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BEATLESS)] ||<-2>
[[프라임 비디오/오리지널 콘텐츠 목록|{{{#000 '''프라임 비디오 오리지널'''}}}]][br]{{{#010101,#010101 '''{{{+1 비트리스}}}''' (2018)[br]ビートレス[br]BEATLES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QkPitFVQAA_us8.jpg|width=100%]]}}} || ||<-2> {{{#010101,#010101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010101,#010101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사이버펑크]] || || '''{{{#010101,#010101 원작}}}''' ||하세 사토시(長谷敏司) || || '''{{{#010101,#010101 원작 일러스트}}}''' ||[[redjuice]] || || '''{{{#010101,#010101 감독}}}''' ||[[미즈시마 세이지]] || || '''{{{#010101,#010101 시리즈 구성}}}''' ||[[타카하시 타츠야]][br][[잣파 고]] || || '''{{{#010101,#010101 캐릭터 디자인}}}''' ||야구치 히로코(やぐちひろこ) || || '''{{{#010101,#010101 미술 감독}}}''' ||미네타 요시미(峯田佳実) || || '''{{{#010101,#010101 색채 설계}}}''' ||하야시 유키(林 由稀) || || '''{{{#010101,#010101 촬영 감독}}}''' ||이토 야스유키(伊藤康行) || || '''{{{#010101,#010101 편집}}}''' ||코지마 토시히코(小島俊彦) || || '''{{{#010101,#010101 음향 감독}}}''' ||키쿠타 히로미(菊田浩巳) || || '''{{{#010101,#010101 음향 제작}}}''' ||라쿠온샤(楽音舎) || || '''{{{#010101,#010101 음악}}}''' ||Narasaki (sadesper record)[* [[낙원추방]] 음악][br]kz ([[livetune]]) || || '''{{{#010101,#010101 음악 제작}}}''' ||[[INCS toenter]] || || '''{{{#010101,#010101 프로듀서}}}''' ||타무라 준이치로(田村淳一郎)[br]아사이 토모히토(浅井大士)[br]카메이 히로시(亀井博司)[br]세키카와 히로유키(関川裕之)^^2~13화, 16~23화^^[br]타나카 사토시(田中 聡)[br]아이지마 고타(相島豪太) || || '''{{{#010101,#010101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아마노 쇼타(天野翔太) || || '''{{{#010101,#010101 애니메이션 제작}}}''' ||[[디오미디어]] || || '''{{{#010101,#010101 제작}}}''' ||BEATLESS [[제작위원회]] || || '''{{{#010101,#010101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8년 1월|2018. 01. 13.]] ~ 2018. 06. 30.^^1~20화^^[br][[애니메이션/2018년 7월|2018. 09. 26.]] ~ 2018. 09. 28.^^21~24화^^ || || '''{{{#010101,#01010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BS 테레비|TBS]]([[아니메이즘]]) / (토) 01:55 → 01:25 || || '''{{{#010101,#010101 스트리밍}}}''' ||[[프라임 비디오]] || || '''{{{#010101,#010101 편당 러닝타임}}}''' ||24분 || || '''{{{#010101,#010101 화수}}}''' ||24화 || || '''{{{#010101,#010101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010101,#010101 관련 사이트}}}''' ||[[http://beatless-anime.