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폴 매카트니/음반 목록)] [include(틀:윙스/음반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Band on the Run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13)]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418)]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412)]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500, 연도=1998, 순위2=515, 연도2=2000)]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333)]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182)]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영국 100대 명반2, 순위=75)] ---- [include(틀:Ultimate Classic Rock 선정 120대 록 명반)]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93)]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Caribou, 전번_아티스트=엘튼 존, 이번_앨범=Band on the Run, 이번_아티스트=윙스, 1위_기간=7주 연속, 후번_앨범=Hergest Ridge, 후번_아티스트=마이크 올드필드)] ---- ||<#FFFFFF><:><-5>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FFE400><:> John Denver's Greatest Hits ||<#FFE400><:> {{{+1 → }}} ||<#FFE400><:> [[Band on the Run]] ||<#FFE400><:> {{{+1 → }}} ||<#FFE400><:> John Denver's Greatest Hits || ---- ||<#FFFFFF><:><-5>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FFE400><:> The Sting ||<#FFE400><:> {{{+1 → }}} ||<#FFE400><:> [[Band on the Run]](2주) ||<#FFE400><:> {{{+1 → }}} ||<#FFE400><:> Sundown || ---- ||<#FFFFFF><:><-5>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FFE400><:> Sundown ||<#FFE400><:> {{{+1 → }}} ||<#FFE400><:> [[Band on the Run]](도합 4주) ||<#FFE400><:> {{{+1 → }}} ||<#FFE400><:> [[Caribou]] || ---- }}} || ||<-2><#000> '''{{{+1 Band on the R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aul_McCartney_%26_Wings-Band_on_the_Run_album_cover.jpg|width=100%]][br]}}} || ||<-2><#000>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앨범 뒷면 ▼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external/i279.photobucket.com/BandOnTheRunback800.jpg|width=96%]][br][* 카탈로그 넘버를 자세히 보면 알 수 있듯이 미국판 오리지널 앨범이다.]}}}}}}}}} || || '''발매일'''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1973년]] [[12월 7일]][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1973년]] [[12월 5일]] || || '''녹음''' ||[[1973년]] [[8월]] - [[10월]] || || '''장르''' ||[[팝 록]] || || '''재생 시간'''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41:08[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44:17 || || '''곡 수'''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9곡[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10곡 || || '''프로듀서''' ||[[폴 매카트니]] || || '''스튜디오''' ||[[라고스]] EMI 스튜디오 및 ARC 스튜디오, [[런던]] AIR 스튜디오 및 킹스웨이 레코더 || || '''레이블''' ||[[파일:Apple_Corps_logo.png|width=20]] [[애플 레코드]] || || '''싱글 발매곡''' ||[[Helen