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 '''{{{#BE0D10 Bangarang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30대 EDM 앨범)] ---- [include(틀:NME 선정 댄스 음악을 영원히 바꾼 40대 앨범2, 순위=40)] ---- [include(틀:스핀 매거진 선정 2010년대 101대 명반, 순위=5)]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Bangarang)] ---- ||<-5>
{{{#fcbd33 '''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fcbd33 빌보드 뮤직 어워드}}}]]'''}}} || ||<-5> [[빌보드 뮤직 어워드|[[파일:빌보드 뮤직 어워드 로고.svg|width=150]]]] || ||<-5> {{{#fcbd33 '''탑 댄스 / 일렉트로닉 앨범'''}}} || || '''[[2012년]]''' || {{{+1 → }}} || '''[[2013년]]''' || {{{+1 → }}} || '''[[2014년]]''' || || [[Born This Way]][br]{{{-1 [[레이디 가가]]}}} || {{{+1 → }}} || '''"[[MDNA]] / [[Bangarang]]" [br]{{{-1 [[마돈나(가수)|마돈나]] / [[스크릴렉스]]}}}''' || {{{+1 → }}} || [[Random Access Memories]][br]{{{-1 [[다프트 펑크]]}}} || ||<-5> || ---- }}} || |||| '''{{{+1 {{{#BE0D10 ''Bangarang''}}}}}}'''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뱅가랭.jpg|width=100%]]}}}|| || '''{{{#BE0D10 아티스트}}}''' || [[Skrillex]] || || '''{{{#BE0D10 음반}}}''' || [[Skrillex/디스코그래피#s-3.5|Bangarang]] || || '''{{{#BE0D10 발매일}}}''' || [[2011년|2011.]] [[11월 8일|11. 08.]] || || '''{{{#BE0D10 장르}}}''' || [[글리치(음악)|글리치 합]], [[드럼 앤 베이스#s-5.11.1|드럼스텝]] || || '''{{{#BE0D10 작사/작곡}}}''' || [[Skrillex]] || || '''{{{#BE0D10 레이블}}}''' || Big Beat Records[* [[워너 뮤직 그룹]] 소속 레이블이다.] [[워너 뮤직 그룹#s-2.1.1|Atlantic Records]] [[OWSLA]] || [목차] [clearfix] == 개요 == [[Skrillex]]의 5번째 [[EP]] 앨범 이름이자 [[타이틀곡]]. == 수록곡 == ||<-3><#fff> '''{{{#BE0D10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Right In || 4:00 || || 2 ||Bangarang || 9:13 || || 3 ||Breakn' a Sweat (with [[도어즈|the Doors]]) || 5:18 || || 4 ||The Devil's Den || 0:12 || || 5 ||Right on Time (with 12th Planet and Kill the Noise) || 6:49 || || 6 ||Kyoto (featuring Sirah) || 7:55 || || 7 ||Summit (featuring [[Ellie Goulding]]) || 2:40 || ||<-4> '''{{{#BE0D10 {{{-2 총 러닝타임 - 30:08}}}}}}''' || == 평가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스크릴렉스 이름을 대중적으로 널리 알리게 된 앨범이자 그의 커리어 중에서 대중적으로 가장 성공한 앨범이다. 북미 내에서만 백만장을 팔아치워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처음 EP가 발매 되었을 때는 대중적인 성공과 별개로 비평적으로는 호불호가 뚜렷한 평가를 받았다. [[NME]], [[AllMusic]],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등 많은 매체는 쾌락적, 인위적이고 조악한 기술로 틀에 박힌 음악을 만들어냈다고 비판을 가했지만, [[롤링 스톤]]은 '덥스텝을 영국 댄스씬의 헤비메탈로 바꾼 마법사'라고 호평을 했고, 이후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30대 EDM 앨범]]에 선정했다. == 곡 Bangarang == 곡의 장르는 [[글리치(음악)|글리치 합]], [[드럼 앤 베이스#s-5.11.1|드럼스텝]]. 