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 '''Amakudari'''}}}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RosGOGu_400x400.jpg|width=100%]]}}}||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거주지''' ||[[오사카]]|| || '''채널 개설''' ||2018년 7월 5일|| || '''구독자 수''' ||25.2만명[*기준 2023년 7월 11일]|| || '''플랫폼''' ||[[https://www.youtube.com/channel/UCuQ5bzjS-9qV4eBbGJ19qm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witch.tv/amakudari_duelist|[[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www.nicovideo.jp/user/82678858|[[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G64RnOMWGviyVQtSGWcEB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서브채널1 유튜브 생방송의 클립을 올리는 채널] [[https://www.youtube.com/@amakudari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서브채널2 니코동 생방송의 클립을 올리는 채널. 코멘트와 같이 업로드 된다.] [[https://www.youtube.com/@twitch5217|[[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서브채널3 트위치 생방송 아카이브를 올리는 채널]|| || '''SNS''' ||[[https://twitter.com/Msyk_Amakudari|[[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목차] [clearfix] == 개요 == >'''俺はこれでターンエンドだ!''' >'''난 이것으로 차례를 마치겠다!''' >---- >영상을 끝마칠 때 하는 말. [[유희왕]]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영상을 올리는 일본인 유튜버. 설정상 풀네임은 아마쿠다리 마사유키(天下政行). 활동명의 유래는 [[아마쿠다리]] 항목 참조. 2023년 4월 부터는 일본 [[오사카]] [[니혼바시]]에 위치한 '카드샵 아마쿠다리'[* [[https://www.google.com/maps/place/%E3%82%AB%E3%83%BC%E3%83%89%E3%82%B7%E3%83%A7%E3%83%83%E3%83%97%E3%81%82%E3%81%BE%E3%81%8F%E3%81%A0%E3%82%8A/@34.6554996,135.4872311,14.16z/data=!4m6!3m5!1s0x6000e76e6951d9e3:0x7cd7b3083fc5286d!8m2!3d34.6601411!4d135.5060053!16s%2Fg%2F11t_h21xzd?entry=ttu|위치]]]의 오너를 겸하고 있다. == 특징 == ||[youtube(P1RrBkZOuxY)]|| || 버튜버 데뷔 및 자기소개 영상 ~~흑역사~~ || 2018년 11월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공무원 출신으로, [[버츄얼 유튜버]]가 대세가 되자 "안정된 수입, 종신고용, 사회적 지위를 버리고 스스로 되고 싶은 모습이 되고자 유튜버로 전향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초창기에는 [[GTA5]]나 [[다크소울]] 플레이 영상 등을 올렸으나 조회수와 주목도는 저조했다. 그러나 [[유희왕]] 광팬이었던 것을 살려서 [[어둠의 유우기]] 흉내를 내며 [[섀도우버스]]를 [[https://youtu.be/GgdcihEsM2c|플레이한 영상]]을 시점으로 버츄얼 아바타가 유우기와 비슷한 모습으로 바뀌었고, 이후 '''판자'''로 된 유우기 가발을 직접 쓴 모습으로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tAi1iDznynOSQa84KNgwKBiLcaTxhkDR|이집트 여행]]'''을 다니는 시리즈 영상으로 주목을 모으게 된 이후 본격적으로 현재와 같은 유희왕 분장을 한 듀얼리스트 유튜버로 전향하게 되었다. 단지 유희왕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시종일관 유희왕 캐릭터의 코스프레와 성대모사를 하면서 진행한다는 것'''이 매우 큰 특징. 묘하게 닮은 듯이 안닮은 것이 포인트다. 평소에는 [[어둠의 유우기]] 코스프레와 성대모사를 하며 [[카이바 세토]], [[사이오 타쿠마]], [[어둠의 마리크]] 등의 다양한 캐릭터의 성대모사를 하면서 컨텐츠를 진행한다. 코스프레는 단순히 집안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그 복장으로 집 주변 공원이나 영화관, 음식점 등에서 영상을 촬영하기도 한다. 