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Back in Black]][[분류:1980년 노래]][[분류:1980년 싱글]][[분류:하드 록]] [[분류:Spotify 10억 스트리밍]] [include(틀:Back in Black)] ||<#0F0E0C> ''' Back in Black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2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190, 연도=2010)] ---- [include(틀: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을 형성한 500곡)] ---- [include(틀:BBC 선정 가장 위대한 기타 리프)]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8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104)] }}} || ||<-2><#0F0E0C> '''{{{+1 Back in Black}}}''' || ||<-2> {{{#!wiki style="margin: -6px -11px" [youtube(pAgnJDJN4VA, width=100%, height=250)]}}} || || '''싱글 발매일''' ||[[1980년]] [[12월 21일]] || || '''싱글 B면''' ||What Do You Do for Money Honey || || '''앨범 발매일''' ||[[1980년]] [[7월 25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F0E0C; font-size: .9em" [[Back in Black|'''{{{#C1C0BE Back in Black}}}''']]}}} || || '''스튜디오''' ||컴퍼스 포인트, 바마하 || || '''장르''' ||[[하드 록]] || || '''작사/작곡''' ||[[앵거스 영]], [[브라이언 존슨]], [[말콤 영]] || || '''프로듀서''' ||[[로버트 존 머트 랭]] || || '''러닝 타임''' ||4:15 || || '''싱글 판매량''' ||4,050,000장 || || '''차트 성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8]] 호주]] ||65위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27위 || ||[[빌보드 핫 100|[[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37위[*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의 싱글 차트 성적은 모두 2012년 재발매판 성적이다.]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프랑스]] ||58위 || ||[[스코틀랜드|[[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8]] 스코틀랜드]] ||28위 || ||[[스웨덴|[[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8]] 스웨덴]] ||100위[* 2015년 재발매판] || ||[[헝가리|[[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8]] 헝가리]] ||29위[* 2019년 재발매판]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60위 || }}}}}}}}} || || '''레이블''' ||애틀랜틱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9vWNauaZAg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j5rGm3kdTuk,height=200)]}}} || || '''공식 음원''' || '''2009년 라이브''' || [[호주]]의 록밴드 [[AC/DC]]의 7집인 [[Back in Black]]에 수록된 곡. == 상세 == 7집의 대표곡이자 AC/DC의 대표곡인 동시에 본 스콧을 기리는 곡이다. 본 스콧은 [[앵거스 영]]과 공동으로 AC/DC의 초반기를 이끌어가던 보컬이었고, [[Highway to Hell]] 앨범으로 막 록씬에서 주목받던 참이었다. 그러나 허망하게도 과음 후 정신 없이 곯아 떨어져 자다가 구토에 질식하여 사망했고[* [[레드 제플린]]의 [[존 본햄]]과 [[지미 헨드릭스]]가 이와 같이 사망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에 대한 추모의 의미로 만들어진 곡으로, 원래 만들어뒀던 곡에다가 가사를 덧씌워 만들어졌다. 