글리치 합이라는 것에는 아무런 이견이 없지만, 드럼스텝 부분은 흔히 순수 덥스텝으로 아는 경우가 많은데, 브로스텝에 많이 쓰이는 와블베이스가 적용되었기 때문에 BPM과 장르에 대한 정보가 없는 리스너들은 와블베이스만 듣고 덥스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정보가 있는 리스너도 드럼 비트가 변칙 없이 정박으로만 치기 때문에 하우스로 혼동할 가능성이 높다. 근래의 하우스 곡들은 짝수박에 킥과 스네어를 같이 치는데, 이렇게 되면 구분하기 어려운 게 정상이다.[* 당장 [[https://en.wikipedia.org/wiki/Bangarang|영어 위키피디아 문서]]에서도 [[덥스텝]]이라고 잘못 적혀있다.] 드럼 치는 것을 자세히 들어보면 짝수박에 킥이 없는 걸 확인할 수 있으며, 덥스텝치고는 약간 빠르다. 2012년, 이 곡으로 인해 많은 한국 사람들이 이 곡의 장르를 덥스텝으로 착각하면서, 덥스텝이란 장르를 알게 되었다. 아이스크림 자동차 주인장이 마지막에 손에 [[의수]]로 갈고리를 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이 곡에서 샘플링으로 등장하는 'Bangarang'이라는 단어가 영화 [[후크(영화)|후크]]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http://entertainment.time.com/2012/12/04/top-10-arts-lists/slide/skrillex-bangarang/|링크]]. 국내에서는 곡 초반부가 [[몬더그린]]으로 인해 '[[몬더그린/외국어-한국어/영어|삼성 엄마 보이스]]'로 들려서 이 이름으로 통하는 곡이기도 하다.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3&dirId=302&docId=171954742&qb=7IK87ISxIOyXhOuniCDrs7TsnbTsiqQ=&enc=utf8§ion=kin&rank=10&search_sort=0&spq=0|링크]]. 심지어 [[불알]]도 들린다! 뮤직비디오의 내용은 이렇다. 어느 날 세 명의 소년들이 아이스크림 [[푸드트럭]]에서 [[아이스크림]]들을 훔치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리고 그 계획은 성공하는 듯 하였으나[* 새총으로 작은 폭탄을 날려 차를 멈춘 후, 배터리로 만든 전기 충격기와 구슬들로 가게 주인을 움직이지 못하게 만드는 사이 아이스크림들을 싹 가지고 도망가는 계획.], 도망가려는 도중에 한 명이 가게 주인장에게 잡혔는데, 주인공은 친구를 구하려고 문을 세게 걷어차 가게 주인장의 한 쪽 손을 문 틈으로 절단해버리고 만다. 다른 아이들은 그 사실을 모르고 자신들의 성과를 즐겼으나, 주인공은 자신이 가게주인을 불구로 만들었다는 악행에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시간이 지난 뒤 어른이 된 주인공은 2명의 친구들과 함께 이번에는 강도들의 돈을 뺏고,[* 초반에 아이스크림 트럭을 습격하는 장면과 비슷하게 연출을 했다. 아이스크림 트럭은 돈이 든 밴으로, 새총과 장난감 쌍안경 등이 야간투시경, [[AT4|로켓포]]같은 장비로 바뀌었다.] 옛날의 그 아이스크림 가게 주인장에게 돈가방을 주어서 죗값을 청산한다. ~~어째 신나는 음악에 비해 스토리가 쓸데없이 감동적(?)이다.~~ 2022년 10월 기준 유튜브 조회수는 9억회를 돌파했다. === 가사 === ||<-2> '''{{{#ff0000 {{{+4 Bangarang}}}}}}''' {{{#ffffff Shouts to all my lost boys Sha-sha-sha-sha-sha-sha-shouts to all my lost boys we rowdy Shouts to all my lost boys Sha-sha-sha-sha-sha-sha-shouts to all my lost boys we rowdy Shouts to all my lost boys Sha-sha-sha-sha-sha-sha-shouts to all my lost boys we rowdy Shouts to all my lost boys Sha-sha-sha-sha-sha-sha-shouts to all my lost boys BANGARANG! Bass! BAYYYH! Wah-wa-wa-Wah-wa-wa-BANG-BANG o-ooo-ooo-ooo-o-ooo-ooo-wa, BANGARANG! BAYYYH! Wah-wa-wa-Wah-wa-wa, BANG BANG, o-ooo-ooo-ooo-o-ooo-ooo-wa you feel the? BAYYYH! Wah-wa-wa-Wah-wa-wa, BANG