10|Hittin the Trail for Hallelujah Land]] - 1931년 11월 28일 공개.[* 이 작품에서는 디즈니 단편의 [[오마주]]가 여럿 있는데. 중간에 엉클 톰이 해골을 보고 벌벌 떠는 장면은 1929년 디즈니 단편 시리즈 [[실리 심포니]]의 해골 춤(The Skeleton Dance)을 패러디한 것이며, 피기가 배를 모는 장면은 [[미키 마우스]]가 [[증기선 윌리]]에서 조종간을 잡은 모습이 연상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sTOqhzVrf1Y|Sunday Go to Meetin Time]] - 1936년 8월 8일 공개. * Clean Pastures - 1937년 5월 22일 공개. * [[http://www.dailymotion.com/video/xdbxf5_uncle-tom-s-bungalow_shortfilms|Uncle Toms Bungalow]] - 1937년 7월 12일 공개. 해리엇 비처 스토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 패러디. * [[https://www.youtube.com/watch?v=RkFhZMa-8Xw&index=33&list=PLhGipfv0juZX6-WswR4uHYQDXV_op4_U7|Jungle Jitters]] - 1938년 2월 19일 공개.[* 이 단편에서는 한 [[식인종]] 흑인 부족이 주인공 세일즈맨을 닭으로 바라보며 삶아먹으려고 한다.] * [[http://www.dailymotion.com/video/x2m9s8s|The Isle of Pingo Pongo]] - 1938년 9월 14일 공개.[* 이 작품은 [[엘머 퍼드]](당시에는 달걀머리)가 등장한 작품 중에서 유일하게 검열된 11편 목록에 들어가 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TlquOmv7Kk8&list=PLhGipfv0juZX6-WswR4uHYQDXV_op4_U7&index=55|All This and Rabbit Stew]] - 1941년 9월 20일 공개.[* 이 작품은 [[벅스 버니]]가 등장한 작품 중에서 유일하게 검열된 11편 목록에 들어가 있다.] * Coal Black and de Sebben Dwarfs - 1943년 1월 16일 공개. 전체적인 내용은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패러디. * Tin Pan Alley Cats - 1943년 7월 17일 공개. * [[http://www.dailymotion.com/video/x2nqcms|Angel Puss]] - 1944년 6월 3일 공개. * [[http://www.dailymotion.com/video/x23xgkx_goldilocks-and-the-jivin-bears-1944-banned-cartoon_shortfilms|Goldilocks and the Jivin Bears]] - 1944년 9월 2일 공개.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 패러디. * [[Tokio Jokio]]★ - 1943년 공개. * Nips The Nips★ - 1944년 공개.[* 한국 TV에서는 <멍청한 일본군들>이라는 제목아래 방영됨.] * Herr Meets Hare - 1945년 공개. * Horse Hare - 1960년 공개. ==== [[디즈니 단편]] ==== * Trader Mickey - 1932년 공개. * Mickey's Man Friday - 1935년 공개. * Commando Duck★ - 1944년 공개. * Education For Death★ - 1943년 공개. * Chicken Little★ - 1943년 공개. * The Spirit Of 43` - 1943년 공개. * [[총통각하의 낯짝]]★ 단편이 아닌 장편이고 실사 합성이 들어간 영화인 '[[남부의 노래]]'(1946년 공개)는 흑인과 백인, 동물 캐릭터들이 공존하는 세계[* 더군다나 흑인이 주인공이다.]를 그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용이 인종주의적이라는 '[[NAACP|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이하 NAACP)]]'의 지적[* 스테레오타입과 과장된 묘사를 지적한 게 아니라, 흑인들과 백인들의 교류가 비현실적이고(당시 인종차별이 만연한 미국에서는 있을 수가 없는 일이었다.) 잘못된 역사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을 디즈니가 받아들여 1986년 이래로 TV 방송과 광매체 출시를 하지 않았다. ==== [[플라이셔 스튜디오]](= 페이머스 스튜디오) 작품 ==== * Making Stars - 1935년 공개. [[베티 붑]] 단편 * You're a Sap, Mr. Jap★ - 1942년 공개. [[뽀빠이]] 단편. * Scrap the Japs★ - 1942년 공개. 뽀빠이 단편. * Seein' Red, White 'N' Blue★ - 1943년 공개. 뽀빠이 단편. * Pop-Pie a La Mode - 1945년 공개. 뽀빠이 단편. * Popeye's Pappy - 1952년 공개. 