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베이비복스/음반]][[분류:2002년 음반]] [include(틀:베이비복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9957, #BD9957)" {{{#ffffff {{{+1 '''Baby V.O.X Special Album'''}}}[br]'''5.5th Special Albu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베이비복스_Baby V.O.X Special Album.jpg|width=100%]]}}} || ||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2002년]] [[4월 24일]] || || '''가수''' || [[베이비복스|[[파일:베이비복스 로고.svg|height=50]]]] || || '''프로듀서''' || [[김창환(작곡가)|김창환]] || || '''기획사''' || [[DR뮤직]] || || '''곡 수''' || 41곡 || || '''재생 시간''' || 1:48:14 || || '''타이틀곡''' || '''[[우연(베이비복스)|우연 (우울한 우연)]]'''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2년 4월 24일에 발매한 [[베이비복스]]의 스페셜 앨범이다. 타이틀 곡은 1996년 발표된 혼성그룹 [[콜라(동음이의어)|콜라]]의 《우울한 우연》을 리메이크한 '''《[[우연(베이비복스)|우연]]》'''이다. 이 앨범으로 4년 만에 [[김형석]]과 결별하고 김창환과 작업했다. 《우연》은 월드컵 시기와 맞아떨어져 선풍적인 인기를 누렸고 [[SBS 인기가요]]에서 2주 연속 1위, 2002년 연간 벨소리 차트 7위에 오르는 등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두 달간의 짧은 활동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은 '''베이비복스 역대 음반 중 최다 판매량'''으로 남아있다.[* 공교롭게도 이 시기는 음반시장이 조금씩 죽어가고 있던 2002년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더 크다.][* 단 2002년에도 밀리언셀러만 안 나왔을 뿐 음반판매량은 그러저럭 잘 나왔다. 본격적으로 음반시장의 불이 꺼진 건 2004년부터이다.] 해당 앨범은 3장의 CD와 1장의 VCD로 총 네 장의 디스크로 구성. == 수록곡 ==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5> '''CD 1''' || || '''1''' || '''[[우연(베이비복스)|우연 (우울한 우연)]]'''[* 신곡][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D9957; font-size: 0.6em" {{{#FFFFFF '''타이틀곡'''}}}}}} || [[김창환(작곡가)|김창환]] || [[김창환(작곡가)|김창환]] || 김우진 || || '''2''' || '''Go'''[* 신곡] || 김유라 || 김유라 || || || '''3''' || Intro || 미상 || 경음악 || || || '''4''' || 배신 || 양재선 || [[김형석]] || [[김형석]] || || '''5''' || Game Over || 양재선, [[김이지]] || [[김형석]] || [[김형석]] || || '''6''' || 야야야 || 여정윤, [[김형석]] || [[김형석]] || [[김형석]] || || '''7''' || Get Up || 서윤정 || [[김형석]] || [[김형석]] || || '''8''' || Killer || 김종숙 || [[김형석]] || [[김형석]] || || '''9''' || Why || 양재선 || [[김형석]] || [[김형석]] || || '''10''' || Change || 김태희 || [[주영훈]] || [[주영훈]] || || '''11''' || 머리하는 날 || 한경혜 || 원상우 || 원상우 || || '''12''' || 인형 || 양재선 || [[김형석]] || [[김형석]] || || '''13''' || Love and Extasy[* 3집 수록 당시에는 Love and Ecstasy였는데 제목이 수정되었다.] || 원상우 || 