BANG, o-ooo-ooo-ooo-o-ooo-ooo-wa BANGARANG! BAYYYH! Wah-wa-wa-Wah-wa-wa, BANG BANG, o-ooo-ooo-ooo-o-ooo-ooo-wa you feel the? BASS! BAYYYH! Wah-wa-wa-Wah-wa-wa, BANG BANG, o-ooo-ooo-ooo-o-ooo-ooo-wa BANGARANG! BAYYYH! Wah-wa-wa-Wah-wa-wa, BANG BANG, o-ooo-ooo-ooo-o-ooo-ooo-wa you feel the? BAYYYH! Wah-wa-wa-Wah-wa-wa, BANG BANG, o-ooo-ooo-ooo-o-ooo-ooo-wa BANGARANG! BAYYYH! Wah-wa-wa-Wah-wa-wa, BANG BANG, o-ooo-ooo-ooo-o-ooo-ooo-wa you feel the? BASS! BAYYYH! Lose boys, sha-sha-sha-sha-sha-sha- shout to my lost boys we rowdy Shout to all my lost boys, sho-sho-sho-sho-sho-sho-shout to all my lost boys BANGARANG! Shout to all my lost boys, sho-sho-sho-sho-sho-sho-shout to all my lost boys we rowdy Shout to all my boss boys sho-sho-sho-sho-sho-sho, BAYYH, BAYYYH, BANGARANG! BASS! Wah-wah-ooo-wah, berm-berm-berm-mmmm-berm-berm-berm! Wah-wah-ooo-wah, berm-berm-berm-berm-WOOOOOOO! Wah-wah-ooo-wah, berm-berm-berm-mmmm-berm-berm-berm! Wah-ooo-ooo-woo-yuuuuh, you feel the? Wah-wah-ooo-wah, berm-berm-berm-mmmm-berm-berm-berm! Wah-wah-ooo-wah, berm-berm-berm-berm-WOOOOOOO! Wah-wah-ooo-wah, berm-berm-berm-mmmm-berm-berm-berm! Wah-ooo-ooo-woo-yuuuuh, you feel the? Wah-woooo-wah, berm, berm berm, berberber,berm, berm, Wah-woooo-wah-wah-wah-wah-WOOOOOO! Wah-woooo-wah, berm, berm berm, berberber,berm, berm, Wah-ooo-ooo-woo-yuuuuh, you feel the? Wah-woooo-wah, berm, berm berm, berberber,berm, berm, Wah-woooo-wah-wah-wah-wah-WOOOOOO! Wah-woooo-wah, berm, berm berm, berberber,berm, berm, Wah-ooo-ooo-woo-yuuuuh, do-do-do-do-do, BANGARANG! BASS! Shouts to all my lost boys Sha-sha-sha-sha-sha-sha-shouts to all my lost boys we rowdy Shouts to all my lost boys Sha-sha-sha-sha-sha-sha-shout to all my lost boys we rowdy Shouts to all my lost boys Sha-sha-sha-sha-sha-sha-shout to all my lost boys BANGARANG! BANG}}} {{{#ffb31c (Guitar Break)}}} {{{#ffffff we rowdy Shout to all my lost boys Sha-sha-sha-sha-sha-sha-shout to all my lost boys we rowdy Shout to all my lost boys Sha-sha-sha-sha-sha-sha-shout to all my lost boys we rowdy Shout to all my lost boys Sha-sha-sha-sha-sha-sha-shout to all my lost boys BANGARANG! BASS! Wah-wah-ooo-wah, berm-berm-berm-mmmm-berm-berm-berm! Wah-wah-ooo-wah, berm-berm-berm-berm-WOOOOOOO! Wah-wah-ooo-wah, berm-berm-berm-mmmm-berm-berm-berm! Wah-ooo-ooo-woo-yuuuuh, you feel the? Wah-wah-ooo-wah, berm-berm-berm-mmmm-berm-berm-berm! Wah-wah-ooo-wah, berm-berm-berm-berm-WOOOOOOO! Wah-wah-ooo-wah, berm-berm-berm-mmmm-berm-berm-berm! Wah-ooo-ooo-woo-yuuuuh, you