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NAOKI]]. 더불어 NAOKI 자신이 [[BEMANI|BEMANI 시리즈]]에서 NAOKI라는 명의를 쓴 첫 곡이다. ([[PARANOiA 시리즈|PARANOiA]]는 180이라는 다른 명의를 사용했다) 한국판 DDR 1st MIX에서는 저작권 문제 때문에 삭제된 판권곡 일부를 대체하여 들어가 있던 곡 중 하나였다. (그래서 한국판 1st는 일명 1.5버전이라고 불렸다) 영어를 읽기 힘들었던 몇몇 유저들은 배너에서 표기된 작곡가 NAOKI라는 글자만 보고 나오키, (오케스트라 그루브의 경우) 나오키 오케라고도 부르기도 하였다. 노래는 신나는 [[레이브]]곡으로, 정작 국내에서는 원곡보다는 Orchestra-Groove 리믹스 버전이 훨씬 인기가 많았다. 이 곡을 시작으로 NAOKI는 [[DYNAMITE RAVE]], [[B4U]] 등의 나오키식 스피드 레이브를 계속 밀고 나갔다. 덧붙여 한국에서는 [[TV특종 놀라운 세상]]의 초기 오프닝 곡[* 첫 방영부터 2004년까지 사용된 오프닝 BGM이다. 오프닝이 변경된 2005년 이후에는 다른 BGM으로 사용되었다.]으로 쓰인 적도 있었고, 시트콤 [[논스톱 시리즈]]의 오프닝으로도 잠깐 쓰인 적이 있었다. 그러나 배경에 나오는 댄스게임 같은 연출효과는 [[펌프 잇 업]](...)[[이뭐병]]. 그리고 [[최진기]]의 생존경제의 오프닝 곡으로도 쓰였다. 초기 BGA에 등장하는 사자 형태의 메카닉과 리믹스 및 B4U 초기 아이캐치에 등장한 합체 형태의 슈퍼로봇은 [[가오가이가]]의 패러디인듯 하다.[* 작곡가 NAOKI의 취향이 많이 방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황 떠벌이 파로디우스]]의 [[PlayStation Portable|PSP]]통합 이식판에서는 1스테이지의 BGM이 판권이 존재하는 곡[* That's the way (I like it). 역시 DDR에 수록된 적이 있었던 곡이다.]인 관계로 부득이하게 BGM이 변경되었는데 변경된 BGM이 이 곡이기도 하였다. [[그레이트 비시바시 챔프]]에서는 화면 상단에서 떨어지는 병을 받는 미니게임[* 사실 그냥 [[리듬 게임]]]의 BGM으로 나온다. [[안다미로]]의 오락실 퀴즈게임 '라이브 퀴즈 쇼'의 미니게임 배경음악으로 도용되기도 했다.[* 미니게임 형태도 [[비트매니아]]를 도용한 것이었다.] 여담으로 가사 중에 DDR처럼 들리는 부분은 사실 DDR이 아니다(...) 이 곡보다 B4U를 먼저 접한 사람들이 많아서 그렇게 들리는듯 하다. === 리메이크 버전 === [youtube(_76y26QRsr8)] [[Wii]]용 DDR 시리즈인 '댄스 댄스 레볼루션 후루후루♪파티'에서 새로 제작된 버전이 수록되었는데, 이후 발매되는 가정용 시리즈에서는 기존의 원곡을 삭제하고 이 버전을 추가하고 있다. [[댄스 에볼루션]]도 이 버전의 악곡이 사용된다. 다른 NAOKI의 곡인 [[celebrate nite]], [[KEEP ON MOVIN']], [[DYNAMITE RAVE]]도 비슷한 운명. 단 아케이드판에서는 예전 버전을 계속해서 사용한다. 곡명도 Brilliant 2U로, 전부 대문자로 되어있지 않다. == 가사 == === 오리지널 버전 === ||Come on! Lets go, here we go Jump, jump, jump, everybody, jump up, lets get down! Get involved, come on, come on Jump, jump, jump, everybody, jump up, lets get down! Jump, jump, jump Get involved Jump, jump, jump Get involved Jump, jump, jump Get involved Everybody, lets get down! Come on! Lets go, here we go Jump, jump, jump, everybody, jump up, lets get down! Get involved, come on, come on Jump, jump, jump, everybody, jump up, lets get down! Jump, jump, jump Get involved Jump, jump, jump Get involved, come on Jump, jump, jump, everybody, Get involved, come on, come on Get involved, yeah, everyone!|| === 리메이크 버전 === ||Ladies and gentlemen This is the moment you've all been waiting for It's time for the main event Let the games begin whoa, whoa... This is your moment of truth This is your time to shine There's no place to hide Cause you're on the front line You've got the skills You got the drive You've got the strength to stay alive You wanna win it all, this is the reason why you strive Your back's against the wall You're going for it all You'll never fall It's your name they'll call You're the cream of the crop You'll rise to the top and you'll never stop Until you get the VICTORY whoa, whoa Sweet, sweet VICTORY whoa, whoa You