홍석 || 홍석 || || '''14''' || 비밀 || 한경혜 || 원상우 || 원상우 || ||<-5> {{{#!folding [ CD 2 ] [* 1집 일부곡, 2~5집까지의 전곡이 다 수록되어 있는데, 유일하게 4집 5번 트랙 Overlap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유는 불명] {{{#!wiki style="margin:-6px -10px" || '''1''' || intro || - || [[김형석]] || [[김형석]] || || '''2''' || Cut || 조은희 || 심상원 || 심상원 || || '''3''' || 회상 || [[김형석]] || [[김형석]] || [[김형석]] || || '''4''' || 사랑해요 || 김종숙 || [[방시혁]] || [[방시혁]] || || '''5''' || Mask || 김남희 || 노영주, 홍석 || 홍석 || || '''6''' || Bad Boy || 유유진 || [[방시혁]] || [[방시혁]] || || '''7''' || Come To Me || 조은희 || [[김형석]] || [[김형석]] || || '''8''' || Lucky7 || 후니훈 || 이현승 || 이현승 || || '''9''' || Puzzle || 조은희 || [[김형석]] || [[김형석]] || || '''10''' || 올가미 || 조은희 || 이현승 || 이현승 || || '''11''' || Summer Story || 김남희 || 노영주 || 홍석 || || '''12''' || 패자부활전 || 김태희 || [[주영훈]] || [[주영훈]] || || '''13''' || Love and Extasy || 원상우 || 홍석 || 홍석 || || '''14''' || 꽃무늬 비키니 || [[김형석]] || [[방시혁]] || [[방시혁]] || || '''15''' || Sugar Baby || 최수정 || 최수정 || - || }}}}}} || ||<-5> {{{#!folding [ CD 3 ] {{{#!wiki style="margin:-6px -10px" || '''1''' || Missing You || 김종숙 || [[김형석]] || - || || '''2''' || 허락 || 신연아 || 이현정 || 곽영준 || || '''3''' || Wating || John Anonymous || 원상우 || 원상우 || || '''4''' || Before Sunrise || 조은희 || 이현승 || 이현승 || || '''5''' || 하늘과 함께한 사랑 || 김남희 || 원상우 || 원상우 || || '''6''' || Lux (빛) || 신연아 || 이현정 || 이현정 || || '''7''' || 슬픈별에서 || 양재선 || [[김형석]] || [[김형석]] || || '''8''' || 내 사랑이기를 || 양재선 || [[김형석]] || [[김형석]] || || '''9''' || 부디 || [[김이지]] || [[김이지]] || [[김형석]] || || '''10''' || To. Angel || [[윤은혜]] || 이현승 || 이현승 || || '''11''' || The One || 이희진 || 이희진 || 김신일 || || '''12''' || 마지막 선물 || 간미연 || 간미연 || || }}}}}} || == 활동 이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베이비복스/활동)] 5.5집 앨범 활동에 관한 내용은 [[베이비복스]] 문서의 {{{#green '''2002~2003 : , '''}}} 차례 혹은 [[베이비복스/활동]] 문서를 참고할 것. ==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9957, #BD9957)" {{{#ffffff {{{+1 '''우연 (우울한 우연)'''}}}[br]'''Music Vide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CDdZFBr2yg)]}}} || * 뮤직비디오 시작부터 카이 로고과 맨홀 인형이 눈에 띈다. 이 뮤직비디오에서 간미연의 베드신(?)이 큰 화젯거리였다. 중국 팬들은 간미연의 상대 남자 가수에게 협박 편지까지 보내왔다는 후문.[* 남자 주인공은 같은 소속사였던 PLT 멤버였다.] 