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jk_drs.jpg|width=400]] [목차] == 개요 == [include(틀: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파일:poster_drs.jpg]] >'''보물이 있는 곳에 그것은 있다.''' > >Thank you everyone for playing my songs and listening to/supporting my music, it means the world to me. >(제 곡을 플레이해주시고 제 음악을 들어주시고 지원해주신 모두에게 감사드리고, 그것은 저에게 소중한 것임을 뜻합니다.)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이자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이벤트로 수록된 [[DANCERUSH STARDOM]]의 엔트리 곡. 작곡가는 [[Akira Complex]]로, 외주 아티스트가 참여한 두 곡 중 하나이다.[* 다른 한 쪽은 디디알의 [[최소삼배완전수]]. DJ TECHNORCH가 참여했다.] 댄스러쉬 내 레이블은 SUPER THUNDER. 자켓 왼쪽 아래의 금화 더미를 잘 보면 댄스러시의 마스코트인 모띠가 숨겨져 있다. ~~너 왜 거기있냐~~ == [[DANCERUSH STARDOM]]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ef43c, #ed37ea, #2c5fe5, #78fcf7);" {{{#!html DANCERUSH}}}[br]{{{#!html 난이도 체계}}} }}} || || 곡명 ||<-3>'''{{{+2 BLACK JACKAL}}}''' || || 아티스트 ||'''Akria Complex''' || 촬영 || {{{+2 o}}} || || 장르 ||'''BEMANI''' || BPM || '''150''' || || 버전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ef43c, #ed37ea, #2c5fe5, #78fcf7);" [[DANCERUSH STARDOM|{{{#!html DANCERUSH}}} {{{#!html STARDOM}}}]] }}} || ||<-4> 난이도 및 노트 수 || || || [[파일:댄스러쉬_icn_easy.png]] ||<-2> [[파일:댄스러쉬_icn_normal.png]] || ||<|2> 1인용 || 5 ||<-2> 9 || || ? ||<-2> 480 || ||<|2> 2인용 || ? ||<-2> ? || || 노트수(?/?) ||<-2> (?/?) || ||<-4> {{{#!folding 해금 조건 및 할인 미션 {{{#!wiki style="margin: 0 -11px -6px;" ||<-2> '''{{{+2 {{{#yellow,#feff00 ★}}}{{{#white 0}}}}}}''' || || 해금조건 ||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이벤트기간 중 이곡을 한번이라도 플레이 한다.[* 기간중에 이 곡을 플레이 안하면, 미해금으로 취급되어 더이상 플레이가 안된다. 이건 다른 이벤트 곡들도 마찬가지.] || }}}}}} || [youtube(dHELzLTwt3k)] [youtube(-IT13EU8lgc)] == [[beatmania IIDX]] == || 장르명 ||<-3> DANCE MUSIC[br]댄스 뮤직 || [[BPM]] ||<-2> 150 || || 전광판 표기 ||<-6> '''{{{#ff5a00,#ff5a00 BLACK JACKAL}}}''' || ||<-7>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blue,#0000ff 노멀}}} ||<-2> {{{#orange,#ffa500 하이퍼}}} ||<-2> {{{#red,#ff0000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0000ff 5}}} || {{{#blue,#0000ff 428}}} [include(틀:CN)] || {{{#orange,#ffa500 8}}} || {{{#orange,#ffa500 812}}} [include(틀:CN)] || {{{#red,#ff0000 10}}} || {{{#red,#ff0000 1183}}} [include(틀:CN)] || || [[더블 플레이]] || {{{#blue,#0000ff 5}}} || {{{#blue,#0000ff 428}}} [include(틀:CN)] || {{{#orange,#ffa500 8}}} || {{{#orange,#ffa500 813}}} [include(틀:CN)] || {{{#red,#ff0000 