코스프레 의상은 대부분 본인이 제작한다고 하며 비용 절감을 위해 좋은 소재보다는 저렴한 재활용 스펀지등을 활용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그렇게 아껴도 의상의 사이즈가 크고 도색할 면적이 넓어서 가장 화제가 된 오벨리스크 거신병 복장의 경우 제작에 5~6만엔 정도 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2020년 시청자와의 질문 답변 영상에서 발언한 내용에 의하면 92년생[* 본인이 트위터에 올린 사진중에 실제 연령이 드러난 부분이 있어 스스로 나이를 밝혔다.]으로 공무원 시절 근무지는 [[도쿄]]였지만 현재는 [[오사카]]에 있는 부모님 집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다고 한다. 코스프레 영상 촬영을 하다가 집안에서 부친과 마주치는 바람에(...) 부모님도 본인이 유튜버를 하는 것을 알게 됐다고 한다. 오사카 출신인 것 치고는 그렇게 사투리가 심하지 않다. 게임 생방송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직접 클립을 따서 [[https://www.youtube.com/@Amakudari_Kirinuki|클립 전용 서브채널]]에 올리기도 한다. 만화를 비롯한 온갖 네타를 패러디해 공들여 만든 섬네일이 특징. 초기에는 명일방주 영상이 주로 올라왔지만 마스터듀얼이 나온 이후로는 마스터듀얼 클립 영상이 대부분이 되었다. 명일방주 관련 영상은 [[https://www.youtube.com/@amakudariRa|니코동 클립 채널]] 쪽에 주로 업로드 되고 있다. == 주요 영상 및 컨텐츠 == === [[엘프 검사]] 관련 === * [[https://youtu.be/FK6IGRF84Zw|실사화한 엘프 검사]] * [[https://youtu.be/op47WCMYxLo|버블티가 마시고 싶은 엘프 검사]] * [[https://youtu.be/Twa7Y1q8Cg0|컴퓨터가 고장난 엘프 검사]] * [[https://youtu.be/SQdOZ5h52t4|인스타그램 빨 받는 엘프 검사]] * [[https://youtu.be/rdFS4vrUxIQ|캠핑에 가고싶은 엘프 검사]] * [[https://youtu.be/rQJ-uWTWdJ0|엘프 검사 할로윈이라면 눈에 띄지 않는 가설]] * [[https://youtu.be/opzCeNsMU58|조커를 보고 조커가 된 엘프 검사]] * [[https://youtu.be/89ScJWAN5iA|카이바 피규어를 노려라! UFO 캐쳐 듀얼!]] * [[https://youtu.be/uQVeNHcZ1P0?si=f7F-xgpslI1FxALF|몬헌 Now로 사냥꾼이 되는 엘프 검사]] 듀얼리스트 유튜버로서 활동 초중반기에 올렸던 컨텐츠. [[엘프 검사]] 코스프레를 하여 주로 '''야외에서''' 갖가지 기행을 벌이는게 주요 내용이다. 후술하는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탈이 완성된 이후부터는 빈도가 줄었지만, 가끔씩 감초처럼 등장하고 있다. 이후 도네이션 멘트 등지에서만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의상은 여전히 보관 중인 건지 2023년에 올린 [[몬헌 NOW]] 영상으로 굉장히 오랜만에 영상 컨텐츠에 복귀했다.[* 과거 영상을 기준으로 '''무려 3년만에 복귀'''하였다.] ===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관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NBcj45UEAAAOWJ.jpg|width=100%]]}}}|| || C97 [[코믹마켓]]에 참가했던 당시 사진. [[https://twitter.com/Msyk_Amakudari/status/1211570093403934720|#]] || '''이 채널의 핵심 마스코트.''' [[https://youtu.be/CxlwXM8huZ4|레전더리 골드 박스 개봉 영상]]을 기점으로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코스프레를 시작하게 되면서, 오벨리스크 관련 영상이 급증하였다. 주로 야외에서 촬영할 때는 위의 사진처럼 장비를 제대로 갖추나 실내에서 방송 또는 요리 영상 촬영을 할 때는 거동과 진행의 편의를 위해 하반신과 팔 부분은 탈착하여 진행한다. 오벨리스크 코스프레를 할 때는 주로 오벨리스크의 첫번째 사용자였던 [[카이바 세토]]의 성대모사를 하면서 진행한다. 후술할 유희왕 OCG 관련 영상들에서도 카드 통깡, 카드 해설 등은 대부분 거신병 코스프레를 하고 진행하는 편이다. ==== [[요리]] 영상 ==== ||[youtube(wB0sKSte83Q)]|| || [[오조니]]를 만드는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 2020년에 들어서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코스프레를 한 채로 [[오조니]]를 만드는 영상을 올리면서 인기가 급상승하게 되면서 요리 영상이 메인 컨텐츠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요리를 만드는 과정을 어둠의 유우기와 카이바가 마치 듀얼을 주고받는 식으로 해설하는 점이라던가, 중간중간에 요리재료로 유희왕 몬스터를 재현하는 것이 [[쓸데없이 고퀄리티]]인 것이 백미. 