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EATLESS_info)]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명 원작 소설 [[BEATLESS]]의 TV 애니메이션. 2017년 10월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었다.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18년 1월|2018년 1월]]. 감독은 [[미즈시마 세이지]], 제작은 [[디오미디어]]. == 방영 전 정보 == 감독은 [[강철의 연금술사]] 구작, [[UN-GO]], [[기동전사 건담 00]] 등을 맡았고 또 SF에도 관심이 많은 것으로 유명한 [[미즈시마 세이지]]가 내정되었다. 시리즈 구성은 각본가 [[타카하시 타츠야]][* 한국에는 [[타카하시 유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으나 둘은 완전 다른 인물이다. 아마 둘의 한자(高橋龍也/悠也)가 비슷하다보니 혼동한 것으로 보인다.]와 [[잣파 고]]가 공동으로, 캐릭터 디자인은 [[UN-GO]], [[아이카츠]] 시리즈로 유명한[* 두 작품 모두 미즈시마 감독이 참여했었다.] 야구치 히로코가 담당. 10월 17일에 미즈시마 감독이 상담회를 가졌음을 트위터로 밝혔는데, '''두 달만 더 일찍 했으면 좋았을 텐데'''라고 발언해 퀄리티에 불안을 주고 있다.[* 다만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스케줄이 원하는 대로 흘러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그러나 이 발언은 어느 정도 현실화가 되었는데, 자세한 것은 평가 항목 참고.] 디오미디어 역시 SF나 액션물과는 거리가 멀다는 평가를 받기 때문에 시청자들의 걱정이 큰 편. 미즈시마 감독은 인터뷰에서 기본적으로 메인 스태프와 제작사는 본인이 먼저 말을 걸었다고 한다. 또 원작을 읽으면서 SF를 좋아하는 자신에게 충분히 감독 제의가 올 수 있겠다고 예상했다고. 화수는 2018년 1월 19일 [[http://beatless-anime.jp/goods/vol01.php|BD 발매 공지]]로 2쿨 24화로 확정되었다. 600페이지인 원작을 차분히 애니화하기에 2쿨이 적합하다고 여긴 듯 하다. 애니메이션과 별개로 공식 홈페이지에는 애니메이션처럼 그림 월페이퍼가 몇 장 공개되어 있는데, 이는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진격의 거인]], [[종말의 세라프/애니메이션|종말의 세라프]] 등으로 유명한 [[WIT STUDIO]]의 애니메이터 [[카도와키 사토시]]가 그린 작품이다. 또한 뒷 배경은 [[아라키 테츠로]] 감독에 같은 [[redjuice]] 원안의 작품 [[길티 크라운]]에서 사용했던 배경을 재탕한 것이다. 그래서 과거엔 애니화가 된다면 WIT 제작에 아라키 테츠로 감독이 맡을 것이라는 추측이 대부분이었다. 9월 12일, BEATLESS Final Stage 방송 일정이 공개되었다. 방송 일정은 다음과 같다. * [[마이니치 방송|MBS]] * 2018년 9월 26일 (수) 03:00~03:30 (21화) * 2018년 10월 15일 (월) 02:15~03:45 (22~24화) * [[AT-X]], [[도쿄 MX]] * 2018년 9월 27일 (목) 22:00~23:00 (21~22화) * 2018년 9월 28일 (금) 22:00~23:00 (23~24화)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jPq1Hrh5ZnU, width=100%)]}}} || ||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KVpM8esO6Q, width=100%)]}}} || || '''PV 제2탄''' || == [[BEATLESS/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BEATLESS/등장인물)] == [[BEATLESS#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BEATLESS, 앵커=설정)] == 주제가 == === OP1 === ||<-2>
