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Geometry Dash/스테이지]][[분류:Geometry Dash의 수록곡]][[분류:2013년 음악]] [목차] == 개요 == [youtube(N9vDTYZpqXM)] [[DJVI]]가 2013년 2월 9일[* 뉴그라운즈 기준.]에 발표한 곡이며, [[Geometry Dash]]의 두 번째 스테이지에 수록되었다. 조성은 내림 나장조(B♭ Major)이다. 최근엔 [[DJVI]]가 리믹스한 버전인 [[https://youtu.be/S2MNGxvq3Us|Back on Track 2.0]]과 가사를 삽입한 리믹스 버전인 [[https://youtu.be/mifQMSI2A44|back on track again]]을 유튜브에 올렸다. 여담으로 DJVI가 자신이 리믹스한 Geometry Dash 공식맵에 사용된 BGM[* Back on Track, [[Base After Base]], [[Can't Let Go(Geometry Dash)|Can't Let Go]], [[Cycles]] ] 중에서 뭐가 제일 좋은 지 유튜브에서 투표를 진행했던 적이 있는데 이 곡이 당당히 1위를 차지하였다. 그렇지만 DJVI가 Dry Out의 리믹스곡을 출시한 이후 다시 투표를 진행하였는데 1위 자리를 빼앗겼다. == [[Geometry Dash]] == [include(틀:Geometry Dash/스테이지)]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0deg, #0063F8, #002F76); border-bottom: 1px solid #FFFFFF; border-left: 1px solid #FFFFFF; border-radius: 24px; border-right: 1px solid #FFFFFF; border-top: 1px solid #FFFFFF; padding-top: 10px; padding-bottom: 10px; letter-spacing: -.5px; margin-right: 12px; text-align:center; width: 100%" [[파일:GD_플레이버튼.png|width=60]][br][[Geometry Dash/스테이지 일람|{{{-1 {{{#ffffff '''Geometry Dash의 스테이지'''}}}}}}]] ||<-3> [[파일:Easy GMD.png|width=50]][* 1.8까지는 노말(Normal)이었다.] '''쉬움(Easy)'''[br]{{{+3 '''Back On Track'''}}}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영상 정렬, url=s77E1vWwOM8)] }}} || || '''업데이트 버전''' || '''클리어 시간''' || '''반영 버전''' || || {{{+3 '''1.0'''}}} || {{{+3 '''1분 21초'''}}} || {{{+2 '''정식판, Lite 버전'''}}} || ||<-3> '''보상''' || ||<|2> {{{+3 '''2 [[파일:StarGMD.png|width=25]]'''}}}{{{+3 ''' 75 [[파일:OrbGMD.png|width=25]]'''}}} || '''노말 모드''' 클리어 시 || '''연습 모드''' 클리어 시 || || [[파일:큐브아이콘 06(GMD).png|width=50]] || [include(틀:아이콘색(GMD), 번호=07, 크기=45, 종류=P)] || ||<-3> '''레벨 순서'''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 [[Stereo Madness#Geometry Dash|{{{+1 {{{#000,#fff Stereo Madness }}}}}}]] || → || 2. {{{+1 '''Back On Track''' }}} || → || 3. [[Polargeist#Geometry Dash|{{{+1 {{{#000,#fff Polargeist}}}}}}]] || }}} || }}} 이 스테이지에서 부터는 닿으면 높이 뛸 수 있는 '''노란색 발판'''이 첫 등장한다. 초반에 이를 이용한 페이크도 등장한다. [[Stereo Madness|바로 전 스테이지]]를 클리어했다면 전체적으로 컨트롤이 조금 복잡해졌을 뿐이라 금방 적응해서 클리어할 수 있다. 3단가시에 약할 경우 오히려 첫 번째 스테이지보다 더 쉽게 느껴질 수도 있다. 온라인 레벨로 따지자면 Easy 2성 정도. 오브젝트 수는 1542개이다. === 구간 === ||<-3> '''Back On Track 맵 구성''' || ||<:> 1번 구간 || 2번 구간 || 3번 구간 || ||<|2> [[파일:큐브아이콘 01(GMD).png|width=25%]][br]'''~50%''' ||<|2> [[파일:배아이콘 01(GMD).png|width=90%]][br]'''50%~66%''' ||<|2> [[파일:큐브아이콘 01(GMD).png|width=33%]][br]'''66%~''' || 구간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1. 