또한 영상마다 카이바는 항상 이기지 못하는 것으로 끝난다. 가끔 무승부로 끝나거나, 협동하여 듀얼에 난입한 [[어둠의 마리크|제3자]]를 물리치는 전개가 되기도 한다. --듀얼--조리 과정이 끝나면 코스프레를 한 상태에서 식사를 진행하고, 설거지하러 게걸음으로 향하는 것도 압권이다. 2020년 9월 26일 영상 기준으로 [[라의 익신룡]] 코스프레도 등장했다. 오벨리스크의 카이바 성대모사와 마찬가지로 라 역시 [[어둠의 마리크]] 성대모사를 한다. 언제부턴가 라는 요리가 끝나면 관련 토막 지식을 짧게 설명한 후 뜬금없이 '[[라의 익신룡|라는 내 부하가 된다!]]'라며 완성한 요리를 가로채는 기믹을 선보인다. 그러면서 시식 때는 사이좋게 얌전히 나눠먹는 슈르한 광경을 보인다. 애석하게도 [[오시리스의 천공룡]] 코스프레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지만 대신 오시리스 피규어를 내보내고 있으며, 이후 식사 페이즈에서도 깨알같이 오시리스의 몫도 챙겨주는 것을 볼 수 있다. 요리하는 과정에서 각종 도구, 행동, 식재료를 유희왕 용어로 해설하는 것이 백미. 여기에 틈틈이 진짜 카드를 --접시에 담아-- 꺼내서 듀얼다운 진행을 보이기도 한다. 자주 등장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 [[격류장]] : 식재료를 물에 씻거나 물을 부을 때 * [[사우전드 나이프]] : 식재료를 칼로 썰 때. 가끔 단단하거나 큰 식재료를 큰 힘을 주고 자를 때는 '도끼 단쇄(액스 크러셔)'를 사용하기도 한다. * [[융합(마법 카드)|융합]] : 식재료를 섞을 때. 기구를 사용할 때는 [[초융합]]이라 하기도 한다. * [[하늘의 선물]] : 식재료를 뿌릴 때 * [[해머 슛]] : 반죽을 누를 때 * [[불타오르는 대지]] : 가스불 * [[봉인의 황금궤|황금궤]] : 오븐 또는 전기밥솥[* 특정 편에선 [[지퍼백]].]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묘지|묘지]] : 냉장고 * [[단두대의 참극]] : 반죽칼 * [[미노타우로스(유희왕)|미노타우로스]] : 소고기 또는 우유 * [[멧돼지 병사]] : 돼지고기 *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s-30|패롯 드래곤]] : 닭고기 * [[바다(유희왕)|바다]] : 냄비에 받아둔 물 * [[함정 몬스터#s-3.3.10|크리스탈 아바타]][* 일어 표기로 'クリスタル・ア'''バター'''(버터)'가 된다.] : 버터 * [[드래곤 에그(유희왕)|드래곤 에그]]: [[계란]] * [[원심분리 필드]]: 거품기 * [[은막의 거울벽]]: 쿠킹호일 * [[스크랩(유희왕)|스크랩 오일존]] : 튀김용 식용유 * [[카오스 솔저]]: [[아사히 맥주|아사히 더 리치]]. 주로 피니셔 역할을 맡으며, 요리 완성 후 빨대로 --소울 에너지 MAX-- 빨아마신다. 다른 캔맥주가 나올 때도 있으며, 메뉴에 따라 다른 술이나 음료로 바뀐다. * [[매지션 걸#레몬 매지션 걸|레몬 매지션 걸]]: 레몬 * [[허니봇]]: [[벌꿀]] * [[모우얀의 카레]]: [[카레]] * [[모케모케]]: [[두부]] * [[라문]]: [[럼]] * [[고대의 망원경]]: [[우마이봉]] * [[라의 익신룡#라의 익신룡-구체형|라의 익신룡-구체형]]: 반죽이 둥글고 노르스름하게 익었을 때 * [[카오스 솔저(유희왕/카드군)#카오스 필드|카오스 필드]]: 밝은 색 재료와 어두운 색 재료를 섞을 때 * [[초전도파 썬더포스]]: 오븐[* 오시리스의 공격명인 만큼 오시리스 피규어를 들이대며 오븐을 킨다. 다 되면 DM 특유의 '카☆콩' 효과음이 출력된다.] 유희왕 드립이 넘치는 진행은 물론이고, 원래 요리를 좀 해봤던건지 손이 제법 많이 가는 메뉴를 능숙하게 소화해내는 등 요리 자체의 완성도도 높은 편이다. 현재는 다른 컨텐츠로 바쁜 탓인지 거의 올라오고 있지 않다. 그래도 [[누밸즈]] 발매 기념으로 [[헝그리 버거]]를 [[https://youtu.be/T7Ag13q7wI4|만드는 영상]]을 올리는 등 잊을만 하면 나오는 수준. 이후 [[https://www.youtube.com/watch?v=fmeOeAett1Q|명일방주 위기협약 방송]] 중에 그 이유를 밝혔는데, 들이는 품이 많고 영상 길이가 어중간한 것 때문에 유튜브 수익이 잘 안 나오는 문제 때문에 잘 올리지 않게 됐다고 밝혔다. * [[https://www.youtube.com/watch?v=tL8xKz38I-Y|군만두, 가라아게, 볶음밥]] : 이 영상에는 [[한국어]] [[자막]]이 있다. * [[https://youtu.be/iuV1yCsvRLE|야키소바와 오야키]][* 오야키란 반죽 안에 소를 넣고 구운 만두 비슷한 요리이나, 영상에서는 부침개의 모습에 가깝다.] * [[https://youtu.be/gSJ4LTxgG60|불고기와 김치볶음밥]] * [[https://youtu.be/kF2_ZrdPC2c|마늘볶음밥과 간장 샐러드]] * [[https://youtu.be/8JyLGcf1mqs|고기말이 에호마키와 콩카레]] * [[https://youtu.be/Iq1Tt6fGpD4|발렌타인 쿠키]] * [[https://youtu.be/Xbiz4ISCxks|고추잡채와 피망덮밥]] * [[https://youtu.be/_nrgURSt95M|어묵경단수프]] * [[https://www.youtube.com/watch?v=pBsNgERcHRg|당근 햄버그]][*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서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페셜 위크]]가 좋아하는 메뉴. 