feel the? BAYYYH! Wah-wa-wa-Wah-wa-wa-BANG-BANG o-ooo-ooo-ooo-o-ooo-ooo-wa, BANGARANG! BAYYYH! Wah-wa-wa-Wah-wa-wa, BANG BANG, o-ooo-ooo-ooo-o-ooo-ooo-wa you feel the? BAYYYH! Wah-wa-wa-Wah-wa-wa, BANG BANG, o-ooo-ooo-ooo-o-ooo-ooo-wa BANGARANG! BAYYYH! Wah-wa-wa-Wah-wa-wa, BANG BANG, o-ooo-ooo-ooo-o-ooo-ooo-wa you feel the? Hey someone got my marbles! But I got these beats banging out the back of my toy car! And yo i'm eatin' fundip right now, not giving a fuuuuck MWAH~}}} [[Skrillex|[[파일:Skrillex 로고.svg|width=200]]]] || === 매체 === [[소닉 붐 라이즈 오브 리릭]]의 초기 공개 시 트레일러에 이 음악이 사용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8V0P4Yvw7c|35초쯤부터 보자]]. [youtube(J8mPdJ_TM7k)] [[SNL Korea]] '''[[SNL 게임즈/시즌 1|레지던트 이불]]''' 편에서 좀비가 된 [[G-DRAGON]]을 죽이려고 기관총을 쓰면 발동되는 댄스와 함께 배경음으로 나왔다. 성격이 급한 사람은 4분 36초부터 보자. [[더 지니어스]]의 BGM으로 자주 사용되었는데, 주로 반전 상황과 [[이상민(룰라)|이상민]] 전용 BGM에 사용되고 있다. 또, [[갱스터 베가스]]의 메인 음악으로 쓰인다. [[개드립 피하기]]의 BGM으로도 쓰였다. [[정글의 법칙]]에서 BGM으로 자주 사용한다. [[두산 베어스]] 소속 외야수 [[국해성]]의 등장곡이다. >[[데드풀(엑스맨 유니버스)|데드풀]]: "미래에도 덥스텝이 인기 있냐?" >"one: is dubstep still a thing?" >[[케이블(엑스맨 유니버스)|케이블]]: "덥스텝은 계집애들을 위한 노래지" >"Dubstep is for pussies!" >[[데드풀 2]] 대사 中 [[데드풀 2]]에서도 사용되었다. [[데드풀(엑스맨 유니버스)|데드풀]]과 [[케이블(엑스맨 유니버스)|케이블]]이 [[데드풀 2/줄거리|격투를 벌이는 중]] 데드풀이 미래세계에서도 덥스텝이 인기 있냐고 개드립을 치고, 케이블은 덥스텝 따위는 샌님들 음악이라고 디스하는데, 즉각 음악이 덥스텝으로 바뀌는 메타 개그다. --덥스텝 아니고 드럼스탭이라며?-- 이후 둘이 수송차량에서 싸울 때도 한 번 더 나온다. === [[저스트 댄스 2020]] === ||<-4>
{{{#white '''프리뷰 영상'''}}} || ||<-4> [youtube(02_MTJGYhBg)] || ||<-4> {{{#white '''Skrillex Ft. Sirah - Bangarang'''}}} || || {{{#white '''난이도'''}}} || {{{#black 보통}}} || {{{#white '''모드'''}}} || {{{#black 솔로}}} || || {{{#white '''픽토그램 수'''}}} || {{{#black 177}}} || {{{#white '''골드 무브'''}}} || {{{#black 2}}} || ||<-4> [youtube(Q0mq-P_2O5U)] || ||<-4> {{{#white '''Skrillex Ft. Sirah - Bangarang (익스트림 버전)'''}}} || || {{{#white '''난이도'''}}} || {{{#black 익스트림}}} || {{{#white '''모드'''}}} || {{{#black 솔로}}} || || {{{#white '''픽토그램 수'''}}} || {{{#black 195}}} || {{{#white '''골드 무브'''}}} || {{{#black 4}}} || [[저스트 댄스 2020]]에 원곡으로 수록되었다. 익스트림 버전의 경우 2020 버전에 추가된 노래 중에서는 상당히 높은 난이도를 가진 편. 오리지널 버전의 댄스 코치는 실제 사람을 사용하는 저스트 댄스 시리즈에서는 이례적으로 3D 모델링을 사용했다. 자연스럽게 모델링되어 티가 나지는 않는다. [[분류:2012년 노래]][[분류:일렉트로닉 뮤직]][[분류:2012년 싱글]][[분류:2011년 음반]][[분류:저스트 댄스 수록곡]][[분류:영화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