'''{{{#010101,#010101 OP1[br]Erro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10101,#0101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qZfJRu-_zY, width=100%)]}}} || ||<-2> '''{{{#010101,#010101 Full ver.}}}''' || || '''노래''' || [[GARNiDELiA]] || || '''작사''' || 메이리아(メイリア) || || '''작곡''' || toku || || '''편곡''' || [[GARNiDELiA]]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OP 디렉터''' || 코쵸란 아게하(胡蝶蘭あげは) || || '''콘티''' || [[시미즈 소라토]] || || '''작화감독''' || 이시카와 마사카즈(石川雅一) || || '''총 작화감독''' || 야구치 히로코(やぐちひろこ)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1 === ||<-2>
'''{{{#010101,#010101 ED1[br]PRIMALov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10101,#0101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CQe3BUlBf4, width=100%)]}}} || ||<-2> '''{{{#010101,#010101 Full ver.}}}''' || || '''노래''' || [[ClariS|[[파일:ClariS 로고.svg|height=30]]]] || || '''작사''' ||<|3> [[livetune|kz]]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D 디렉터''' || [[야마시타 신고]] || || '''작화감독''' || 야구치 히로코(やぐちひろこ)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BEATLESS라는 제목과 다르게 강렬한 비트가 멜로디에 녹아있는 일렉트로닉 음악들이다. 두 곡 모두 아티스트의 명성에 걸맞은 좋은 곡들이지만, ED의 경우 순정만화풍으로 유카를 그린 [[낚시]]고, OP은 레이시아급들과 오너, 메토우데와 대치한 료우, 레이시아급 프로토타입 등 최후반부까지 고른 [[스포일러]]를 시전하는 골 때리는 영상이 백미다. 근데 메세지나 가치관이 중요한 작품이지 누가 오너인지가 중요한 작품은 아니기에 큰 스포일러는 아니다. 오히려 영상 연출은 좋은 편. 덧붙여 OP의 가사 역시 작중의 스토리 전개를 암시하는 의미심장한 스포일러성 가사라고 평가받고 있다. 작품의 메세지 전반을 그대로 함축한 가사라는 평가가 많다. === OP2 === ||<-2>
'''{{{#010101,#010101 OP2[br]Trut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10101,#0101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DOve2rDXJE, width=100%)]}}} || ||<-2> '''{{{#010101,#010101 Full ver.}}}''' || || '''노래''' || [[TrySail|{{{#!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3px" [[파일:trysail_logo.png|height=40]]}}}]] || || '''작사''' || 메이리아(メイリア) || || '''작곡''' ||<|2> toku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OP 디렉터''' || 코쵸란 아게하(胡蝶蘭あげは) || || '''콘티''' || [[시미즈 소라토]] || || '''작화감독''' || 이데 나오미(井出直美)[br]이시카와 마사카즈(石川雅一) || || '''총 작화감독''' || 야구치 히로코(やぐちひろこ)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2 === ||<-2>