wanna taste VICTORY whoa, whoa Sweet, sweet VICTORY whoa, whoa VICTORY whoa, whoa Sweet, sweet VICTORY whoa, whoa You're gonna get the VICTORY whoa, whoa Sweet, sweet VICTORY whoa, whoa Sweet, sweet VICTORY|| == [[댄스 댄스 레볼루션]] == === BRILLIANT 2U === ||<-7> [[댄스 댄스 레볼루션]] 난이도 체계 || ||<|3> [[BPM]] ||<-6> 싱글 플레이 || || {{{#blue BEGINNER}}}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purple "STREAM" Special}}} || || {{{#blue 3}}} || {{{#orange 6}}} || {{{#red 6}}} || {{{#green 10}}} || {{{#purple 10}}} || {{{#purple 13}}} || ||<|3> 150||<-6> [[더블 플레이]] || ||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purple "STREAM" Special}}} || || || {{{#orange 6}}} || {{{#red 7}}} || {{{#green 9}}} || {{{#purple 10}}} || {{{#purple 13}}} || [youtube(ipGS29IaaZc)] MANIAC(=EXPERT) 영상 중간중간에 16비트 기습이 등장하는데, 문제는 처음 나왔을때 발바닥 7개짜리에서나 보일 패턴이 나왔음에도 발바닥 6개를 받았던 패턴이라는것이다. 박자 규칙성은 어느정도 있지만, 16비트에 익숙하지 않은경우 피를 보는 초심자가 많았다. 20레벨 체계에서는 10레벨로 나왔는데, 10레벨이어도 동렙대에서는 여전히 까다로운 편. CHALLENGE 난이도는 4thMIX에의 신규 MANIAC 채보였으며, EXTREME에서 CHALLENGE난이도로 추가되었다. === BRILLIANT 2U(Orchestra Groove) === ||<-6> [[댄스 댄스 레볼루션]] 난이도 체계 || ||<|3> [[BPM]] ||<-5> 싱글 플레이 || || {{{#blue BEGINNER}}}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 {{{#blue 4}}} || {{{#orange 6}}} || {{{#red 8}}} || {{{#green 9}}} || {{{#purple 12}}} || ||<|3> 150||<-5> [[더블 플레이]] || ||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 || {{{#orange 6}}} || {{{#red 8}}} || {{{#green 9}}} || {{{#purple 12}}} || [youtube(-W1xODoqh0I)] MANIAC(=EXPERT) 영상 원곡에 비해서 16비트를 어느정도 덜어냈고, 약간의 변칙적인 스텝이 나오면서도 클리어 자체가 어렵지 않아서, 인기를 누렸다. 오케스트라 그루브의 경우 당시 국내 DDR 퍼포먼스 팀인 A-Team이 춘 [[https://www.youtube.com/watch?v=UEeJRiDJ69I|퍼포먼스 동영상]][* 촬영점포는 지금은 사라진 동대문 엠폴리스로 추정. 엠폴리스는 쇼핑몰인데 거기 있던 오락실이 당시 성지급으로 꼽혔지만 지금은 쇼핑몰과 함께 망한지 오래다.]이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오죽하면 A-Team Routine이라는 이름으로 이 퍼포먼스의 이름이 정해졌을 정도. 이 외에도 A-Team의 동영상은 리듬게임 1세대 시절의 영상임에도 퍼포먼스계에서 거의 전설레벨로 추앙받는다. 어느새 추가된 CSP패턴의 경우도 우직하게 8비트 리듬만 나오지만 허리돌리기같은 테크닉적인 측면을 좀 많이 필요로 한다. === BRILLIANT 2U K.O.G G3 Mix === ||<-6> [[댄스 댄스 레볼루션]] 난이도 체계 || ||<|3> [[BPM]] ||<-5> 싱글 플레이 || || {{{#blue BEGINNER}}}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 {{{#blue -}}} || {{{#orange -}}} || {{{#red -}}} || {{{#green -}}} || {{{#purple 9}}} || ||<|3> 170||<-5> [[더블 플레이]] || ||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 || {{{#orange -}}} || {{{#red -}}} || {{{#green -}}} || {{{#purple 9}}} || DDRMAX2에 수록. 기본 구성은 Orchestra-Groove를 사용하고 있으며 Dancemania SPEED에 선수록된 리믹스를 다시 재수록한것답게 [[하드코어 테크노]]급의 BPM으로 올려서 신나는 곡으로 재구성되었다. DDRMAX2에 챌린지 전용으로만 수록된 일부 패턴들이 그렇듯 패턴은 비교적 단순한 편. [youtube(uGNad2qjgVk)] 싱글 CHALLENGE 영상 === BRILLIANT 2U AKBK MIX === ||<-6> [[댄스 댄스 레볼루션]] 난이도 체계 || ||<|3> [[BPM]] ||<-5> 싱글 플레이 || || {{{#blue BEGINNER}}}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 {{{#blue 3}}} || {{{#orange 7}}} || {{{#red 11}}} || {{{#green 15}}} || {{{#purple -}}} || ||<|3> 162||<-5> [[더블 플레이]] || ||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 || {{{#orange 7}}} || {{{#red 11}}} || {{{#green 15}}} || {{{#purple -}}} || X3 vs 2nd mix에 수록되었다. X3 vs 2ndMIX가 발매되기전 EMI 재팬에서 발매된 2ndMIX OST 재발매판에 수록된 버전이 약간 편집되어서 게임에 수록된 격이라 라이센스 악곡으로 분류된다. 