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에드 시런]][[분류:2021년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2위 노래]][[분류:오피셜 싱글 차트 1위]][[분류:Dolby Atmos 지원 음악]][[분류:Spotify 10억 스트리밍]] [include(틀:다른 뜻1, other1=CRAVITY의 미니 3집 후속곡, rd1=Bad Habits(CRAVITY))] |||| ''{{{+2 '''Bad Habits'''}}}''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d Habits.jpg|width=100%]]}}}|| || '''수록음반''' ||'''='''|| || '''발매일''' ||'''2021년 6월 25일'''|| || '''레이블''' ||'''Asylum UK'''|| || '''장르''' ||'''[[댄스 팝]]'''|| || '''작곡작사''' ||'''[[Ed Sheeran]], Johnny McDaid, Fred Gibson'''|| || '''프로듀서''' ||'''[[Ed Sheeran]], Steve Mac''' || ||'''{{{#white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 ||'''2위''' || ||'''{{{#white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100]]]]}}}''' ||'''{{{#RED 1위}}} (11주 연속)''' || ||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100]]]]''' ||'''1,201,057,901[*기준 2022년 8월 2일 기준]'''|| ||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100]]]]''' ||''' 404,304,197회[*기준 2022년 8월 2일 기준]'''|| [목차] [clearfix] == 개요 == [[에드 시런]]의 4집 =(equals)의 프로모 싱글이다. == 뮤직비디오 == || {{{+1 {{{#000 '''Bad Habits'''}}}}}}[br]{{{#000 '''Lyr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rJSJGHjBLI)]}}} || == 가사 == ||
{{{+1 {{{#000 '''Bad Habits'''}}}}}}[br]{{{#000 '''Lyr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eOpRzcqKrE)]}}} || || '''{{{+4 Bad Habits}}}''' Every time you come around you know I can't say no 네가 내 주위를 맴돌 때마다 난 거부하지 못해 Every time the sun goes down I let you take control 해가 질 때마다 넌 날 마음대로 다루지 I can feel the paradise before my world implodes 내 세계가 무너지기 전 낙원이 느껴져 and tonight had something wonderful 그리고 오늘 밤 뭔가 멋진 일이 생길 것 같은 걸 My bad habits lead to late nights ending alone 내 나쁜 습관이 늦은 밤까지 홀로 있게 만들어 Conversations with a stranger I barely know 잘 모르는 이들과 대화를 나누게 만들어 Swearing this will be the last, but it probably won't 이게 마지막일 거라고 맹세하지만 아마 그렇겐 안 되겠지 I've got nothing left to lose, or use, or do 난 잃거나 사용하거나 할 게 없으니까 My bad habits lead to wide eyes staring into space 내 나쁜 습관이 허공을 쳐다보게 만들어 And I know I lose control of the things that I say 내가 한 말들로 정신을 잃는다는 것도 알아 I was looking for a way out, now I can't escape 그만 둘 방법도 찾아봤지만 이젠 벗어날 수 없어 Nothing happens after two 2시 이후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 It's true it's true 사실이야 사실이야 My bad habits lead to you 나쁜 습관이 너에게로 이끌어 My bad habits lead to you 나쁜 습관이 너에게로 이끌어 My bad habits lead to you 나쁜 습관이 너에게로 이끌어 Every pure intention ends when the good times start 좋은 시간이 시작되면 내 모든 순수한 시도는 끝나고 말아 Falling over everything to reach the first times spark 빛이 나기 시작하면 모든 건 무너져 가 Started under neon lights then it all got dark 어둠이 내린 후 네온 불빛 아래 시작되지 I only know how to go too far 난 깊이 빠져들어만 가 My bad habits lead to late nights ending alone 내 나쁜 습관 때문에 늦은 밤까지 홀로 보내게 돼 Conversations with a stranger I barely know 잘 모르는 이들과 대화를 나누게 만들어 Swearing this will be the last, but it probably won't 이게 마지막일 거라고 맹세하지만 아마 그렇겐 안 되겠지 I've got nothing left to lose, or use, or do 난 잃거나 사용하거나 할 게 없으니까 My bad habits to lead to wide eyes staring into space 내 나쁜 습관이 허공을 쳐다보게 만들어 And I know I lose control of the things that I say 내가 한 말들로 정신을 잃는다는 것도 알아 I was looking for a way out, now I can't escape 그만 둘 방법도 찾아봤지만 이젠 벗어날 수 없어 Nothing happens after two 2시 이후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 It's true it's true 사실이야 사실이야 My bad