뽀빠이 단편. ==== [[유니버설 픽처스]](= [[월터 란츠]] 프로덕션) 작품 ==== * [[https://www.youtube.com/watch?v=FUYarKCTvIk|Scrub Me Mama with a Boogie Beat - scrub me mama with a boogie beat]][* 일단 보면 알겠지만 노골적인 흑인 비하로 가득하다. 모기에게 물려도 반응속도가 3초나 늦을 정도로 게으른 것, 수박 먹는 장면 등등... 1948년 재상영 당시 [[NAACP]]에서 영화의 내용에 대해 유니버설 측에게 항의하는 소동이 빚어진 적도 있다.] ====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작품 ==== * His Mouse Friday - 1951년 공개. [[톰과 제리]] 단편[* 이 단편 말고 종종 블랙 페이스가 나오는 에피소드들이 톰과 제리에서 여럿 있다.] * Uncle Tom's Cabaña - 1947년 공개. === TV판 애니메이션 === ==== 비성인 애니메이션 ==== * [[타이니 툰]] - One Beer[* 물론 이 내용들은 전부 촬영된 것이었고, 촬영을 마친 버스터 일행이 취하는 것은 나쁜 짓이란 교훈을 말하며 스튜디오를 나온 후에 에피소드가 끝난다.] * [[네모바지 스폰지밥]] - [[넌 해고야!|Spongebob, You`re fired!]] * [[렌과 스팀피]] - Man's Best Friend * [[덱스터의 실험실]] - Dial M for Monkey: Barbequor, Rude Removal * [[카우 앤 치킨]] - Buffalo gals, No smoking ==== 성인 애니메이션 ==== 아래 세 작품은 작품 자체가 아니라 일부 에피소드에서 관련 논란이 벌어졌다. * [[심슨 가족]] * [[사우스 파크]] * [[패밀리 가이]] == 기타 작품 == 이러한 작품들 중 고정관념적 인종주의 유머가 들어간 작품은 벤 뷰런 스튜디오가 제작한 톰과 제리[* 흔히 알고 있는 그 [[고양이]]와 [[쥐]]가 아니라 이름만 같은 [[인간]] 캐릭터들이다.]이나 [[어브 아이웍스]]가 제작한 little black sambo 등도 포함된다. TV판 애니메이션 중 1960년대 중후기의 [[슈퍼히어로]]물처럼 폭력성으로 인해 시민단체의 표적이 되어 비난받았던 사례와, 니켈로디언, 카툰네트워크 애니메이션에서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내외적으로 논란이 빚어져 [[방송금지]]된 애니메이션 단편이 몇몇 있다. == 여담 == * 위에 서술된 작품들 중 일부 단편들은 퍼블릭 도메인으로 풀려 유튜브에서 시청할 수 있으며, 비공식 VHS로 발매된 영화들도 있다.[[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nimated_films_in_the_public_domain_in_the_United_States|미국 도메인에 공개된 극장 애니메이션 단편 목록]] 일부 단편들은 광매체에 수록될 때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었는데, 공식 DVD, BD에 수록되지 않았거나 [[디즈니+]], [[HBO 맥스]] 등의 [[OTT]] [[스트리밍]] 사이트에서도 시청할 수 없는 작품들도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제작된 루니 툰, [[뽀빠이]], 디즈니의 [[선전 애니메이션]]들도 스테레오 타입이 문제가 되어 2000년대에 뒤늦게 광매체로 발매될 수 있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흑인민권운동]]의 영향으로 [[정치적 올바름]]이 급부상하면서 스테레오 타입 개그 & 연출이 수록된 작품들이 TV 방송시 부분적으로 장면을 편집하기도 했고, 극소수지만 위에 수록된 단편들 중 일부는 스토리텔링, 캐릭터를 비롯한 작품성을 인정받아 재평가된 사례도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1994년 출간된 [[최고의 카툰 50선]]에서 coal black and de sebben swarfs, 총통각하의 얼굴이 각각 21번, 22번으로 선정되었다.] * 래퍼이자 [[비욘세]]의 남편인 [[JAY-Z]]의 곡 'The Story of OJ'의 애니메이션으로 된 [[뮤직비디오]]에는 '''위에서 언급한 흑인 스테레오 타입, 인종 비하적인 묘사가 엄청 많이 등장한다.''' 본 곡을 비롯한 웬만한 흑인 래퍼들의 곡들부터가 [[니거|인종비하적인 단어]]가 잔뜩 들어가 [[Parental Advisory|흑백 딱지]]가 붙은 일이 다반사인데다가, 본인도 흑인이라서 이런 건 제한을 두지 않는 듯 하다. 사실 뮤직비디오 내용 자체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역사, 미디어에서 받은 박해~~를 딛고 이 자리까지 올라온 게 자신의 자랑거리~~를 묘사한 것에 가깝겠지만.. == 관련 문서 == * [[인종차별]] * [[제2차 세계 대전]] * [[태평양 전쟁]] * [[행정명령 9066호]] * [[환상의 에피소드]] * [[환상의 작품]] [각주] [[분류:미국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