햄버그 위에 그냥 당근을 꽂아놓은 것으로, 이미 콜라보 카페에서도 실제로 등장한 바 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ab_v3d-xXko|거대 연어알 군함말이]] : 모티브는 당연히 [[군관(유희왕)|군관]]. 영상에서는 연어알이 제철이 아니라 알긴산과 색소로 직접 --[[슬라임 증식로|슬라임 토큰]]-- 연어알을 만들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iMfcHxnvVpI|오이소박이, 깍두기, 김치]] === [[명일방주]] 관련 === [youtube(P6bXuwIY1zA)] >'''속공마법 발동!! [[버서커 소울]]!!!'''[* [[현질|듀]][[가챠|얼]] 선언 시 외치는 대사.] >'''[[용암 마신 라바 골렘]]! [[어둠의 마리크|이녀석의 공격명은 골렘 볼케이노다! 자아, 드높이 선언해라!]]'''[* 가챠를 뽑다 [[라바(명일방주)|라바]]가 나오면 항상 외치는 대사.] >'''이것이 결속의 힘이다!!!'''[* 픽업 가챠에 성공 했을 때 외치는 대사.] [[명일방주]] [[명일방주/이벤트/2019년#s-6.1|기병과 사냥꾼]] 이벤트 플레이 영상을 시작으로 오퍼레이터 가챠 영상을 중심으로 명일방주 관련 영상도 올리고 있다. 유희왕 덕후라는 것을 살려 오퍼레이터 이름을 별의별 유희왕 몬스터 이름으로 부르는 것이 포인트.[* 함정카드나 마법카드 이름으로 대체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샤이닝(명일방주)|샤이닝]]의 경우 [[빛의 봉인검]]으로 불리는 식.][* 오퍼레이터가 추가됨에 따라 계속 그에 대응하는 카드를 말하고 있지만 유일하게 [[비글(명일방주)|비글]]만은 계속 그냥 몬스터 카드로만 불리고 있다.] 타로 점술가인 [[기타노(명일방주)|기타노]]가 등장할 때마다 [[사이오 타쿠마]][* 사이오 타쿠마가 사용하는 [[아르카나 포스]]가 타로 카드를 모티브로 하였기 때문.] 성대모사로 명대사 '''"당연히 정위치다아아아아!!!!!!"'''라고 항상 외치며, [[라바(명일방주)|라바]], [[소라(명일방주)|소라]]가 등장하면 [[어둠의 마리크]] 성대모사를 하며 각각 [[용암마신 라바골렘]], [[지옥시인 헬포에머]]라고 부르는 모습이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명일방주와는 전혀 상관 없고 불편하기만 한 [[듀얼 디스크]]를 항상 차고 있는 것이 포인트~~ ~~[[듀얼리스트]]에게는 목숨과도 같으니까~~ 마침 명일방주의 인기가 많아서 명일방주 유저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는데 성공하여 구독자 수가 상승하여, 메인컨텐츠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https://youtu.be/iUgg6aH8Ac8|'파란 불꽃의 마음' 이벤트 하드 모드 공략 방송]]에서는 실시간 시청자 수 '''5000명'''을 달성하였다. 이후로도 이벤트 EX 하드의 경우 '해당 이벤트에 등장하는 오퍼레이터 + 스테이지에 따라 추가 오퍼레이터'를 포함하여 클리어 하는 자체 제약 방송을 이벤트 마지막 날에 항상 진행[* 예외로 [[등림의]]의 경우 스케줄 탓인지 이틀 전에 방송을 켜서 EX 하드 스테이지를 클리어 하였다.]하고 있으며, 위기협약의 경우 드래프트를 돌려서 드래프트 멤버(+ 증표 교환 오퍼레이터가 있을 경우 포함.)를 가지고 보상 최대컷인 18점을 획득하는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나 #4의 경우 드래프트 때의 선발 참사로 인해 뱅가드를 단 1명도 채용하지 않고 플레이 하여 18점을 획득했다. 위기협약의 경우 18점 이후로는 제약 플레이는 달리 하지 않고 본인이 가진 전력을 가지고 최고점을 도전하는 방송을 하고 있다. 2021년 1월에는 신년을 기념하여[[https://youtu.be/QNL2ru2_xhk|1-7 스테이지에서 원암을 '''2021개 획득(...)''']]하는 컨텐츠를 무려 '''37시간 35분동안''' 진행했고, 종료할 시점에는 실시간 시청자 수 '''6000명'''을 달성했다. 화중인 이벤트에서도 사전에 트위터를 통해 리트윗 수에 비례한 중급 원암을 캐는 방송을 하여 약 17시간 46분동안 캤다. 