'''{{{#010101,#010101 ED2[br]Shapeles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10101,#010101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kUVb6pIL8M, width=100%)]}}} || ||<-2> '''{{{#010101,#010101 Full ver.}}}''' || || '''노래''' || [[도쿄 퍼포먼스 돌]] || || '''작사''' ||<|3> [[livetune|kz]]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미즈시마 세이지]] || || '''연출''' || 야마모토 요스케(山本陽介) || || '''작화감독''' || 야구치 히로코(やぐちひろこ) || || '''원화''' || 마키타 미치코(槙田路子)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1쿨과 마찬가지로 일렉트로닉 계열의 신스팝으로 나왔으나, 1쿨과 다르게 이번엔 작품의 분위기와 매우 어울리지 않게 상당히 [[아이돌]]스러운 분위기가 나는 노래들이다. 가뜩이나 2쿨 들어서 더 어두워지고 진지해지는데 노래는 정반대로 매우 밝고 모에물에 나올 법한 분위기라 호불호가 꽤 갈린다.[* 분위기와 별개로 노래 자체에 대한 평은 좋다. 가사의 내용은 1쿨 OP와 마찬가지로 작중의 스토리 전개를 암시하는 의미심장한 [[스포일러]]성 가사로 평가받는다. 눈썰미 좋은 사람들은 가사 내용만 보고 서도 작품의 [[결말]]의 방향성을 어느 정도 점치고 있었을 정도.] OP 영상은 [[매드무비]] 처럼 편집하고 [[스탭롤|스테프롤]]을 전부 [[영어]]로 표시하고 있으며, ED은 1쿨 처럼 주인공들의 여동생들을 가지고 순정만화 풍으로 나왔다. 16화부터 OP영상이 드디어 제대로 나왔는데, 1쿨보다 훨씬 뛰어난 퀄리티의 영상미가 백미. [[길티 크라운]] 1쿨 오프닝 영상과 유사하며 색깔 톤만 어둡게 바꾼 수준. 또한 16화 이전의 임시 OP 영상 역시 땜빵용 영상이었음에도 그 독특한 영상미를 높이 평가받았다. == 회차 목록 == * 특별 방송이 잦다. [[총집편]](intermission)은 2월 17일, 3월 24일, 5월 12일, 6월 2일에 방영했고, 4월 21일에는 특별 방송 'What's BEATLESS'가 방영되었다.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프라임 비디오]] 스트리밍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01 || {{{-3 Contract[br]계약}}} ||<|3> {{{-3 [[타카하시 타츠야]]}}} || {{{-3 [[미즈시마 세이지]][br]미야자와 츠토무[br](宮澤 努)}}} || {{{-3 쿠지 고로[br](久慈悟郎)}}}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石川雅一)[br]오가와 아카네[br](小川 茜)[br]토쿠나가 사야카[br](徳永さやか)[br]카토 히로마사[br](加藤弘将)[br]오오무라 마사시[br](大村将司)[br]미야자와 츠토무[*M 메카닉]}}} || {{{-3 야구치 히로코[br](やぐちひろこ)}}} || {{{-3 2018.01.13.}}} || || #02 || {{{-3 Analog hack[br]아날로그 해킹}}} || {{{-3 [[요시다 토오루]]}}} || {{{-3 야마모토 요스케[br](山本陽介)}}} || {{{-3 마츠모토 마유코[br](松本麻友子)[br]오가와 아카네[br]토쿠나가 사야카[br]후쿠다 케이타[br](福田佳太)[br]노무라 하루요시[br](野村治嘉)[br]이시마루 후미노리[br](石丸史典)[br][[오이자키 후미토시]][br]시부야 사카에[br](渋谷 秀)[br]소가와 아유미[br](寒川 歩)[br]모리 에츠히토[br](森 悦史)[br]오자와 마도카[br](小澤 円)}}} || {{{-3 이데 나오미[br](井出直美)}}} || {{{-3 2018.01.20.}}} || || #03 || {{{-3 You'll be mine[br]넌 내 것이야}}} || {{{-3 [[타마키 신고]]}}} || {{{-3 미시오 텐페이[br](三塩天平)}}}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가와 아카네[br]토쿠나가 사야카[br]후쿠다 케이타[br]에노키다 미치코[br](榎田路子)[br]오오무라 마사시[br]카토 히로마사[br]유민지[br]박유미}}} || {{{-3 야구치 히로코}}} || {{{-3 2018.01.27.