리믹서는 유로비트 전문인 [[DJ Command]]. 라이센스곡 취급을 받기 때문에 북미판 DDR A에서는 플레이할 수 없는 곡이다. [youtube(XWq2937-y_A)] 싱글 모든 난이도 영상 난이도는 BRILLIANT 2U의 전 버전 중 가장 높다. == [[beatmania IIDX]] == || 장르명 |||||| EURO GROOVE[BR]유로 그루브 || [[BPM]] |||| 150 || || 전광판 표기 ||<-6><#454545> '''{{{#FF5A00 BRILLANT 2U}}}''' || ||<-7> [[beatmania IIDX]] 난이도 체계 || || |||| {{{#blue 노멀}}} |||| {{{#orange 하이퍼}}} |||| {{{#red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 3}}} || {{{#blue 270}}} || {{{#orange 4}}} || {{{#orange 330}}} || {{{#red 4}}} || {{{#red 362}}} || || [[더블 플레이]] || {{{#blue 3}}} || {{{#blue 288}}} || {{{#orange 5}}} || {{{#orange 363}}} || {{{#red -}}} || {{{#red -}}}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substream|substream]] ~ [[beatmania IIDX 5th style|5th Style]], [[beatmania IIDX 10th style|10th Style]] ~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25 CANNON BALLERS]]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3rd style|3rd Style]],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16년 12월 추가) [[beatmania IIDX]] substream과의 연동과 관련해서 beatmania IIDX로도 이식되었다. 6th에서 한 번 삭제되었다가 10th에서 부활했고, 26 Rootage에서 다시 삭제되었다. BGA에는 [[VJ GYO]]식 3D 모델링 소녀가 첫 등장. === 싱글 플레이 === [youtube(25HIN7WDLkg)] SPA 영상 하이퍼와 어나더의 난이도 차이가 별로 나지 않으며, 중반부의 '''16비트 계단'''은 IIDX 2nd가 국내에 들어왔을 때 7건반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를 좌절로 몰아놓기도 했다고 한다. 게다가 이 계단은 어나더뿐만 아니라 '''하이퍼'''에서도 '''똑같이 나온다'''. 그래서 한 사이트에서는 [[사기 난이도]]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사실은 당시에 몇 대 되지도 않는 [[beatmania IIDX]]를 굳이 찾아가서 플레이할 정도의 유저들은 대체로 어느 정도 수준 이상의 실력자들이었기에 그리 큰 문제는 없었던 것 같다. 어차피 게이지도 공유되고. === 더블 플레이 === [youtube(cAtXlehQCrQ)] DPH 영상 == [[beatmania]] == ||이 곡이 beatmania FINAL에 수록된 것 자체가, 나도 한가지 매듭을 느끼고 있구나 하는 생각에 휩싸였었다. Brilliant 2U를 제작당시, beatmania 2nd mix가 세상을 일세풍미했다. 그로부터 몇년이 지났을까? 시대가 변하면서, 꽤 많은 것들이 바뀌었다. 모든게 변하는 가운데, 변하지 않는 것이 있는 것일까? 그리고 흥망성쇠... 모든 것에는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다. 끝의 다음에 이어지는 내일을, 우리들은 만들어 낼 것을 지금 하고 있는 것일까? 과거를 추억할 수 밖에 없는 것은 슬프다. 그렇기에... beatmania 시대의 앞을 이어갈 미래가, 이제부터 시작이다. (NAOKI)|| beatmania THE FINAL로도 이식되었다. [[http://www.konami.jp/am/bm/final/music/brilliant.html|#]] == [[댄스 에볼루션]] == [youtube(y-JFEqGdgCo)] ||<-7> [[댄스 에볼루션]]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4> 노트수 || 소비 칼로리 || ||<|2> 150 ||<|2> 3 || {{{#green LIGHT}}} || {{{#blue STANDARD}}} || {{{#red EXTREME}}} || {{{#orange MASTER}}} ||<|2> 7.22kcal || || {{{#green 35}}} || {{{#blue 73}}} || {{{#red 132}}} || {{{#orange 175}}} || [[분류:beatmania IIDX substream의 수록곡]][[분류:DanceDanceRevolution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