초창기에는 가챠 도전 영상을 편집해서 올리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 들어선 유튜브로 방송을 켜고 실시간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때문에 카운트가 잘못 올라간다던가 다소 시간이 오래 걸려도 옷을 실시간으로 갈아입는 등의 진풍경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로는 크로마키를 따놓은 오벨리스크와 라를 적절하게 세워두는 것으로 처리하고 있다. ==== 명일방주 유희왕 관련 대입 목록 ==== {{{#!folding [ 1, 2성 ] * [[LANCET-2]] - [[라의 익신룡#s-4.2|라의 익신룡 스피어 모드]] * [[두린(명일방주)|두린]] - [[휴머노이드 웜 드레이크#s-2.1|]]}}} {{{#!folding [ 3성 ] * [[라바(명일방주)|라바]] - [[용암 마신 라바 골렘]][* 처음에는 없었지만 현재에는 가챠에서 등장시 라바가 춤추는 그림이 같이 나오고 있다. 배리에이션도 다양해서 일반적으로 춤을 추는 것에서부터 단순히 크기가 작게 나오거나 그렇게 작게 만든 라바를 아예 본인의 머리 위에서 춤추게 만드는 것(...)까지 별의 별 게 다 있다.] * [[멜란사]] - [[전설의 검객 마사키]] * [[미드나이트(명일방주)|미드나이트]] -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2#s-22|미드나이트 데블]] * [[바닐라(명일방주)|바닐라]] - [[바니라]] * [[비글(명일방주)|비글]] - 몬스터 카드 * [[스튜어드(명일방주)|스튜어드]] - [[아캐나이트 매지션]] * [[스팟(명일방주)|스팟]] - [[역병 늑대]] * [[안셀(명일방주)|안셀]] - [[유령토끼]] * [[오키드(명일방주)|오키드]] - [[프레데터 플랜츠#s-3.1.3.1|프레데터 플랜츠 스파이더 오키드]] * [[카디건(명일방주)|카디건]] - [[카드카·D]] * [[캐터펄트(명일방주)|캐터펄트]] - [[중강갑 거북]] * [[크루스(명일방주)|크루스]] - [[데스 토끼]] * [[팽(명일방주)|팽]] - [[루이즈#s-3.3|루이즈]] * [[포푸카]] - [[바바리안(유희왕)#s-2.1|바바리안 1호]] * [[플룸(명일방주)|플룸]] - [[BF-흑창의 블래스트]] * [[히비스커스(명일방주)|히비스커스]] -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folding [ 4성 ] * [[가비알(명일방주)|가비알]] - [[그라나도라]] * [[굼(명일방주)|굼]] - [[신비의 중화냄비]] * [[그라벨]] - [[쥐(유희왕)#s-2.1|뼈쥐]] * [[그레이(명일방주)|그레이]] - [[게이트 가디언#s-2.1.1|번개 마신-썬가]] * [[기타노(명일방주)|기타노]] - [[사이오 타쿠마|당연히 정위치다아아아아!!!!]] * [[도베르만(명일방주)|도베르만]] -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s-26|지옥의 마물사]] * [[딥컬러]] - [[슬라임 증식로]] * [[로프(명일방주)|로프]] - [[생명의 줄]] * [[마터호른(명일방주)|마터호른]] - [[미노타우로스(유희왕)|미노타우로스]]+[[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s-1.4|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함정]][* 외형을 제외하고 [[성우 장난]] 네타를 사용한 케이스로, [[하노이의 숭고한 힘]]을 사용한 [[코가미 료켄]]의 성우가 마터호른과 같은 [[타케우치 슌스케]]다. 따라서 마터호른이 나올 때마다 리볼버의 명대사인 "끝없는 절망의 구렁텅이로!!! 가라앉아라!!!"를 외친다.] * [[마토이마루]] - [[중무장무사-벤 케이]] * [[머틀]] - [[용기의 깃발]]+[[프릿그의 사과]] * [[메이(명일방주)|메이]] - [[진실의 눈#s-2.1|어설픈 스파이]] * [[메테오(명일방주)|메테오]] - [[메테오 드래곤]] * [[무스(명일방주)|무스]] - [[레스큐 캣]] * [[미르(명일방주)|미르]] - [[고블린(유희왕)#s-2.4.2|고블린의 비약]] * [[버메일]] - [[아마조네스의 명사수]] * [[버블(명일방주)|버블]] -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 [[비그나]] - [[음악의 제왕]] * [[비헌터]] - [[언데드 워리어#s-2.2|격투전사 얼티미트]] * [[빈스토크]] - [[No.52 다이아몬드 크랩 킹]] * [[쇼(명일방주)|쇼]] - [[게이트 가디언#s-2.1.3|수 마신-스가]] * [[수수로]] - [[재빠른#s-2.1|재빠른 날다람쥐]] * [[스캐빈저(명일방주)|스캐빈저]] - [[거대쥐(유희왕)|거대 쥐]] * [[시라유키(명일방주)|시라유키]] - [[첩자(유희왕)#s-4.1.4|하얀 닌자]] * [[에단(명일방주)|에단]] - [[가면레온]] * [[엠브리엘]] - --[[건담 듀나메스]]--[* [[엑시아(명일방주)|엑시아]]와 더불어 유이하게 유희왕 소재를 빗겨간 캐릭터.] * [[우타게]] - [[야만족의 광연 LV5]] * [[재키(명일방주)|재키]] - [[번견-워치도그]] * [[제시카(명일방주)|제시카]] - [[카피캣(유희왕)|카피캣]] * [[제이(명일방주)|제이]] - [[악마의 조리사]] * [[커터(명일방주)|커터]] - [[사우전드 나이프]] * [[쿠오라(명일방주)|쿠오라]] - [[바바리안(유희왕)#s-2.2|바바리안 2호]] * [[클릭(명일방주)|클릭]] - [[디포머#s-2.1.4.3|D·비디온]] * [[퍼퓨머]] - [[해피(유희왕)#s-5.2.12|해피 