}}} || || #04 || {{{-3 Automatic world[br]기계 세계}}} || {{{-3 아사쿠사 카오루[br](麻草 郁)[br][* 첫 공개 당시 타카하시 타츠야로 크레딧되어 있었지만, 각본가 본인의 트위터에서 오류라고 정정했고,([[https://twitter.com/t_takahasi/status/959012231718477824|#]]) 이후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각본 협력이라는 형태로 수정하였다.]}}} ||<-2> {{{-3 [[쿠사카와 케이조]]}}} || {{{-3 아오키 마리코[br](青木真理子)[br]키노시타 유미코[br](木下由美子)[br]핫토리 마스미[br](はっとりますみ)[br]야시로 키미코[br](八代きみこ)}}} || {{{-3 이데 나오미[br]마츠모토 마유코[br](松本麻友子)}}} || {{{-3 2018.02.03.}}} || || #05 || {{{-3 Tools for outsoucers[br]아웃소서의 도구}}} || {{{-3 타카하시 타츠야}}} ||<-2> {{{-3 [[이바타 쇼타]]}}}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가와 아카네[br]토쿠나가 사야카[br]후쿠다 케이타[br]에노키다 미치코[br]노무라 하루요시[br]이시마루 후미노리[br]오오무라 마사시[br]카토 히로마사[br]혼다 타츠오[br](本田辰夫)}}} || {{{-3 야구치 히로코}}} || {{{-3 2018.02.10.}}} || || #06 || {{{-3 Higgins village[br]히긴스 빌리지}}} ||<|4> {{{-3 [[잣파 고]]}}} ||<-2> {{{-3 쿠지 고로}}}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가와 아카네[br]토쿠나가 사야카[br]후쿠다 케이타[br]마키타 미치코[br](槙田路子)[br]노무라 하루요시[br]카토 히로마사[br]혼다 타츠오}}} || {{{-3 이데 나오미}}} || {{{-3 2018.02.24.}}} || || #07 || {{{-3 Boy meets pornography[br]소년이 포르노를 만나다}}} || {{{-3 요시다 토오루}}} || {{{-3 야마모토 요스케}}}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가와 아카네[br]토쿠나가 사야카[br]후쿠다 케이타[br]노무라 하루요시[br]이시마루 후미노리[br]오오무라 마사시[br]혼다 타츠오}}} || - || {{{-3 2018.03.03.}}} || || #08 || {{{-3 Awakening of sleeping beauty[br]잠자는 공주의 자각}}} ||<-2> {{{-3 코사카 하루메[br](小坂春女)}}}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가와 아카네[br]후쿠다 케이타[br]노무라 하루요시}}} || {{{-3 이데 나오미}}} || {{{-3 2018.03.10.}}} || || #09 || {{{-3 My whereabouts[br]나의 행방}}} || {{{-3 타마키 신고}}} || {{{-3 미시오 텐페이}}}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가와 아카네[br]후쿠다 케이타[br]노무라 하루요시[br]마키타 미치코[br]토쿠나가 사야카[br]혼다 타츠오[br]이시마루 후미노리}}} || {{{-3 이데 나오미[br]마츠모토 마유코[br]야구치 히로코}}} || {{{-3 2018.03.17.}}} || || #10 || {{{-3 Dwellings and surroundings[br]주택과 환경}}} ||<|2> {{{-3 [[무라이 사다유키]]}}} ||<-2> {{{-3 쿠사카와 케이조}}}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가와 아카네[br]후쿠다 케이타[br]노무라 하루요시[br]마키타 마치코[br]후쿠나가 사야카[br]류중현}}} || {{{-3 이데 나오미[br]마츠모토 마유코}}} || {{{-3 2018.03.31.