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Led Zeppelin]][[분류:포크 록]][[분류:하드 록]][[분류:1968년 노래]][[분류:레드 제플린 노래]][[분류:1970년 싱글]] [include(틀:Led Zeppelin)] ||<#0C0C0C> '''Babe I'm Gonna Leave You'''{{{#fff '''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4211)]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레드 제플린 40대 명곡)]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1960년대 명곡, 순위=753)] ---- }}} || ||<#0C0C0C><-2> '''{{{+1 Babe I'm Gonna Leave Yo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X_wwlIZ6ko,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69년]] [[1월 1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Led Zeppelin(앨범)|{{{#ED6533 '''Led Zeppelin'''}}}]]}}} || || '''녹음일''' ||[[1968년]] [[10월]] || || '''스튜디오''' ||올림픽 || || '''장르''' ||[[포크 록]], [[하드 록]] || || '''러닝 타임''' ||6:41 || || '''작사/작곡''' ||[[플랜트-페이지]] || || '''연주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로버트 플랜트|{{{#ED6533 '''로버트 플랜트'''}}}]]}}} 리드 보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지미 페이지|{{{#ED6533 '''지미 페이지'''}}}]]}}} 리드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존 폴 존스|{{{#ED6533 '''존 폴 존스'''}}}]]}}} 베이스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0C0C; font-size: .9em" [[존 본햄|{{{#ED6533 '''존 본햄'''}}}]]}}} 드럼 }}}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목차] [clearfix] == 개요 == ||<#ED653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O6bRjcyQN8)]}}} || || '''1969년 라이브''' || [[레드 제플린]]의 1집 [[Led Zeppelin(앨범)|Led Zeppelin]]에 수록된 곡. == 상세 == 원곡은 1950년대 말 앤 브레든이 작곡한 곡이다. 원래는 슬픈 포크 노래이며, 청아한 목소리가 심금을 울리는 존 바에즈가 부른 곡도 유명하다. 평소 존 바에즈의 팬이었던 레드 제플린이 전반적으론 어쿠스틱 분위기에 하드 록스러운 느낌을 주어 리메이크했다. 레드 제플린의 전 앨범을 통틀어 최고의 곡중 하나로 자주 꼽힌다. 어쿠스틱 분위기인데도 중간중간 록적인 강력한 리듬이 휘몰아쳐 곡 전체의 분위기가 상당히 드라마틱하다. 어쿠스틱 기타도 이만큼 록적일수 있다고 일갈하는 듯한 [[지미 페이지]]의 기타 연주, [[로버트 플랜트]]의 폭발적인 가창력이 압권. 다만 저작권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않고 발매했는지 앨범이 나오고 나서 잡음이 많았다. 제대로 라이브를 한 적이 거의 없는 곡인데, 그 이유는 너무 어려워서(...)다. 최고음이 '''3옥타브 솔(G5)'''인데다가 음역대부터가 2절부터는 2옥타브 후반 ~ 3옥타브 초반에서 안 내려온다. 그리고 그 음역이 올라가 봤자 로버트 플랜트 특유의 허스키하면서 날카로운 톤이 안 나와서 느낌이 안 산다.[* 다만 [[You Shook Me]] 등 이 곡보다 난이도가 더 어려운 곡들도 '''음원보다 더 어렵게 라이브를 한 적이 있는만큼''' 컨디션이 좋을 때는 이 곡도 제대로 라이브를 했다고 전해진다. 문제는 이러한 라이브 영상이 안 풀려서(…).] --지금 로버트 플랜트도 더 쉽게 편곡한 버전으로 부르는데 이게 되는 사람이 있을 리가-- 여담으로 [[김태원(음악인)|김태원]]이 중학교 3학년 때 기타를 잡고 처음으로 연주한 곡이라고 한다. 그 당시에는 악보를 구하기가 어려워서 수 개월 간 듣는 것 만으로 곡을 마스터 했다고. 이유는 소풍 때 잘 보여 여자친구를 사귀고 싶어서(…). == 가사 == ||<:> ---- '''{{{+2 {{{#ED6533 Babe I'm Gonna Leave You}}}}}}''' ---- Babe, baby, baby 당신을, 당신을, 당신을 I'm gonna leave you 당신을 떠나야만 해요 I said baby, you know 내가 말했을 텐데, 당신도 알고 있잖아요 I'm gonna leave you 내가 당신을 떠나야만 한다는 것을 I'll leave you when the summertime 여름이 오면 당신 곁에는 내가 없겠죠 Leave you when the summer comes a-rolling 여름이 오면 난 떠날 테니까 Leave you when the summer comes along 여름이 오면 난 떠날 거예요 Baby, baby, baby 당신을, 당신을, 당신을 I don't wanna leave you 당신을 떠나고 싶지 않아요 I ain't joking woman, I got to ramble 정말 진심이에요, 내가 다 말해줄게요 Oh, yeah, baby, baby, I believing 오, 당신, 나를 믿어줘요 We really got to ramble 우리에겐 대화가 필요해요 I can hear it calling me the way it used to do 다시 돌아오라고 부르는 당신의 목소리가 들려요 I can hear it calling me back home 다시 돌아오라고 부르는 당신의 목소리가 Babe, oh baby, I'm gonna leave you 당신을, 오 당신을 떠나야만 해요 Oh baby, you know 오 내 사랑, 당신도 알고 있잖아요 I've really got to leave you 나는 어쩔 수 없이 당신을 떠나야만 해요 Oh, I can hear it calling me 오, 나를 부르는 목소리가 들려요 I said don't you hear it calling me the way it used to do, oh 그때처럼 날 부르는 당신의 목소리가 들려요 I know, I know, I know 알아요, 알아요, 알아요 I never never never never never 난 절대 절대 절대 절대 절대 gonna leave you babe 절대로 당신을 떠나지 않겠어요 But I got to go away from this place 그러나 난 이 곳을 벗어나야 해요 I've got to quit you, yeah 아아, 당신을 떠나야만 해요 Oh baby, baby, baby 오, 당신은, 당신은, 당신은 Don't you hear it calling me 날 부르는 소리가 들리지 않나요 Oh woman, woman, I know, I know 오 당신, 나는 이렇게 들리는데 It feels good to have you back again 다시 당신을 보게 돼서 기뻐요 And I know that one day baby It's really gonna grow, yes it is 그리고 언젠가는 영원히 함께할 것임을 알아요 We gonna go walking through the park every day 그래서 우리는 매일 공원을 산책하는 거예요 Come what may, every day 무슨 일에 있어도 함께 산책하는 거예요 Oh, mama, mama, mama, baby 오 그대여, 그대여, 그대여, 당신 I'm gonna leave you, go away 당신 곁을 멀리 떠나야만 해요 Baby, it was really, really good 당신과 함께 했던 시간들은 정말 행복했어요 You made me happy every single day 당신 덕분에 하루하루가 정말 행복했어요 But now I've got to go away, oh 그러나 이제 난 떠나야만 해요 Baby, baby, baby 당신, 당신, 당신 That's when it's calling me 나를 부르는 소리가 I said that's when it's calling me back home 다시 돌아오라고 부르는 소리가 들리면 ----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 (1집 전용).png|width=130]]]] ---- || == 관련 문서 == * [[고음/노래 목록/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