이 곡이 담긴 Back in Black은 현재까지 5,000만장이 팔리며 마이클 잭슨의 Thriller에 이은 역대 음반 판매량 2위에 랭크되었지만, 빌보드에서는 37위에 머무는데 그쳤다. 여러모로 [[Wish You Were Here(노래)|Wish You Were Here]]과 제작 배경 및 곡의 방향이 비슷하다. Wish You Were Here은 어쿠스틱 사운드의 감미로운 곡이지만 이 곡은 강렬한 [[하드 록]] 넘버다. 록의 불모지인 [[한국]]에서도 [[Stairway to Heaven]], [[Bohemian Rhapsody]], [[Hotel California(노래)|Hotel California]] 등과 함께 가장 잘 알려진 곡이다. 인트로부터 반복되는 기타 리프가 매우 인상적이어서 쉽게 잊혀지지 않으며, 각종 예능프로와 광고 BGM, 영화 OST로 자주 사용되었기에 AC/DC를 전혀 몰라도 이 리프는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브라이언 존슨]]의 시원한 샤우팅도 돋보이는데, 시작하자마자 훅도 아닌데 '''3옥타브 미'''가 나오고 나중엔 '''3옥타브 라'''가 나온다. AC/DC의 멤버들은 이미 오래 전에 이 곡을 작곡해 놓았고 원래는 제목이나 가사가 없는 곡이었는데, 나중에 멤버들이 이 곡을 본 스콧을 위한 추모곡으로 만들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가사는 [[앵거스 영]]의 권유에 따라 브라이언 존슨이 작사했는데, 브라이언 존슨은 이후에 '''"[[의식의 흐름|가사는 떠오르는 대로 막 써봤다.]] 주술에 걸린 것 같았다."'''라고 말했다. 기본적으로 가사 내용은 [[난 살아 있다구, 이 니기미 씨부랄것들아!|'나는 죽지 않는다', '내가 돌아왔다']]와 같은 내용인데, 그 속에 본 스콧의 추모를 담는 내용이 들어있다. 이 곡이 [[서태지와 아이들 1집]]에 수록된 Rock'N Roll Dance라는 제목의 댄스곡으로 리메이크되었다. 서태지와 아이들 1집 앨범 부클릿을 보면 틀림없이 앵거스 영이 작곡한 것으로 표기되어 있고 1992년 8월 최초 콘서트 때는 아예 서태지와 친한 메탈밴드가 나와서 Back in Black 원곡을 연주하고 나서 락앤롤 댄스 무대가 이어진다.[* 서태지가 아예 대놓고 "음! Back in Black~ 그러고보니 우리 곡 중에도 이 노래랑 비슷한 노래가 있죠?"라고 소개.] 그래서 당대에는 별 논란도 없었는데, 별스럽게 그로부터 약 10여 년이 지난 2000년 서태지가 하드코어를 들고 나오자 이 곡이 서태지가 표절했다는 헛소문이 인터넷을 중심으로 퍼졌고 서태지 팬들이 그걸 또 논박한다고 나서기도 했다. == 가사 == || ---- {{{+4 '''Back in Black'''}}} ---- Back in black 검은 옷을 입고 돌아왔어[* “검은 옷을 입고 돌아오다”는 영미권에서 “[[금의환향|성공해서 오다]]”의 의미를 갖는다. 성공해서 검은 정장을 입고 왔다라는 의미와 죽음에서 돌아왔다는 두 가지의 중의적 의미로 해석해 볼 수 있다.] I hit the sack I've been too long 오랫동안 잠자리에 들었었거든 I'm glad to be back 돌아와서 매우 좋네 Yes, I'm let loose From the noose 그래 날 옭아매던 올가미를 풀어버렸거든 That's kept me hanging about 그것 때문에 계속 서성거리고 있었어 I've been looking at the sky 하늘을 보고 있는데 말야 'Cause it's gettin' me high 기분이 날아갈 것 같더라 Forget the hearse 'cause I never die 헛소리들은 잊어버려 난 결코 죽지 않으니까[* hearse는 [[장의차]]를 의미하는데, 이를 잊어버리라고 한 것은 자신은 죽지 않았다는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뒤에 자신은 결코 죽지 않는다고 강조했으므로, (자신이 죽는다는) 헛소리들은 잊어버리라는 의미로 의역할 수 있다.] I got nine lives Cat's Eyes 난 고양이들처럼 9개의 목숨이 있어[* 영미권에서는 [[고양이]]들에게 9개의 목숨이 있다는 전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어진 [[고양이 전사들]]이라는 청소년 소설도 있다.] Abusin' every one of them and running wild 그들 모두를 죽이고 마구 뛰어다녔지 Cause I'm back 왜냐하면 내가 돌아왔거든 Yes, I'm back 내가 돌아왔어 Well, I'm back 글쎄, 내가 돌아왔어 Yes, I'm back 그래, 난 돌아왔어 Well, I'm back, back 내가 돌아왔어 Well I'm back in black 검은 옷을 입고 돌아왔어 Yes, I'm back in black 검은 옷을 입고 돌아왔어 Back in the back Of a Cadillac 캐딜락을 올라탔어 Number one with a bullet 더할 나위가 없었지 I'm a power pack 내가 존나 세다구 Yes, I'm in a bang With a gang 그래, 나 무리들 중에서 꽤 잘나가 They've got to catch me 사람들이 날 잡아서 if they want me to hang 그들은 내가 목 매달길 원하고 있어 Cause I'm back on the track 내가 트랙[* 달리는 곳인 [[트랙]]과 음반을 의미하는 중의적 표현이다.] 