}}} || || #11 || {{{-3 Dystopia game[br]디스토피아 게임}}} ||<-2> {{{-3 이바타 쇼타}}}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가와 아카네[br]후쿠다 케이타[br]노무라 하루요시[br]마키타 미치코[br]토쿠나가 사야카[br]혼다 타츠오[br]이바타 쇼타}}} || {{{-3 이데 나오미[br]야구치 히로코}}} || {{{-3 2018.04.07.}}} || || #12 || {{{-3 Slumber of human[br]인간의 잠}}} ||<|7> {{{-3 잣파 고}}} || {{{-3 요시다 토오루}}} || {{{-3 코쵸란 아게하[br](胡蝶蘭あげは)}}}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가와 아카네[br]후쿠다 케이타[br]노무라 하루요시[br]마키타 미치코[br]토쿠나가 사야카[br]혼다 타츠오}}} ||<|3> {{{-3 이데 나오미}}} || {{{-3 2018.04.14.}}} || || #13 || {{{-3 The Prayer Within[br]내면의 기도}}} ||<-2> {{{-3 쿠지 고로}}} || {{{-3 마츠모토 마유코[br]이시카와 마사카즈[br]후쿠다 케이타[br]노무라 하루요시[br]마키타 미치코[br]토쿠나가 사야카[br]혼다 타츠오}}} || {{{-3 2018.04.28.}}} || || #14 || {{{-3 Answer for Survive[br]생존의 해답}}} ||<-2> {{{-3 이바타 쇼타}}}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가와 아카네[br]후쿠다 케이타[br]노무라 하루요시[br]토쿠나가 사야카[br]혼다 타츠오[br]이바타 쇼타}}} || {{{-3 2018.05.05.}}} || || #15 || {{{-3 Edge Line[br]에지라인}}} || {{{-3 아오야마 히로시[br](青山 弘)}}} || {{{-3 야마모토 요스케}}} || {{{-3 이데 나오미[br]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가와 아카네[br]후쿠다 케이타[br]노무라 하루요시[br]토쿠나가 사야카[br]마키타 미치코}}} ||<|10> - || {{{-3 2018.05.19.}}} || || #16 || {{{-3 Plus One[br]플러스 원}}} ||<-2> {{{-3 카쿠치 타쿠다이[br](角地拓大)}}} || {{{-3 이데 나오미[br]이시카와 마사카즈[br]토쿠나가 사야카[br]오가와 아카네[br]후쿠다 케이타[br]마키타 미치코[br]노무라 하루요시[br]혼다 타츠오}}} || {{{-3 2018.05.26.}}} || || #17 || {{{-3 A Reason of Own[br]우리 자신의 이유}}} || {{{-3 쿠로카와 토모유키[br](黒川智之)}}} || {{{-3 쿠사카와 케이조}}} || {{{-3 이데 나오미[br]이시카와 마사카즈[br]토쿠나가 사야카[br]오가와 아카네[br]후쿠다 케이타[br]마키타 미치코[br]노무라 하루요시}}} || {{{-3 2018.06.09.}}} || || #18 || {{{-3 Protocol of Love[br]프로토콜 사랑}}} || {{{-3 요시다 토오루}}} || {{{-3 코쵸란 아게하[br]이바타 쇼타}}} ||<|3> {{{-3 이데 나오미[br]이시카와 마사카즈[br]토쿠나가 사야카[br]오가와 아카네[br]후쿠다 케이타[br]마키타 미치코[br]노무라 하루요시[br]혼다 타츠오}}} || {{{-3 2018.06.16.}}} || || #19 || {{{-3 Paper Tiger[br]종이호랑이}}} ||<|2> {{{-3 타카하시 타츠야}}} || {{{-3 쿠지 고로[br]미즈시마 세이지}}} || {{{-3 쿠지 고로}}} || {{{-3 2018.06.23.}}} || || #20 || {{{-3 Our Error World[br]우리의 오류 세계}}} || {{{-3 미야오 요시카즈[br](宮尾佳和)}}} || {{{-3 야마모토 요스케}}} || {{{-3 2018.06.30.}}} || || #21 || {{{-3 Higgins' silo[br]히긴스 사일로}}} ||<|2> {{{-3 무라이 사다유키[br][* 엔딩 크레딧에서는 타카하시 타츠야로 기재되어 있었으나, 타카하시가 [[https://twitter.com/t_takahasi/status/1045314349898686464|정정 트윗]]을 냈다. BD판에서는 수정되었다.]