뮤직비디오에서 멤버들이 착용한 이니셜 귀걸이가 일명 ''''베복 귀걸이''''로 유행했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9957, #BD9957)" {{{#ffffff {{{+1 '''Go'''}}}[br]'''Music Vide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HbBxZFW3tM)]}}} || * 2002년 8월 15일에 있었던 첫 번째 단독 콘서트를 편집해 제작된 뮤직비디오. 원래는 6월 초에 정식으로 촬영할 예정이었지만 윤은혜의 발목 부상으로 취소되었다. == 판매량 == 5.5집은 한국음반산업협회 기준으로 240,349장을 판매. 당시 타이틀 곡의 뛰어난 인기에 힘입어 신곡이 2곡밖에 없지만 스페셜 앨범이라 가격이 높다는 핸디캡이 있었음에도 24만장 이상의 준수한 판매고를 올려 베이비복스 커리어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인 골든디스크를 수상했다. 스페셜 음반이기 때문에 후보에 제외됐지만 워낙 히트한 앨범이기 때문에 결국 인기상을 수상하게 된 케이스. 당시 벨소리 차트에도 10위권안에 여성그룹으로는 유일하게 랭크인 되었고 음반 판매량도 동시대 활동하던 걸그룹들이 전작보다 하락폭을 찍고 있을때 유일하게 상승폭을 기록해 전성기를 누렸다. == 여담 == * 사실 《우연》은 일본의 'Color'라는 그룹도 《快樂》이라는 제목으로 리메이크했었다. 하지만 'Color'의 버전도 빛을 보지 못하자 베이비복스에게 《우연》이라는 제목으로 돌아가게 된 것이다. 2002년 5월 초부터는 우연을 라틴 버전으로 리믹스해서 활동했는데 이 리믹스 버전은 Color의 우연을 그대로 가져다 사용한 것이었다. 라틴 버전 음원은 2007년 태국과 일본 등지에서 발매된 베스트 앨범에 수록되었다. * 원래 스페셜 앨범은 베스트 앨범 형식으로 발매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스페셜 앨범으로 발매한 결과물을 보면 베스트 앨범과 크게 다를 바는 없다. * 애초 기획대로는 다섯 장의 디스크로 구성될 예정이었지만 CD 가격의 문제로 인해 취소되었다. 원래는 VCD가 2장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또한 첫 번째 CD에는 신곡이 4~5곡 정도 수록될 예정이었으며 실제로 앨범 발표 전인 3월 KMTV 생큐에서 방송된 신곡 작업 현장에서는 최종적으로 음반에 수록되지 않은 미공개 곡을 녹음하고 있었다. 이 곡은 김형석 작곡의 <마지막 바램>이라는 노래였는데 이 곡은 결국 가수 '야즈'에게로 돌아갔다. <마지막 바램>외에도 부산 아시안 게임 주제가였던 박근태 작곡의 과 각종 중국어 음원 등이 수록될 예정이었지만 무산. DR뮤직은 그동안 함께 해온 김형석과의 작업물을 과감히 누락시키고 김창환과 손을 잡았다. 이는 베이비복스의 이미지 변신을 위한 파격적인 결정이었고 결국 큰 성과를 가져온다. * 3번째 디스크인 발라드 컬렉션 CD는 멤버들이 평소 좋아했던 발라드 트랙들을 엄선해 수록했다. 베이비복스는 평소 발라드 곡을 좋아했었지만 앨범 타이틀곡은 대부분 댄스 장르인 경우가 많아서 대중들에게 들려주지 못하는 아쉬움을 담아 만들어진 디스크다. 다른 디스크 같은 경우는 과거 수록곡들을 1분이나 2분 남짓으로 편집해 수록했지만 발라드 디스크는 모두 풀버전으로 수록되어있다. * 《우연》을 녹음할 당시 김창환이 직접 멤버들의 보컬 디렉을 봐주지 않았다. 이 앨범 때는 곡만 받아서 취입했고 김창환과 실질적인 작업을 했던 건 다음 앨범인 6집이었다. * 스페셜 앨범을 작업할 때, 소속사 DR뮤직은 팬들에게 1집을 대여받아서 제작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팬들은 모두 어이없어 했다. --아무리 그래도 소속 가수의 1집 앨범도 가지고 있지 않다니...회사에서도 1집 때를 흑역사 취급하는게 분명하다(!)-- * 공식적인 후속곡 활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Go》는 2002년 6월 30일 자 [[SBS 인기가요]]에서 17위까지 올랐다. * 데뷔 후 처음으로 이 앨범을 통해 골든 디스크상을 수상했다. 원래는 수상 후보에도 없었다. 정규 앨범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골든디스크 측의 어이없는 답변에 팬들은 크게 항의했고 결국 인기상을 수상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