Wheels]] ,,(1973년 10월 23일),,[br][[Jet]] ,,(1974년 1월 28일),,[br][[Band on the Run]] ,,(1974년 4월 8일),,|| [목차] [clearfix] == 개요 == [[1973년]] 12월 5일(미국)/12월 7일(영국)에 발표한 [[폴 매카트니]]와 [[윙스]]의 3번째 스튜디오 앨범 및 동명의 곡이다. [[Ram(음반)|Ram]]과 함께 폴 매카트니 앨범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판매량과 인지도 측면에서도 가장 성공적인 앨범이다. [[1974년]] [[영국]]과 [[미국]]은 물론이고 [[호주]]와 [[노르웨이]], [[스페인]]등지에서 '''1위''' 타이틀을 획득한 앨범이다. [[1973년]] 《[[007]] [[죽느냐 사느냐]]》의 주제곡인 "[[Live and Let Die]]"로 최고의 주가를 달리고 있던 폴은 이때 즈음 차기작 'Band On The Run'에 대한 구상을 하고 있었다. 당시 영국에 싫증을 느끼고 있던 폴은 앨범 녹음 차 당시 [[나이지리아]]의 수도인 [[라고스]]로 향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8월 경 리드 기타리스트와 드러머가 탈퇴하는 일이 벌어졌고, 나이지리아의 스튜디오 상태도 말이 아니었기 때문에 기본적인 녹음만 마친 뒤 런던으로 돌아와 추가 녹음을 해야했다. 비틀즈 시절의 폴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하는 '쉽고 익숙한 멜로디'의 곡들이 포진되어 있어 비틀즈 시절에 익숙한 팬들도 쉽게 접근가능한 앨범이기에 솔로 커리어 중 가장 고르고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명반]]이라는 타이틀이 딱 들어맞는 셈이다. [[타이틀곡]] '[[Band on the Run(노래)|Band On The Run]]'은 감옥에 갇힌 절망적인 상황에서 탈출하는 가사를 담았고, 이는 앨범 커버에도 고스란히 드러나있다. 대중들의 일상탈출정서를 자극해 인기를 얻은 셈. 이 곡은 [[조지 해리슨]]이 비지니스 관련 미팅에서 했던 말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곡이다.[* [[1973년]]을 기점으로 폴 매카트니와 다른 멤버들 사이의 앙금이 상당히 해소되었는데, 이는 [[브라이언 엡스타인]] 사후 폴은 반대에도 나머지 3인의 찬성으로 비틀즈의 매니지먼트를 맡겼던 앨런 클라인의 사기 행각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두번째 트랙인 "Jet"도 상당한 인기를 얻으면서, 콘서트 레퍼토리에서 빠지지 않는 곡이 되었다. 또한 그의 상당한 인맥이 돋보이는데 마이클 파킨슨 (토크쇼 사회자), 케니 린치 (배우, 코미디언), [[제임스 코번]], 클레멘타인 프로이트,[* 그 유명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증손자이다. 칼럼니스트.] [[크리스토퍼 리]],[* [[드라큘라]]와 [[사루만]]으로 유명한 배우이다.] 존 콩테 (권투 선수), 윙즈 멤버 3인이 출연한다. 이 커버는 나름 유명해서, 다른 매체에서도 [[패러디]]된 바 있다. 대표적으로 《[[마다가스카]]》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en/3/36/Madagascar_Theatrical_Poster.jpg|포스터]]. 앨범 B사이드의 첫 곡인 "Let Me Roll It"도 [[존 레논]] 특유의 느낌이 나는 나른한 멜로디에 인상적인 기타리프가 어우러진 숨겨진 명곡이며, "Picasso's Last Words (Drink to Me)"는 《[[빠삐용(영화)|빠삐용]]》을 촬영하던 [[더스틴 호프먼]]의 제안으로 만들게 된 노래라고 한다. 그리고 [[애플 레코드]]에서 내놓은 매카트니의 마지막 앨범이기도 하다. 매카트니의 리마스터링 시리즈인 'Paul McCartney Archive Collection'의 첫 앨범으로 발매되기도 했다. ||[[파일:external/pds25.cafe.daum.net/download.php?grpid=7aa&fldid=37F1&dataid=73&fileid=5®dt=20051110232949&disk=20&grpcode=pepperland&dncnt=N&.jpg|width=400]]|| 이 앨범은 오아시스 레코드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라이센스 발매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앨범의 제목이자 타이틀 곡인 "Band On The Run"이 금지곡으로 지정당해 버린 것이다. 이에 따라 결국 오아시스 레코드 측에서 할 수 없이 이 곡을 지우고 앨범 제목까지 'Paul McCartney & Wings'로 바꾸는(!) 대담함을 보여주었다. 다만 초판은 곡이 그대로 실렸으며, 제목도 그대로 발매되었다. 금지곡 지정은 이후에 일어난 일이다. 앨범 커버는 [[힙노시스]]가 디자인했다. == 트랙 리스트 == * 1. "[[Band on the Run(노래)|Band on the Run]]" [youtube(RjlvdcBAKdg)] * 감옥에서 탈출하는 이야기. 