}}} ||<-2> {{{-3 이바타 쇼타}}} || {{{-3 이시카와 마사카즈}}} || {{{-3 2018.09.26.}}} || || #22 || {{{-3 Pygmalion[br]피그말리온}}} || {{{-3 카쿠치 타쿠다이}}} || {{{-3 카쿠치 타쿠다이[br]코쵸란 아게하}}}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오오무라 마사시}}} || {{{-3 2018.09.27.}}} || || #23 || {{{-3 Beatless[br]비트리스}}} ||<|2> {{{-3 타카하시 타츠야}}} || {{{-3 이바타 쇼타}}} || {{{-3 야마모토 요스케}}}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이데 나오미[br]마츠모토 마유코[br]마키타 미치코[br]후쿠다 케이타[br]혼다 타츠오}}} ||<|2> {{{-3 2018.09.28.}}} || || #24 || {{{-3 Boy Meets Girl[br]소년이 소녀를 만나다}}} || {{{-3 미즈시마 세이지[br]쿠지 고로[br]이바타 쇼타}}} || {{{-3 쿠지 고로[br]코쵸란 아게하}}} || {{{-3 이시카와 마사카즈[br]이데 나오미[br]마츠모토 마유코[br]마키타 미치코[br]후쿠다 케이타[br]혼다 타츠오[br]카토 히로마사[br]오가와 아카네}}} || == 평가 == 캐릭터들이 전체적으로 성숙하게 그려지는 redjuice의 원화와는 달리 애니메이션에선 좀 더 소년 소녀스럽게 그려지고 있다. 실방영된 1화, 인물의 작화나 액션의 동화(특히 코우카)가 다소 유감스러운 면이 있으나 일상 파트, 3D, ED 영상 등은 잘 뽑힌 편이고, 오리지널 요소도 있다. 아라토와 레이시아의 만남, 레이시아 납치와 코우카와의 조우, 항체네트워크의 테러까지는 원작에 있는 장면만 영상화시켰다면 이 뒤부터는 원작엔 없던 인물간의 대화나 행동이 늘어났다. 1쿨,2쿨 사이 총집편 4회나 특별편 방영 등 [[Re:CREATORS]]를 넘는 폭거를 계속하는 중이다(…). 작화 품질도 좋지 않은데 총집편까지 한다고 욕을 먹는 중. 현재 16회까지 방영하고 5주는 땜빵 총집편이라는 기록을 세우고 있다. 16화가 방영된 시점에서는 '''감독 [[미즈시마 세이지]]가 트위터에 병원 사진을 올리면서 스트레스성 난청 치료를 받고 있다는 트윗이나([[https://mobile.twitter.com/oichanmusi/status/1000184624469786624|#]]), 아예 제작일정이 빠듯하기는 하지만 [[로스트 유니버스|야시가니]] 사태는 일으키지 않겠다는 트윗을 올리기도 했다.([[https://mobile.twitter.com/oichanmusi/status/1000065753121370112|#]])''' 이미 포기한 팬들은 격주방영 애니로 인식하고 있으며, 휴방해도 좋으니 [[메르헨 메드헨/애니메이션|메르헨 메드헨]]같은 사태만 피해달라는 의견도 많았으나… 결국 20화로 방송중단하고 남은 4화는 「BEATLESS Final Stage」라는 제목으로 동년 9월에 방송할 예정이라는 공지가 올라왔다.([[http://beatless-anime.jp/news/detail_0620_1.php|#]]) 낮은 퀄리티의 작화는 제작 환경이 열악하다는 이야기가 있고, 제작사인 [[디오미디어]]의 장편 경험 부족도 한 몫 했겠지만[* 이 애니를 제작하기 전까지 디오미디어의 역대 제작 작품들은 모두 1쿨이었다. 즉, '''디오미디어의 연속 2쿨 애니메이션 제작은 이 작품이 처음이다.'''], 당초 2018년 1분기 방영인 상황에 2017년 10월에 애니화 발표를 했으며, 심지어 감독 섭외와 미팅마저 애니화 발표 직후 진행되었다. 즉 3개월만에 기획되고 초고속으로 급하게 제작에 들어간 작품이며, 스케줄 펑크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퀄리티는 필연적이였다. 덕분에 [[요시다 토오루]], 쿠로카와 토모유키(黒川智之), [[오이자키 후미토시]], 미야오 요시카즈(宮尾佳和) 정도를 제외하면 디오미디어의 인원들로 구성되어있으며, 미즈시마 감독의 인맥들도 그다지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즈시마 세이지 작품치곤 유달리 연출과 작화의 질이 나쁘다. 