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배틀그라운드 e스포츠팀, rd1=BGP(e스포츠 팀))] [목차] == 개요 == BGP(Border Gateway Protocol)는 AS(Autonomous System) 사이의 경로 지정(라우팅)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에서 AS는 각 IP 대역의 소속을 정의하는 역할, 즉 IP보다 더 큰 개념을 만들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가령 해저케이블을 거쳐야하는 국가간 통신에 있어서도 AS를 라우팅하기 위한 BGP의 역할이 중요하다. 최근 BGP Hijacking 공격이 발생해서 논란이 되곤 했다. == 사건사고 == * [[차이나텔레콤#s-4.1|2018년 10월 차이나텔레콤 해외 인터넷 트래픽 감청 논란]] * 2021년 10월 페이스북 먹통 사건 [[https://www.cnet.co.kr/view/?no=20211005011342|#]]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1/10/06/2021100601589.html|#]] * 2022년 2월, 국내 [[카카오(기업)|기업]]이 운영하는 [[라이브러리]] 서버가 BGP 하이재킹 공격을 받아, [[가상화폐]] 서비스 업체가 금전적 피해를 입은 것을 포함 여러 업체들이 위협에 노출되었으나 아직 배후가 밝혀지지 않았다. * 2022년 3월 28일 한국시간 오전 9시 무렵, 누가 [[트위터]] 트래픽을 트위터가 차단된 [[러시아]]에 갖다 꽂아버렸다(...) 트위터는 그렇게 이 사태를 안 RTCOMM이 브로드캐스팅을 중단하기까지 45분동안 러시아 연방내에서 동작했었다.(...) == 여담 == BGP는 전 세계에 있는 [[ISP]] 중 어느 한 곳이라도 설정을 바꾸면 매우 빠르게 확산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비슷하게 변경된 설정이 확산하는 특징을 가진 [[DNS]]는 오작동이 발생했다면 개인이 원활하게 접속되는 다른 서버를 선택할 수 있지만 BGP는 [[지역]], [[국가]], [[대륙]], [[인터넷 위성군|인공우주물체]] 사이의 경로를 지정(라우팅)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시 개인이 할 수 있는 마땅한 대응 방법이 없다. 만약 이것을 공격 상대로 삼아야 한다면 공격자가 ISP 급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쉽게 말해서 KT랑 똑같은게 통째로 내 집에 있어야 한다는 소리~~ 하지만, 2021년 10월에 있었던 페이스북 장애의 경우 이런 BGP가 공격을 받아 발생했음에도 아직까지 배후조차 밝히지 못한 상태이다. [[분류: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