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Axwell Λ Ingrosso|[[파일:external/www.atmartists.com/axingrosso-300.jpg|width=100&bgcolor=#fff]]]]}}}[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000 45%, #000 55%, transparent 55%); width: 90%"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transparent; width: 33.33%" [[세바스티안 인그로소|{{{#000 Ingrosso}}}]]}}}{{{#!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transparent; width: 33.33%" [[Axwell|{{{#000 Axwell}}}]]}}}[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 || ||<-2>
'''{{{+1 {{{#ffffff Axwell Λ Ingrosso}}}}}}[* Λ은 and로 대체하기도 한다.]''' || ||<-2> [[파일:external/cdn-assets.insomniac.com/axwell_ingrosso_1.jpg|width=100%]] || || '''[[Axwell|{{{#ffffff 악스웰}}}]]''' || '''[[Sebastian Ingrosso|{{{#ffffff 세바스티안 잉그로소}}}]]''' || ||<-2>
[[파일:external/www.atmartists.com/axingrosso-300.jpg|width=200]] || || '''{{{#ffffff 결성}}}''' || '''[[스웨덴]], [[스톡홀름]]''' || || '''{{{#ffffff 멤버}}}''' || '''[[Axwell|{{{#000000 악스웰 (Axwell)}}}]][br][[Sebastian Ingrosso|{{{#000000 세바스티안 잉그로소(Sebastian Ingrosso)}}}]]''' || || '''{{{#ffffff 데뷔}}}''' || '''[[2014년]] 싱글 ''Can't Hold Us Down''''' || || '''{{{#ffffff 장르}}}''' || '''[[일렉트로 하우스]],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등''' || || '''{{{#ffffff 소속}}}''' || '''[[유니버셜 뮤직 그룹|데프젬]], Axtone[* 악스웰의 레이블], Refune[* 세바스티안 잉그로소의 레이블]''' || || '''{{{#ffffff 관련 링크}}}''' || [[https://www.instagram.com/axwellingrosso|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twitter.com/axwellingrosso1|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4&theme=dark]]]][[https://www.facebook.com/axwellingrosso|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 '''{{{#ffffff 홈페이지}}}''' || [[http://axwellingrosso.com]] || [목차] == 개요 == [[파일:axinggg.jpg|width=60%]] [[파일:7EDDC062-CB2F-4D6B-8B4F-3E9886DCDA39.jpg|width=5%]] 일렉트로니카의 '''[[전설]]'''의 그룹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의 멤버였던 '''악스웰'''과 '''인그로소'''가 뭉친 DJ 듀오. 일명 '''잉스웰'''[* 악스웰 + 잉그로소를 합쳐 잉스웰이라고도 많이 부른다] 주 장르는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이며 일렉하우스도 가끔 발매하는 편이다. 현재는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페스티벌에 참가해 공연을 하고 있으며, 여전히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의 '''전설'''로 불리며 인기를 누리고 있다. == 역사 == '''악스웰'''과 '''잉그로소'''는 2007년경 처음 만나게 되었는데, 당시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를 통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같이 활동을 하였다.[*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 당시 활동은 해당 문서 참조.] 그러나 2013년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UMF]] 마이애미 공연을 '''마지막으로'''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는 해체를 선언했다. 해체 약 2달 후, '''안젤로'''를 제외한 '''악스웰'''과 '''잉그로소'''가 다시 뭉쳐 새로운 듀오로 활동 한다는 소문이 돌았고, 2014년 '''Can't Hold Us Down''' 으로 다시 '''데뷔'''를 하며 ''' 'Axwell Ingrosso' ''' 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 활동 == === 활동/2014년 === [[파일:00d90e656e4626031477ac3598e41f34.1000x1000x1.jpg|width=30%]] * 2014년 11월 5일, '''잉스웰'''의 첫 싱글 '''[[https://www.youtube.com/watch?v=vLU2T03iWPs|Can't Hold Us Down]]''' 이 발매되었다. === 활동/2015년 === === 활동/2016년 === === 활동/2017년 === 2017년 5월24일 More Than You Know 앨범 발매 2017년 12월8일 Dreamer 앨범 발매 == 여담 == == 안젤로 == * 안젤로 왕따설. [[http://digi10ve.com/wp-content/uploads/2013/04/departures.png]] 가장 많이 나돌아 다녔던 짤(...) 하필면 딱 이 시기에 안젤로가 새로 만든 레이블명이 '''X'''였다. 이쯤되면 안젤로 얘기가 안 나올 수가 없다. 이미 활동하고 있을 당시에도 뭔가 안젤로가 소외되는 것 같다 라는 글이 자주 올라왔었으며 거기에다 그룹 활동을 못한다면서 '''떡 하니 듀오로''' 나타나니 사이가 안 좋은가 하는 의견이 매우 많아졌다. 인터뷰라도 안 했었으면 실제로 사이가 안 좋다라는 소문이 사실로 굳혀질 지경으로까지 흘러서 안젤로 공연 때마다 '''You are not Alone'''이라는 깃발을 자주 볼 수 있었다. 처음에는 각자 레이블도 있고 여러 이유 때문에 해체를 했다고 생각했지만 이상하게 안젤로의 SIZE를 빼면 악스톤, 특히나 리퓬은 싱글을 내기는 커녕 소식도 없어서 더욱 의혹이 가중될 수 밖에 없었던 상황. 시간이 점점 지나고 후에 나온 다큐멘터리인 Leave The World Behind에서 안젤로는 혼자서 곡 작업을 하고 나머지 두 명은 자주 붙어다니면서 작업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음은 물론, 세 명의 의견 충돌 내용과 서로의 의견 때문에 갈등을 보이는 내용이 많이 비춰서 왕따로 치부할 수 없는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어떻게 얘기해보면 안젤로가 따로 나와서 활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팬들도 서로의 상황을 다 이해해주고 있기도 하고. 사실 이 들의 듀오 활동은 해체후에 정한 것이 아닌, 이미 계획을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것으로 '''We come, We rave, We love'''라는 곡이 있다. 이 곡은 두 명이 만든 것으로, 마지막 투어인 One Last Tour때 오프닝곡으로 쓰여진 곡인데 1년이 훨씬 넘도록 발매가 안되고 있었다. 결국 이 곡은 [[https://soundcloud.com/axwellingrosso/wecome-werave-welove|이 들의 사운드클라우드]]에 공짜로 올라왔다. 음악적인 색체도 많이 다른데 안젤로와 SIZE 관련 뮤지션들은 좀 더 강렬하고 공격적인 프로그레시브였다면 이 들은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집깡패]]와 마찬가지로 팝 적인 느낌이 많이 든다. 스티브의 음악색을 대표하는 트랙으로는 Payback을, 잉스웰의 음악색을 대표하는 트랙으로 Sun is shining이나 Something new를 들 수 있는데, 굉장히 많이 다르다. 2014년 일본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UMF]] 공연 때 1차 라인업으로 이 들이 있어 많은 일렉팬들이 단체로 [[피꺼솟]]과 절망을 했지만 몇 달 뒤 [[Global Gathering Korea]]에 내한하며 아시아 투어를 가졌다. 그리고 2년뒤인 2016년 UMF Korea 1차 라인업에 포함 되었으며 6월 11일 2일차 메인 헤드라이너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내며 성공적인 두번째 내한을 가졌다. [[분류:스웨덴의 D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