퍼퓨머]] * [[포덴코]] - [[위드#s-3]] * [[프로스트리프]] - [[빙제 뫼비우스]] * [[헤이즈(명일방주)|헤이즈]] - [[매직캣]] * [[아렌(명일방주)|아렌]] - [[죽음의 침묵천사 도마]]}}} {{{#!folding [ 5성 ] * [[그라니(명일방주)|그라니]] - [[암흑 기사 가이아]] * [[그레이스롯]] - [[블러드 스톰(유희왕)|블러드 스톰]] * [[글라우쿠스]] - [[우미노타우로스]] * [[나이트메어(명일방주)|나이트메어]] - [[악몽의 신기루]] * [[니어(명일방주)|니어]] - [[수호신관 마하드]] * [[라플란드(명일방주)|라플란드]] - [[사령기사 데스커리버 나이트]] * [[레드(명일방주)|레드]] - [[첩자(유희왕)#s-4.1.3|붉은 닌자]] * [[레온하르트(명일방주)|레온하르트]] - [[텐조 하루토|하루토ㅡㅡㅡ!]] * [[리드(명일방주)|리드]] - [[드래그니티#s-6.1.3|드래그니티 나이트-게이볼그]] * [[리스캄]] - [[요새를 지키는 익룡]] * [[맨티코어(명일방주)|맨티코어]] - [[암흑의 만티코어]] * [[메이어(명일방주)|메이어]] - [[사이버 드래곤]] * [[메테오라이트]] - [[메테오 블랙 드래곤]] * [[바이비크]] - [[바늘 검사]] * [[바이슨(명일방주)|바이슨]] - [[헝그리 버거(유희왕)#s-2.2.1|황소마인]] * [[벌컨(명일방주)|벌컨]] - [[쥬라게도]] * [[브로카]] - [[늑대번개]] * [[블루포이즌]] - [[개구리(유희왕)#s-3.1|데스 개구리]] * [[비즈왁스]] -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 [[사일런스(명일방주)|사일런스]] - [[사일런트 매지션#s-3.1|사일런트 매지션 LV4]] * [[샤마르]] - [[다크 네크로피어]] * [[세사]] -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 * [[소라(명일방주)|소라]] - [[지옥시인 헬포에머]] * [[스노우상트]] - [[일렉#s-2.2.9|일렉꿩]] * [[스와이어]] - [[타이거(유희왕)#s-2.1|타이거 엑스]] * [[스카이파이어]] - [[화염의 프린세스]] * [[스펙터(명일방주)|스펙터]] - [[고문 바퀴(유희왕)|고문 바퀴]] * [[실론(명일방주)|실론]] - [[궁극 시계신 세피론]] * [[아미야]] - [[블랙 매지션]] * [[아스베스토스(명일방주)|아스베스토스]] - [[메탈화 마법반사장갑]] * [[아스테시아]] -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 * [[안드레아나]] - [[크라켄(유희왕)#s-1.1|데블 크라켄]] * [[와이후]] - [[아마조네스(유희왕)#s-4.7|아마조네스의 애완호랑이]] * [[와파린(명일방주)|와파린]] - [[희생의 제물]] * [[에이어스카르페]] -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 * [[에이프릴(명일방주)|에이프릴]] - [[이나바의 백토(유희왕)|이나바의 백토]] * [[에프이터]] - [[팬더(유희왕)#s-3.1|분노 팬더]] * [[엘리시움(명일방주)|엘리시움]] - [[용기의 깃발]][* [[머틀]]과 중복.] * [[위스퍼레인]] - [[해파리(유희왕)|해파리 젤리피쉬]] * [[이그제큐터]] - [[처형인-마큐라]] * [[이스티나]] - [[왕립 마법도서관]] * [[츠키노기]] - [[일기예보(유희왕)|일기예보]] * [[클리프하트]] - [[쇠사슬 부메랑]] * [[크루아상(명일방주)|크루아상]] - [[인페르노 해머]] * [[키아베]] - [[여우불(유희왕)|여우불]] * [[텍사스(명일방주)|텍사스]] - [[칠흑의 전사 워울프]] * [[파이어워치(명일방주)|파이어워치]] - [[보우가니언]] * [[프란카]] - [[푸른 화염의 검사]] * [[프로방스(명일방주)|프로방스]] - [[플라워 울프]] * [[프틸롭시스]] - [[묘지기(유희왕)#s-4.5.2|행운을 알리는 올빼미]] * [[플래티넘(명일방주)|플래티넘]] - [[보옥수#s-3.1.2|보옥수 사파이어 페가서스]] * [[플린트(명일방주)|플린트]] - [[플린트 록#s-2.1|플린트]] * [[훔(명일방주)|훔]] - [[이츠 시리즈#s-2.1.2|코이츠]]}}} {{{#!folding [ 6성 ] * [[나이팅게일(명일방주)|나이팅게일]] - [[주사위(유희왕)#s-1|천사의 주사위]] * [[니엔]] - [[명공 호철]] * [[로사(명일방주)|로사]] - [[EM 킹베어]] * [[로즈몬티스]] - [[어둠의 봉인검]] * [[마운틴(명일방주)|마운틴]] - [[산(유희왕)|산]] * [[마젤란(명일방주)|마젤란]] - [[메카 헌터]] * [[머드락]] - [[바위 마신 오우거록]] * [[모스티마]] - [[마음의 변화]] * [[백파이프(명일방주)|백파이프]] - [[드래곤의 제왕#s-2.1|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 [[블레미샤인]] - [[샤인 나이트]] * [[블레이즈(명일방주)|블레이즈]] - [[볼캐닉#s-4.1|브레이즈 캐논]] * [[사리아(명일방주)|사리아]] - [[빅 실드 