10}}} || {{{#red,#ff0000 1138}}} [include(틀:CN)]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beatmania IIDX 26 Rootage|26 Rootage]]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vol.18) === 싱글 플레이 === [youtube(eOS48sCUIHA)] SPA 영상 === 더블 플레이 === [youtube(_3Qq6lrhz6E)] DPA 영상 == [[DanceDanceRevolution]] == [youtube(ZXLb59z4aLY)] ||<-12><#0ff,navy> [[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333,#ddd 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 |||| BEGINNER |||| BASIC |||| DIFFICULT |||| EXPERT ||<-3> CHALLENGE || ||<|2> '''싱글 플레이''' |||| 3 |||| 7 |||| 11 |||| 15 ||<-3> - || || 107 || 6 || 248 || 12 || 376 || 11 || 502 || 22 || - || - || - || ||<|2> '''[[더블 플레이]]''' ||||<|2> - |||| 7 |||| 11 |||| 15 ||||<-3> - || || 246 || 12 || 376 || 11 || 500 || 19 || - || - || - || || BPM ||<-11> 150 || |||| 아케이드 버전분류 ||<-10> [[DanceDanceRevolution A20]] || == [[GITADORA 시리즈]] == ||<-6> [[GITADORA 시리즈]]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00f,#0000ff BASIC}}} || {{{#ff8c00,#ff8c00 ADVANCED}}} || {{{#red,#ff0000 EXTREME}}} || {{{#purple,#ff7ffe MASTER}}} || ||<|3> 150 || {{{#red,#ff0000 기타 표준}}} || 3.20 || 4.25 || 6.20 || 7.60 || || {{{#00f,#0000ff 기타 베이스}}} || 2.65 || 4.10 || 6.05 || 7.55 || || {{{#green,#7fff7f 드럼매니아}}} || 2.35 || 4.40 || 6.80 || 7.70 || ||<-2> 최초 수록 버전 ||<-4> [[GITADORA EXCHAIN|{{{#000,#e5e5e5 GITADORA '''EXCH''AIN'' '''}}}]] || 부제로 GITADORA STYLE이 붙었으나 아티스트 표기에는 with BST만 표기되어 정확히 누가 편곡했는지는 불명이다. 편곡 버전중 평이 매우 좋다. 기타리프와 드럼이 여러모로 곡의 강렬함을 더 강화시켜 주다보니 원곡초월이라는 평이 있을 정도. 동 이벤트에 등장한 다른 곡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난이도로 등장했다. === 기타프릭스 패턴 === [youtube(2bUAecosi1c)] 기타&베이스 MAS 영상 [youtube(Q_0Qi88LAsg)] 기타&베이스 EXT 영상 === 드럼매니아 패턴 === [youtube(LD1KlIf2cgQ)] 드럼 MAS & EXT[*2:01] 영상 == [[유비트 시리즈]] == ||<-4> [[유비트 페스토|{{{#0b2f51 유비트 페스토}}}]] 표준 난이도 체계 || ||<|2> 레벨 || BASIC || ADVANCED || EXTREME || || 4 || 6 || 9.6 || || 노트수 || 223 || 402 || 736 || || BPM ||<-3> 150 || ||<-4> 아케이드 수록버전 || || 아케이드 수록 ||<-3> [[유비트 페스토|{{{#0b2f51 유비트 페스토}}}]] (2019.09.12) ~ || || iOS ||<-3> 없음 || || Android ||<-3> 없음 || * 관련 칭호 * [[유비트 페스토]]~ * '''黒'''の胡狼(흑의 자칼)[* 굵은 글씨는 칭호 파츠.] : 모든 보면 클리어 * '''宝ある所'''にそれは居る(보물이 있는 곳에 그것은 있다.) : 모든 보면에서 풀콤보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youtube(B1yWcY2sKdg)] EXT 채보영상 [youtube(k7-Ie8fGuhs)] EXT EXC 영상 같이 수록된 [[toy boxer]], [[最小三倍完全数]]처럼 상하배치로 난이도를 높인 채보. 