위로 돌아왔기 때문이지 And I'm beatin' the flack 그리고 난 땡땡이를 쳤어 Nobody's gonna get me on another rap 그 누구도 날 깎아내릴 수는 없어 So look at me now 그래 날 봐. I'm just makin' my play 내 방식대로 할거야 Don't try to push your luck, 내 앞을 막지마 just get out of my way 죽기 싫으면 말이야 Cause I'm back 왜냐하면 내가 돌아왔거든 Yes, I'm back 그래, 난 돌아왔어 Well, I'm back 내가 돌아왔어 Yes, I'm back 그래, 난 돌아왔어 Well, I'm back, back 내가 돌아왔어 Well, I'm back in black 내가 검은 옷을 입고 돌아왔어 Yes, I'm back in black 그래, 난 검은 옷을 입고 돌아왔어 Well, I'm back, yes, I'm back Well, I'm back, yes, I'm back Well, I'm back, back Well, I'm back in black Yes, I'm back in black Ho yeah Oh yeah Yes I am Oh yeah, yeah oh yeah Back in now Well I'm back, I'm back Back, (I'm back) Back, (I'm back) Back, (I'm back) Back, (I'm back) Back Back in black Yes I'm back in black Outta sight 훌륭하게 ---- [[AC/DC(밴드)|[[파일:FB73A6CC-720F-4A52-90DA-8965237AA9A1.jpg|width=150]]]] ---- || == 미디어에서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에 많이 쓰이는데, [[아이언맨(영화)|아이언맨]]의 맨 처음 장면에서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노래로 쓰였다. 또한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에서도 다시 등장하여 화제를 낳았다.[* [[피터 파커(MCU)|피터]]는 이 노래를 듣고 "아! 저도 [[레드 제플린]] 좋아해요!"라는 코멘트를 한다. 설정상 AC/DC 찐팬인 [[토니 스타크(MCU)|토니 스타크]]와 달리 락알못인지라 얼추 알고 있는 록밴드 이름을 대충 댄 것.][* 이 노래는 토니의 경호원이자 절친이었던 [[해피 호건]]이 새로운 스파이더 슈트를 개발하는 피터의 모습에서 토니의 생전 모습을 겹쳐보고 토니가 좋아했던 노래를 깔아주는 장면에서 흐른다. 사실 이 Back In Black이 본 스콧에게 보내는 추모의 의미를 담음과 동시에 새로운 AC/DC가 부활했음을 선언하는 출사표와도 같은 곡임을 생각하면, 비록 토니는 죽었지만 그의 유지를 잇는 새로운 영웅이 등장했다는 메시지로도 해석할 수 있다.] [[메가마인드]]에서 거대로봇 장면의 배경음악으로도 쓰여서 한껏 분위기를 자아내나 여기서 오디오가 고장이 나면서 브금이 [[미니 리퍼튼]]의 "[[Lovin' You(미니 리퍼튼)|Lovin' You]]"라는 발라드로 바뀌게 되어 메가마인드가 황급히 라디오를 끄는 개그장면이 나온다. 밴드 산타나와 래퍼 [[Nas]]가 리메이크한 버전이 있다. [[파일:Back in Black I Need a Snack.jpg]] [[액슬 로즈]]가 AC/DC에서 보컬을 잠깐 맡은 것 때문에 가사를 개사한 밈도 있다. 액슬이 2000년대 이후 급격하게 살이 쪄서 "미키마우스 목소리"가 되어버린 것을 조롱하는 밈이다.[* 그래도 AC/DC 공연 당시에는 준수한 목소리를 보여줬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AC/DC에서 목소리를 다 소진했냐"라는 말을 들을정도로 보컬이 개판이 됐다.] 2017년 1월 7일부터 2018년 12월 31까지 방송했던 [[라디오 스타(KBS)|박중훈의 라디오스타]] 1부 시그널 음악으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