가드너]] * [[샤이닝(명일방주)|샤이닝]] - [[빛의 봉인검]] * [[쏜즈]] - [[니들 볼]] * [[수르트(명일방주)|수르트]] - [[크림즌 블레이더]] * [[슈바르츠(명일방주)|슈바르츠]] - [[스페이스 드래곤#s-2.3|한계룡 슈발츠실트]] * [[스즈란(명일방주)|스즈란]] - [[아홉 꼬리의 여우]] * [[아(명일방주)|아]] - [[이츠 시리즈#s-2.1.1|아이츠]] * [[아르케토]] - [[EM 오드아이즈 라이트피닉스]] * [[안젤리나(명일방주)|안젤리나]] - [[그라비티 컨트롤러]] * [[에이야퍄들라]] - [[블랙 매지션 걸]] * [[엑시아(명일방주)|엑시아]] - --[[건담 엑시아]]--[* [[엠브리엘]]과 더불어 유이하게 유희왕 소재를 빗겨간 캐릭터.] * [[유넥티스]] -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 * [[위디]] - [[해마(유희왕)|해마]] * [[이프리트(명일방주)|이프리트]] - [[커스 오브 드래곤]] * [[시즈(명일방주)|시즈]] - [[댄디라이언]] * [[스카디(명일방주)|스카디]] - [[암흑 대요새호]] * [[실버애쉬]] - [[실버 팽(유희왕)|실버 팽]] * [[첸(명일방주)|첸]] - [[붉은 눈의 흑룡]] * [[카넬리안]] - [[라의 익신룡#s-2.2|라의 익신룡 불사조]] * [[케오베]] - [[매직비스트 케로베로스]] * [[팬텀(명일방주)|팬텀]] - [[데스티니 히어로#s-3.2.1|데스티니 히어로 더블 가이]] * [[헬라그]] - [[무토우 스고로쿠|할아부지]][* 유희왕 관련이긴 하지만 카드 관련 소재가 아니다.] * [[호시구마]] - [[그렘린(유희왕)|그렘린]] * [[W(명일방주)|W]] - [[만능지뢰 회색안개]]}}} === [[유희왕]] 관련 === OCG 관련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통상적으로 3~4통의 통깡 영상, 신 팩 및 카드의 과거와 현재에 관한 카드 해설 및 금제 리스트 발표 후의 동향 등을 편집하여 올리고 있다. 마스터 듀얼 서비스 이전엔 실제 카드를 사용하여 영상을 진행했지만 마스터 듀얼 서비스 이후엔 주로 마듀 쪽의 카드를 사용하여 편집에 사용하고 있다. 마듀 미발매 카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실제 카드로 리뷰를 한다. 발매 전의 카드의 경우 기본적으로 무단전재 등 외부 이용이 금지되기에 편집자가 그린 그림을 대체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서비스 이후엔 OCG보다 마스터 듀얼 쪽으로 컨텐츠를 자주 진행하고 있다. 본래 명일방주 관련을 제외하고는 유튜브보다는 [[트위치]] 쪽을 더 자주 이용하였지만, 마스터 듀얼 서비스와 함께 유튜브 생방송 빈도가 상당히 늘어났다. 일반적으로 월말에 최고 등급 등반을 특정 덱으로 도전하는 생방송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편집한 편집본 또한 서브채널에 올리고 있다. 편집본에서는 극적이고 화려한 편집은 없고 상황 설명이나 카드 효과 등을 자막으로 추가해서 심플하게 보여주는 형식. 대신에 온갖 패러디를 넣어 공들여 만든 섬네일이 꽤나 화려하고 임팩트 있는 편이다. 다이아 등급이 추가된 5월달에는 무려 9일 동안 ~~라 없는~~ [[빙결계]] [[라의 익신룡|라]] 덱으로 다이아 1에 등반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후로도 계속해서 월말 등반 방송을 진행중으로, 특히 2023년 4월달에는 [[티아라멘츠]]가 랭크 매치에서 판을 치는 와중에 약소 테마로 유명한 [[워크라이(유희왕)|워크라이]]로 다이아 1 등반에 성공하는 기염을 내보였다. 등반 가능의 이유로 애초에 묘지를 쓰지 않기 때문에 티아라멘츠를 카운터치는 [[디멘션 어트랙터]]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오히려 채용할 수 있다는 점, 전개력이 떨어지는 탓에 [[증식의 G]]나 [[길항승부]] 등에 강하고 [[카이저 콜로세움]]으로 상대를 압박할 수 있다는 점, 메테오라곤이 강력한 돌파 카드라는 점, 너무나도 마이너해서(...) 수가 잘 읽히지 않는 점 등을 꼽았다. 2023년 6월부터 오사카에 직접 카드매장을 열게 되면서 통깡 등의 컨텐츠는 대부분 매장에서 촬영하게 되었다. 매장에서 촬영할 때에는 백야극광 등 다른 게임 공식 방송에 나올 때처럼 강아지탈 코스프레를 한다. 매장 간판 역시 강아지탈을 쓴 본인이기에 이를 노린 면도 있다. 2023년 8월 6일에는 가게에 [[잭 아틀라스]]의 성우인 [[호시노 타카노리]]가 방문하기도 했다.[[https://twitter.com/ROT_king_JACK/status/1688053352427659265?t=OpgJRxXoGjTffeqIcQaIOQ&s=19|#]] ==== 쓰레기 카드 진료소 ==== ||[youtube(/1Kh3AdLxa5M?list=PLtAi1iDznynNg7HPsHDkze0nJxB3bjfPl)]|| ||<-2> {{{#fff '''쓰레기 카드 진료소 재생목록'''}}} || 도저히 구제가 불가능 할 것 같은 쓰레기 카드를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코스프레를 하고서 진료를 보는 컨셉의 영상. 