총 2번 등장하는 한 쪽 5연타 뿐 아니라 마지막 후렴구는 살을 붙인 것도 모자라 도배하다시피 해서 점수를 집중적으로 깎아먹는다. 그러나 딱 거기까지. 상술한 패턴은 88배치를 완전히 깸으로써 돌파 가능한데, 특히 마지막에 나오는 상하배치는 동시치기 이후 위쪽에서 시작하는 16비트 3연타 박자임을 숙지하고 손 위치를 옮기지 않고 그대로 처리하면 된다. 특별히 난해한 박자도 적기 때문에, 같이 수록된 상하배치 곡에 비해 외울수록 체감 난이도가 떨어지는 정도가 심해서인지 같은 레벨의 [[おーまい!らぶりー!すうぃーてぃ!だーりん!|팝픈곡]]에 비해 EXC 달성자 수가 더 빨리 100명이 채워졌다. == [[팝픈뮤직]] == ||<-3> || [[BPM]] || 150 || || 곡명 ||<-4> '''BLACK JACKAL''' || || 아티스트 명의 ||<-4> Akira Complex || || 담당 캐릭터 ||<-2> 2st ||<-2> [[Miracle☆4|츠스트]] || || 수록된 버전 ||<-4> [[팝픈뮤직 peace|pop'n music peace]] || ||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 {{{#blue,#0000ff EASY}}} || {{{#green,#7fff7f NORMAL}}} || {{{#orange,#ffa500 HYPER}}} || {{{#red,#ff0000 EX}}} || || 50단계 || {{{#blue,#0000ff 10}}} || {{{#green,#7fff7f 27}}} || {{{#orange,#ffa500 40}}} || {{{#red,#ff0000 45}}} || || 노트 수 || {{{#blue,#0000ff 162(?)}}} || {{{#green,#7fff7f 429(?)}}} || {{{#orange,#ffa500 820(?)}}} || {{{#red,#ff0000 1220(16)}}} || [youtube(L8kD7B4iG6o)] EX 채보 영상 == [[사운드 볼텍스]]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jk_drs.jpg|width=150]] || [[파일:jk_drs.jpg|width=150]] || [[파일:jk_drs.jpg|width=150]] || [[파일:jk_drs.jpg|width=150]] || || 레벨 || 05 || 11 || 14 || 17 || || 체인 수 || 0000 || 0791 || 1154 || 1658 || || 일러스트 담당 ||<-4> CRAIG AKAGI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Kaito || || 수록 시기 ||<-4>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 || [[BPM]] ||<-4> 150 || === 채보 상세 === [youtube(riGvhJeCFgM, width=400, height=600)] MXM PUC 영상 MXM은 적당한 17레벨 패턴. 전체적으로 원핸드 패턴이 주를 이루며, 짤막한 원핸드 트릴이나 초반부의 연타, 후반부의 FX 칩이 섞인 폭타를 주의하자. 여담으로 이 곡에 쓰인 배경은 [[발견! 되살아난 BEMANI 유적]] 해금곡 전용 배경인데, 약 5년만에 재사용되었다. [youtube(Jv6JKurOQ6E, width=400, height=600)] EXH PUC 영상 == [[노스텔지어 시리즈]] == [youtube(paBx4pmI0j0)] 피아노 버전 편곡이긴한데 원곡이 아니라 '''기타도라로 편곡된걸 베이스로 한다.''' 그래서 연주할때 기타소리가 들린다. 그래도 피아노까지 들어가있는지라 호불호도 심하게 갈릴 것으로 보인다. 피아노 편곡 담당은 [[ Akhuta]]. 11레벨 치고는 좀 어려운 편이다. 계단과 연타가 굉장히 빽빽하게 들어차있어 박자감을 잃기 쉽고, 판정이 떨어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이 처리능력에 따라 최대 12레벨 정도의 체감난이도를 지닐 수 있다. [[분류:DANCERUSH STARDOM의 수록곡]][[분류:beatmania IIDX 26 Rootage의 수록곡]][[분류:DanceDanceRevolution A20의 수록곡]][[분류:GITADORA EXCHAIN의 수록곡]][[분류:유비트 페스토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 peace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의 수록곡]][[분류:노스텔지어 Op.2의 수록곡]][[분류:Akira Comp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