habits lead to you 내 나쁜 습관이 너에게로 이끌어 My bad habits lead to you 내 나쁜 습관이 너에게로 이끌어 We took the long way round 우린 너무 오래 돌아왔지 And burned til the fun ran out, now 다 닳아 없어질 때까지 태워버렸지 이젠 My bad habits lead to late nights ending alone 내 나쁜 습관 때문에 늦은 밤까지 홀로 보내게 돼 Conversations with a stranger I barely know 잘 모르는 이들과 대화를 나누게 만들어 Swearing this will be the last, but it probably won't 이게 마지막일 거라고 맹세하지만 아마 그렇겐 안 되겠지 I've got nothing left to lose, or use, or do 난 잃거나 사용하거나 할 게 없으니까 My bad habits to lead to wide eyes staring into space 내 나쁜 습관이 허공을 쳐다보게 만들어 And I know I lose control of the things that I say 내가 한 말들로 정신을 잃는다는 것도 알아 I was looking for a way out, now I can't escape 그만 둘 방법도 찾아봤지만 이젠 벗어날 수 없어 Nothing happens after two 2시 이후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아 It's true it's true 사실이야 사실이야 My bad habits lead to you 내 나쁜 습관이 너에게로 이끌어 My bad habits lead to you 내 나쁜 습관이 너에게로 이끌어 My bad habits lead to you 내 나쁜 습관이 너에게로 이끌어 || == 평가 == 호불호가 많이 갈리고 있다.[* 일단 뮤직비디오의 컨셉부터가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가디언지]]의 알렉시스 페드리디스는 "[[The Weeknd|위켄드]]에게 제대로 한 방 먹였다"며 별 다섯 개 만점에 4개를 줬다. [[NME]]의 별 다섯 개 만점에 3개를 매기며 'Smalltown Boy'에서 브론스키가 선보였던 사운드 스타일과 비교하며 "제대로 된 명작도 아니고 오발탄도 아니다"라는 평을 내렸다. [[인디펜던트]]의 아담 화이트는 별 다섯 개 만점에 2개를 주며 "안 어울리는 컴백"이라며 "에드 시런이 탑 라인들은 놀게 하면서 위켄드의 찌꺼기들을 뒤지고 있다"고 혹평했다. [[피치포크]]의 퀸 모럴랜드는 "이 노래가 끔찍하게도 예측 가능하다"며 "위켄드처럼 되길 열망하지만 아무런 특색도 없다"고 조롱했다. 해외 평단의 반응은 전반적으로 위켄드 노래를 따라한 것 같지만 그저 그렇다는 반응. 이렇듯 평론가들에게는 [[더 위켄드]]와 비교되며 호불호가 많이 갈렸지만 빌보드 차트에서 2위를 하고 한국 차트에서도 순위권에 드는 등 일반 대중의 반응은 좋다. == 성적 == [include(틀:IFPI Digital Single, 연도=2021, 순위=10,연도2=2022, 순위2=10)] [[영국]] [[Official Charts]]에서 5주 연속 1위를 차지한 [[올리비아 로드리고]]의 히트곡 [[good 4 u]]를 누르고 1위로 핫샷 데뷔했다. 이후 '''11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음원 깡패 [[드레이크]]의 반격을 저지했다. '''영국에선 [[2020년대]] 최고 히트곡'''으로 등극했다. 2021년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빌보드 핫 100]]에서는 [[방탄소년단]]의 "[[Butter]]"[* 대신 본인이 작곡한 [[Permission to Dance]]가 Butter와 바톤터치하며 1위했다. "[[Shape of You]]", [[Perfect(에드 시런)|Perfect]]", "[[Love Yourself]]"에 이어 작곡가로서는 4번째 핫샷 1위 데뷔곡을 만들었다.], [[두아 리파]]와 [[DaBaby|다 베이비]]의 "[[Levitating]]", [[도자캣]]과 [[SZA]]의 "[[Kiss Me More]]"에 막혀 5위로 데뷔했다. Bad Habits는 계속 빌보드 핫 100 5~6위권을 유지했다. 8월 3주차부터 경쟁자들이 내려가며 빌보드 3등까지 역주행하고. 4주차에는 [[good 4 u]]도 누르고 2위로 올라갔다. [[라디오]] 에어플레이 횟수가 많이 증가했고, [[스포티파이]]에서 10위권에 머무르는 등 준수한 성적을 거둔 덕분이다. 이 노래가 생각보다 잘 나가면서 Official Charts에서 다음 싱글인 Visiting Hours가 5위로 데뷔하는 등 본의 아닌 팀킬을 시전했다. 그런데 세 번째 싱글 Shivers 발매 이후 이 곡을 뒤이어 새로운 1위에 등극하면서 '''에드 시런은 본인의 노래로 1위 바꿔치기'''를 하는 데 성공했다. 또 재밌는 건 영국 차트에선 이 노래가 11주 연속 1위를 하며 [[키드 라로이]]와 [[저스틴 비버]]의 [[STAY(The Kid LAROI)|STAY]]의 1위를 저지하고 있는데, 빌보드 차트에서는 STAY에 밀려 1위로 등극하지 못했다. 스트리밍 성적에서는 STAY가 더 우위인 편. [[칸예 웨스트]]의 [[Donda]] 발매와 [[드레이크(가수)|드레이크]]의 신보 [[Certified Lover Boy]]가 기존 스트리밍 기록을 다 갈아치우는 괴물 같은 기록을 세우며 빌보드 1위 등극은 물 건너갔다. == 기타 == * 같은 영국 출신의 [[메탈코어]] 밴드인 [[Bring Me The Horizon]]이 에드의 2022 [[브릿 어워즈]]에서의 공연에서 이 노래를 피쳐링하여 함께 라이브 무대에 섰고, 얼마 후 스튜디오 버전으로 발매되었다. 메인스트림인 에드 시런과 비교적 마이너한 장르의 밴드 BMTH의 상상치도 못한 콜라보에 양쪽 팬들은 당황과 함께 성공적인 라이브에 호평을 쏟아냈다. * 한국과 특이한 에피소드가 있는 곡인데 [[방탄소년단]]의 [[뷔]]가 [[인스타그램]]을 통해 [[나를 아는 사람]]을 추천하며, 에드 시런이 이 노래를 확인한 이후 멜론스테이션에서 프로모 도중 [[MSG워너비]]와 작업을 해보고 싶다고 밝혔고, 이후 [[김태호]] PD를 통해 영상 편지를 보내오며 답가로 이 노래를 불렀다. 놀면 뭐하니?나 에드 시런 쪽에서 접촉하기 위해 연결된 프로모가 아니라 방탄소년단의 노래 추천을 통해 MSG워너비와 연락한 것이라 다소 특이한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