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아웃캐스트]][[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1998년 음반]][[분류:남부 힙합]][[분류:얼터너티브 힙합]][[분류:프로그레시브 랩]][[분류:소울 음악]][[분류:G-funk]][[분류:오거나이즈드 노이즈]] [include(틀:아웃캐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40%, #a09e90)" '''{{{#!html Aquemini의 주요 수상·기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피치포크/올해의 앨범)]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90년대의 100대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500,연도2=2020,순위2=49)]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367)]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앨범 차트,순위=81)]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12)] ---- [include(틀:Popkultur 선정 1990년대 100대 명반, 순위=15)] ---- [include(틀:Mast Media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30)]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199)]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156대 가장 영향력 있는 레코드)] ---- }}} || ||||<:> '''{{{+1 AQUEMINI }}}[br]어퀘미나이''' || ||<-2>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external/static.vibe.com/what-millennials-should-know-about-outkast-aquemini-1024x1024.png|width=100%]]}}} || || '''발매일''' ||[[1998년]] [[9월 29일]] || || '''녹음''' ||[[1997년]] ~ [[1998년]] || || '''장르''' ||[[서던 힙합]], [[얼터너티브 힙합]], 프로그레시브 랩, [[소울 음악|소울]], [[G-funk]], 랩 록 || || '''재생 시간''' ||74분 47초|| || '''레이블''' ||LaFace, Arista|| || '''프로듀서''' ||Organized Noize, [[OutKast]], Mr. DJ || || '''싱글 발매곡''' ||[[로자 파크스|Rosa Parks]][* 1998년 10월 6일][br]Skew It on the Bar-B[* 1998년 11월][br]Da Art of Storytellin (Pt. 1)[* 1999년 5월 25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8년 발매된 힙합 듀오 [[아웃캐스트]]의 3집 앨범. 제목은 각 멤버들의 [[별자리]]인 Aquarius(물병자리: 빅 보이의 생일인 2월 1일)와 Gemini(쌍둥이자리: 안드레 3000의 생일인 5월 27일)의 합성어이다. 라이브한 음악을 차용하였다. 인간의 본성, 중독과 대인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 음악적 특성 == 빅 보이는 이 앨범을 아주 실험적인 앨범으로 표현하였다. 앨범에는 혼, 기타[* 마지막 트랙인 Chonkyfire에서 두드러진다.]를 포함하는 라이브 악기가 사용되었다., 피아노, 하모니카[* Rosa Parks에서 하모니카 솔로가 나온다]를 포함하는 라이브 악기가 사용되었다. == 트랙 리스트 == ||||<-3><#000> '''{{{#D1A70C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Hold On, Be Strong || 1:11 || || 2 || Return of the 'G' || 4:49 || || 3 || [[로자 파크스|Rosa Parks]][* 애석하게도 해당 인물의 행적과는 별로 관계가 없는 노래다.. 연관된 가사라고는 'Everybody move to the back of the bus(모두 버스 뒷자리로 가)' 밖에 없고. 그래서 이와 관련된 법적 분쟁에 휘말린 적이 있다.][* 첫 번째 싱글로 발매된 곡. 앨범에서 가장 성공적인 싱글이다.] || 5:24 || || 4 || Skew It on the Bar-B[* 두 번째로 싱글컷된 곡. [[우-탱 클랜]]의 랙원이 참여하였다.] || 3:15 || || 5 || Aquemini || 5:19 || || 6 || Synthesizer[* 인위적인 것 - 가짜, 성형, 과학만능주의 등등 - 을 비판하는 내용의, 힙합 계에서는 보기 힘든 내용의 노래. Funk의 전설 조지 클린턴이 참여했으며 안드레 3000의 독특하고 미친 랩을 들을 수 있다] || 5:11 || || 7 || Slump || 5:09 || || 8 || West Savannah || 4:03 || || 9 || Da Art of Storytellin' (Pt. 1)[* 세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싱글컷된 곡. 싱글 버전에서만 [[슬릭 릭]]이 참여한다. 앨범 버전에서는 그의 버스가 삭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0tamp9XdqU|뮤직 비디오]]] || 3:43 || || 10 || Da Art of Storytellin' (Pt. 2) || 2:48 || || 11 || Mamacita || 5:52 || || 12 || SpottieOttieDopaliscious || 7:07 || || 13 || Y'All Scared || 4:50 || || 14 || Nathaniel || 1:10 || || 15 || Liberation[* 당시 안드레의 애인이던 에리카 바두, 같은 크루 멤버인 Forget You라는 대표곡으로 유명한 씨 로 그린과 빅 루브가 참여한 곡이다. 힙합이 아니라 네오 소울에 가까운 곡이다.] || 8:46 || || 16 || Chonkyfire || 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