하지만 작화나 제작환경과는 별개로 탄탄한 원작과 더불어 거장 [[미즈시마 세이지]]가 감독을 맡은 덕분에 내용 자체는 잘 녹여나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결국 3개월 휴방 뒤 FINAL STAGE에서 마무리 되었으나, 21화에서는 작화가 좀 괜찮아진거 같은 플라시보 효과도 약간 있었으나 22화부터 작붕이 계속 터지고 23화는 스노우드롭이 작화진을 갈아넣는 디자인으로 되어있는 걸 잘 살리지도 못하고, 일반 장면에서도 계속해서 작화가 터지며 24화에서는 정지화면 땜빵에 안 이어지는 장면까지 있는 등 정말 안 좋았다.그래도 작화와는 별개로 내용은 호평일색이다. 작화 이외의 부분은 굉장히 수준급인게 본작의 감독인 [[미즈시마 세이지]]가 영상미를 잘 뽑고 촬영에 일가견이 있기로 명성이 있는 만큼 전반적인 화면 구도, 광원효과 그리고 색감은 여건을 생각하면 굉장히 미려하고 훌륭하다. 물론 퀄리티가 상향평준화된 현재 일본 애니메이션들과 같은 분기에는 [[바이올렛 에버가든(TVA)|바이올렛 에버가든]]같은 작품이 있어서 크게 돋보일 수준은 아니지만, 감독 본인의 장기는 제대로 발휘되었다. 그리고 미즈시마 세이지의 SF 작품에서 매번 돋보이는 소품 디자인들은 이 작품 역시 세련된 디자인들을 보여준다. 즉 '''미장센은 작화 퀄리티와 대조되게 상당히 수준급'''이다. 14화의 코우카 전투씬에서는 오히려 꽤 괜찮은 수준까지 올라오기도 했다. 스토리 부분은 원작 소설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으며 천천히 자세하고 차분하게 진행되고있다. 원작이 워낙 고유명사나 용어가 많고 설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중간 중간 추가된 오리지널 장면을 통해 보다 자세한 설명과 개연성 보충을 해주고 있지만, 매체 특성상 오히려 설명을 못해주는 부분 또한 존재한다는게 흠이다. 현지에서는 내용 이해가 너무 어렵다는 말도 많이 나온다. 그래도 원작 재현도는 매우 높으며, 원작에서 말하고자하는 철학적 메세지나 고찰도 잘 표현해주었다. 적절한 장면에 등장인물들을 잘 배치해서 서로의 가치관과 사상을 표현하는 장면묘사나 구성도 훌륭하다. 2쿨 부분 부터는 등장인물들의 대사나 행동, 상황 전부 메타포가 상당히 많다. 해석에 따라 여러 관점으로도 볼 수 있는 작품이다. BD/DVD 1권의 초동판매량은 623장으로 집계되었다. 저조하긴 하나 저예산 작품이고, 1권당 6화가 들어간 BOX구성인데다가 [[프라임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덕분에 그렇게 손해본 수준은 아니다. 여담으로 애니판을 통해 입문한 이들 사이에서는 이 작품의 몇 안 되는 [[진입장벽]]이자 최대의 진입장벽으로서 [[주인공]]인 [[엔도 아라토]]의 [[성격]]과 언행을 꼽고 있다. [[우유부단]]해 보이는 주인공에게 [[공감]]을 하기가 영 힘들다는 모양. 하지만 아라토의 그러한 성격과 언행 역시 작가가 작품에 담고자 했던 철학적 메세지와 고찰을 담은 의도적인 요소이고 궁극적으로는 작품의 [[결말]]과도 깊숙히 연계되어 있는 요소인지라(즉 작가가 역량이 부족해서 실수로 그런 주인공을 만든 게 아니라, 작품의 주제의식과 주인공을 연계시키기 위해서 일부러 의도적으로 그런 주인공을 만들었고 그 주인공의 성격과 언행을 통해 독자들에게 생각할 거리를 던져 주고 있다는 것이다.), 마냥 무시하고만 지나갈 수는 없기도 하다. == 기타 == * [[프라임 비디오]]에서는 제목을 '비트리스'라고 번역했다. * 등장하는 차량들의 3D 모델링에 [[캐딜락|일부]] [[메르세데스-벤츠|차량]]을 제외하고 [[토요타]]의 차량들을 많이 참고한 듯 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BEATLESS, version=714)] [[분류:BEATLESS]][[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8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18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18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SF 애니메이션]][[분류:사이버펑크 애니메이션]][[분류:소설 원작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