무난한 큐브 구간.''' 상술했듯이 [[Stereo Madness|이전 스테이지]]보다 컨트롤이 약간 복잡해졌을 뿐, 적응만 하면 쉽게 지나갈수 있는 구간이다. 초반에 노란색 발판을 밟을 때 위에 있는 가시에 부딪혀서 죽는 페이크가 나오니[* 정확히는 '''11~13%'''.] 주의. '''2. 누르고 떼고를 반복하는 비행 구간.''' 지그재그 모양이다. 등/배깔기만 잘 활용하면 어렵지 않은 구간이다. 큐브 모드로 돌아가기 직전 위아래가 번갈아서 조그만한 가시가 나오기 때문에 이를 못 보고 죽는 경우도 있다. '''3. 다시 무난한 큐브 구간.''' 조금 복잡해졌지만 1번 구간과 난이도 차가 크지는 않다. 역시 적응만 하면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신기한 점은 그 [[Stereo Madness]]에도 나오는 3단 가시가 여기선 일체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 사실 다음 3단 가시는 무려 5스테이지 [[Base After Base]]에 가서야 최후반부에 등장한다. === 비밀 코인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OT-C1.png|width=480]] 첫 번째 코인은 동영상 33초, 즉 30% 후반쯤에서 두 번째 납작한 블록에서 떨어지면 획득 가능하다. 매우 낮은 확률로 파란색 발판을 밟았을 때 가시 판정이 먼저 들어가는 버그로 인해 죽는 경우가 있다.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OT-C2.png|width=480]] 두 번째 코인은 비행 구간에 등장한다. 두 칸 사이로 지나가야 해서 어려워 보일 수도 있지만, 주변에 가시도 없고 다시 나오기도 쉬운 편이다. 정신줄 놓다가 코인을 그냥 지나친다던가 벽에 박아 죽는 일은 없도록 하자.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BOT-C3.png|width=480]] 세 번째 코인은 동영상 1:07초 부분에 떨어져서 한 번 점프한 다음 노란색 발판을 밟으면 된다. 단, 익숙치 못할 경우 배경에 있는 가시에 헷갈려 죽을 수도 있으니 주의. === [[밈]] === >Geometry Dash에서 가장 어려운 맵 = Back on track Andromeda가 The Ultimate Phase를 베리파이한 영상에서 "Harder than back on track"이라는 말을 붙여 유명해진 밈이다. 이후 Zobros가 이 맵의 영상 제목을 Impossible Demon[* 불가능한 데몬이라는 뜻. 실제로 존재하는 난이도는 아니다.]이라고 했다. [[https://youtu.be/ClW9MUeq6ug|영상]] [[:파일:Back on Track is da best.jpg|이런 짤까지 나왔다.]][* 뭔 상황인지 모르겠다면, 백 온 트랙에 자그마치 '''410만 어템 가량'''을 소모한 것이다...] 그래서 Back on Track은 Geometry Dash에서 제일 어려운 맵이라는 등의 드립이 생겨나게 되었다. 특히 어려운 맵에 관련된 영상에서 자주 쓰이는데, 예를 들어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Demon#Blade of Justice|Blade Of Justice]]를 하루만에 클리어한 유저인 Wooshi도 37년 걸려서 깬 맵이라든지 유저 랭킹 1위였던 Noctafly가 400만 번 죽고 깬 맵이라든지, [[Yatagarasu]] 베리파이어였던 Trusta도 3%를 갔댄다든지... 또 게임 개발자인 [[RobTop]]이 오토맵을 만들고 나서 실수로 정규 맵 스테이지에 올렸다거나 TeamHax라는 해커들로 구성된 팀에 의해 올려진 맵이라거나 하는 드립도 있다. 이런 드립은 널리 퍼져 각종 익스트림 데몬의 스테이지가 나오는 영상의 댓글에서 백온트랙 드립이 많이 나오기도 했었다.[*ex) 그 익데가 백온트랙보단 쉽네, 백온트랙이 훨씬 어려운 듯][*ex2) 백온트렉이 이 레벨보다 어렵다고 생각하면 좋아요를 누르시오] 그만큼 유저들 사이에서 매우 유명한 밈이였다. 밈의 영향력은 갈수록 커져서, 결국 만우절에 Demonlist 포럼의 [[데몬(Geometry Dash)/Hardest Demon|Hardest Demon]]란에서 가장 어려운 데몬 1위의 자리를 Back on Track이 차지하게 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여타 다른 과거 Geometry Dash 커뮤니티의 밈들과 같이 밈의 유행이 많이 사그라든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