여러 파트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굉장히 다이내믹한 곡이다. * 2. "[[Jet]]" [youtube(ZwRXxtwcJus)] * 폴 매카트니가 기르던 조랑말의 이름이라 한다. [[Ram(음반)]] 앨범의 'Monkberry Moon Delight' 같이 아무 의미 없는 애매한 곡으로 지었다고 한다. 하지만 곡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이 곡으로 첫 싱글을 내라고 부추겼는데, 폴 매카트니는 히트 시킬려고 지은 곡이 아니라고 해서 반대했다고 한다. 하지만 싱글은 모두의 예상대로 히트하였고, 이 곡의 이름을 딴 동명의 밴드가 있을 정도로 파급력이 있었다. * 곡 안에서 전자 오르간 소리로 제트기의 느낌을 냈다. * 3. "Bluebird" [youtube(crV239HtBiY)] * 비틀즈 시절 곡인 'Blackbird'의 후속버전 쯤 된다. 폴 매카트니가 자메이카에서 휴가를 보내는 동안 작곡하였고, 사람을 정신적, 육체적 제약으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사랑의 힘에 대한 은유로 파랑새의 비행을 떠올렸다고 한다.'Blackbird'가 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곡이라면, 'Bluebird'는 폴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은 곡이었고, 휴가 당시 [[린다 매카트니]]와의 만족감과 비틀즈의 사업 제휴가 해체된 후의 안정감을 반영했다고 한다. 잔잔한 [[재즈]] 분위기와 아프리카 뮤직 풍이 나는데, 공교롭게도 이 곡의 타악기 연주자가 나이지리아인이었다고 한다. * 4. "Mrs Vandebilt" [youtube(L7BSYWhMJBQ)] * 5. "Let Me Roll It" [youtube(ly_G9QBX_f0)] * 비틀즈 멤버들 간의 앙금이 해소된 분위기에서 나온 곡. 조지 해리슨의 [[All Things Must Pass]]의 첫 트랙 "I'd Have You Anytime"의 가사 'Let me roll it to you.'에서 제목을 가져왔다. 또한 전체적인 사운드는 [[존 레논]]의 스타일과 유사하며, 가사 또한 존 레논과의 화해를 암시한다는 팬들의 해석이 있다. 곡의 보컬 스타일과 기타 연주가 존 레논의 스타일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폴 매카트니 본인도 그러한 사실을 인정하였고, '저희 둘은 생각보다 공유하는 부분이 많아요.'라고 응수하였다. 애잔한 분위기에 기타 리프가 멋있어서 공연 레파토리에 자주 등장하는 곡이다. * 6. "Mamunia" [youtube(v9rDdaxK0nE)] * 7. "No Words" [youtube(rD9BxqgkWns)] * 폴 매카트니 - 데니 레인 공동 작곡. 존 레논과 같은 작곡 파트너의 부재로 아쉬워하던 폴 매카트니가 데니 레인에게 작곡을 독려하여 만들어진 곡이다. 1972년에 이미 완성되었으나 이 앨범을 통해 발매되었다. * (8). "Helen Wheels" [youtube(oL5xX-wH0NU)] * [[영국]]판 버전에는 실려있지 않다. 원래는 미국 앨범에도 싣지 않으려 했지만 캐피틀 레코드 사의 간곡한 요청으로 싱글 곡이었던 이 곡을 앨범에 싣는 것을 허락했다고 한다. 1999년에 발매된 25주년 기념반에는 이 곡이 실렸으나 2010년 발매된 리마스터 판은 매카트니의 본래 아이디어를 존중하여 이 곡을 보너스 CD에 수록했다. * 8 (9). "Picasso's Last Words (Drink to Me)" [youtube(9NobdV5Kxw8)] * 매카트니가 자신은 어떤 소재로도 노래를 만들 수 있다고 하자 더스틴 호프먼이 제안한 소재인 [[파블로 피카소]]의 [[유언/실존인물/서양|유언]](나를 위해 축배를 드시오!)으로 만든 노래. 노래 도중에 Jet의 멜로디가 잠깐 나온다. 일종의 Reprise. * 9 (10). "Nineteen Hundred and Eighty-Five" [youtube(M9L0Y9VbZG0)] * 피아노 리듬이 강하고 웅장한 곡. 한동안 라이브를 하지 않다가 2010년대부터 폴 매카트니 공연에 고정 레파토리가 되었다. 끝날때 오프닝 곡인 '[[Band on the Run(노래)|Band on the Run]]'이 잠깐 나온다. 이것 역시 일종의 Reprise. === 1993 The Paul McCartney Collection === * 1. "Band on the Run" * 2. "Jet" * 3. "Bluebird" * 4. "Mrs. Vandebilt" * 5. "Let Me Roll It" * 6. "Mamunia" * 7. "No Words" * 8. "Picasso's Last Words (Drink to Me)" * 9. "Nineteen Hundred and Eighty-Five" * 10. "Helen Wheels" * 11. "Country Dreamer" – 3:07 === 1999 25th Anniversary Edition === ==== CD 1 ==== * 1993 The Paul McCartney Collection과 동일 ==== CD 2 ==== * 1. "Band on the Run (Nicely Toasted Mix)" * 2. "Band on the Run (Original)/Paul McCartney (Dialogue link 1)" * 3. "Band on the Run (Barn Rehearsal – 21 July 1989)" * 4. "Paul McCartney (Dialogue link 2)/Mamunia (Original)/Denny Laine (Dialogue)/Mamunia (Original)/Linda McCartney (Dialogue)/Paul McCartney (Dialogue link 3)" * 5. "Bluebird (Live version – Australia 1975)" * 6. "Bluebird (Original)/Paul McCartney (Dialogue link 4)" * 7. "Paul McCartney (Dialogue link 5) /No Words (Original)/Geoff Emerick (Dialogue)" * 8. "No Words (Original)/Paul McCartney (Dialogue link 6)/Tony Visconti (Dialogue)/Band on the Run (original)/Tony Visconti (Dialogue)" * 9. "Jet (Original from Picasso's Last Words)/Paul McCartney (Dialogue Link 7)/Jet (Original from Picasso's Last Words)/Al Coury (Dialogue)" * 10. "Jet (Berlin Soundcheck – 3 September 1993)" * 11. "Paul McCartney (Dialogue link 8)/Clive Arrowsmith (Dialogue)" * 12. "Nineteen Hundred And Eighty Five (Original)/Paul McCartney (Dialogue link 9)/James Coburn (Dialogue)/Paul McCartney (Dialogue link 10)/John Conteh (Dialogue)" * 13. "Mrs. Vandebilt (original) / Paul McCartney (Dialogue link 11) / Kenny Lynch (Dialogue)" * 14. "Let Me Roll It (Cardington Rehearsal – 5 February 1993)"/Paul McCartney (Dialogue link 12)" * 15. "Paul McCartney (Dialogue link 13) /Mrs. Vandebilt (Background)/Michael Parkinson (Dialogue)/Linda McCartney (Band on the Run Photo Shoot) (Dialogue)/Michael Parkinson (Dialogue)" * 16. "Helen Wheels (Crazed)/Paul McCartney (Dialogue link 14)/Christopher Lee (Dialogue)" * 17. "Band on the Run (Strum Bit)/Paul McCartney (Dialogue link 15)/Clement Freud (Dialogue)" * 18. "Picasso's Last Words (Original)/Paul McCartney (Dialogue link 16)/Dustin Hoffman (Dialogue)" * 19. "Picasso's Last Words (Drink To Me) (Acoustic version)" * 20. "Band on the Run (Nicely Toasted Mix)/Paul McCartney (Dialogue Link 17)" * 21. "Band on the Run (Northern Comic Version)" === 2010 2010 Paul McCartney Archive Collection === ==== CD 1 ==== * 1993 The Paul McCartney Collection과 동일 ==== CD 2 ==== * 1. "Helen Wheels" * 2. "Country Dreamer" * 3. "Bluebird" (from One Hand Clapping) * 4. "Jet" (from One Hand Clapping) * 5. "Let Me Roll It" (from One Hand Clapping) * 6. "Band on the Run" (from One Hand Clapping) * 7. "Nineteen Hundred and Eighty Five" (from One Hand Clapping) * 8. "Country Dreamer" (from One Hand Clapping) * 9. "Zoo Gang" ==== CD 3 ==== * 1999 25th Anniversary Edition CD2와 동일 ==== DVD ==== * "Band on the Run" (music video) * "Mamunia" (music video) * Album promo * "Helen Wheels" (music video) * Wings in Lagos * Osterley Park [[분류:윙스]][[분류:1973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