첫 타자는 패의 매수에 따라 타점이 떡락하는 [[초스피드 암살자]]. 처방약은 모든 스탯 다운 효과의 [[심술꾸러기의 저주]]로 스탯 반전을 이용한 콤보와, [[덱 파괴 바이러스]] 콤보 등을 소개했다. [[침묵의 마도검사-사일런트 파라딘]]. [[기생충 파라사이드]]. [[집게 카루]], [[사이버 베리어 드래곤]]. [[절망신 안티호프]]. [[지옥시인 헬포에머]] 등 도저히 써먹기 힘든 카드들을 어떻게든 콤보를 쥐어짜내서 치료를 하는 게 인상적.(...) 마스터 듀얼 서비스 이전엔 단순히 편집을 곁들인 영상이었다면 마스터 듀얼 서비스 이후엔 실증 영상으로서 지인과 상황을 만들어 마스터 듀얼 영상을 사용하여 직관성을 높였다. 또한 단순히 진료만을 보는 게 아닌 [[집게 카루]] 편에선 추가로 [[카오스 포드]] + [[집념의 검]] + [[신의 은총]] 무한 루프[* 다만 마스터 듀얼에서는 루프 방지를 위해서 일정 이상 루프가 반복될 경우 특수소환이 되지 않고 그대로 묘지로 보내지게 된다. 참고로 오래 전에 나왔던 게임인 [[유희왕 태그 포스]]에서도 동일 재정이기에 비디오 게임 전반에서 동일한 재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를 이용한 [[라의 익신룡]]의 공격력 불리기 강의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이후 시청자들과 함께 구제불능인 중증 카드를 가지고 실제로 듀얼을 해보면서 얼마나 중증인지 판단하는 방송을 진행하기도 한다. 방송명은 '쓰레기 카드 의학회'. 시청자들이 꾸며온 각종 ~~구제불능~~ 덱들과 함께 듀얼을 하는 게 주된 내용. 의학회에서는 직전에 소개했던 환자와 치료법을 들고 오기도 하지만, 그와 관련 없이 [[절망신 안티호프]]나 [[기생충 파라사이드]]를 넣은 덱도 상당히 자주 사용한다. 진료소 영상이 아니어도 신규 카드가 나오면 파라사이드나 안티호프 상향이라며 콤보를 소개하는 일도 많은 편. 반쯤 예능 수준인 안티호프와는 달리 파라사이드는 곤충 관련덱이나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에 억지로 쑤셔넣어 랭겜에서까지 꾸역꾸역 굴리는 것이 인상적이다. 어느 정도 자리가 잡히고 나서부턴 [[워크라이(유희왕)|워크라이]]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신 카드 소개나 기타 카드 설명에서도 굳이 워크라이와의 콤보를 상정하고 끼워넣는 게 특징. 물론 랭겜에서도 워크라이를 섞어서 플레이하고 있다. ==== 쓰레기 카드 대합실 ==== 상술한 진료실 시리즈로도 수습이 불가능한 쓰레기 카드들을 고찰해보는 코너. 대응하는 최상급 바람 속성 일반 몬스터 자체가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플레임(유희왕)#윈드 플레임|윈드 플레임]], [[기생충 파라사이드]]를 서포트하는 카드임에도 본인 자체의 성능부터 하자가 많은 [[천공충]]처럼 뭔 수를 써도 도저히 쓸 구석을 찾아보기 힘든 카드들을 다루고 있다. 이런 영향인지 진료소에 비해 분량도 대체로 짧다. ==== 금지 카드 감옥 ==== [[리미트 레귤레이션|금지 카드]]들을 소개해보는 코너. 티어도, 즉 성능의 흉악함과 유형에 따라 죄목이 결정된다. 첫 타자는 예나 지금이나 흉악한 성능을 자랑하는 [[욕망의 항아리]]가 뽑혔다. == 여담 == * 초창기의 채널 프로필 사진은 강아지 탈을 쓰고 있었지만 유희왕 유튜버로 전향하면서 유우기 머리로 바뀌었다. 목줄은 초창기 강아지 탈을 쓰던 시기의 잔재. 이 초창기 모습은 [[만우절]]마다 채널 아이콘이나 기념영상 등으로 종종 나오기도 하며, 다른 게임 공식 방송 등에 노출 될 때도 유희왕 코스프레를 대신해 나오기도 한다. 당시에는 "카스미가!"라는 정체불명의 인사[* 본인 주장으로는 [[카스미가세키]] 고유의 인삿말이라고... 카스미가세키는 온갖 주요 청사들이 모인 도쿄 제일의 관청지구다.]를 하는 경쾌한 목소리였지만, 유희왕 컨셉으로 방송하는 현재는 항상 목소리를 깔고 말해 많이 낮아진 편이다.[* [[https://youtu.be/u37toXhQLPo?t=5946|과거 영상을 같이 보는 잡담 방송]]을 보면 목소리 차이를 현저하게 느낄 수 있다.] * 초기에는 실제로 유희왕을 친구와 함께 플레이하는 영상, [[유희왕 듀얼링크스]], [[포켓몬 GO]], [[섀도우버스]], [[Getting Over It with Bennett Foddy]], [[포켓몬 레츠고]], [[슈퍼 마리오 메이커 2]], [[러브 플러스 EVERY]] 등의 다양한 게임 플레이 영상을 올렸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이 메인 컨텐츠가 된 현재도 간간히 타 게임의 실황 영상을 짤막하게 올리는 중. * [[러브 플러스 EVERY]]에 대한 애정이 상당히 있는지, '''엘프 검사 코스프레를 한 채로''' 현장이벤트에 참가하는 영상이나 가챠를 돌리는 영상을 올리기도 하였다. 러브 플러스 EVERY가 서비스 종료하게 되면서 큰 충격을 받았는지 [[https://youtu.be/tsHYCE0mDyU|러브 플러스 EVERY를 추억하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 유희왕 캐릭터 성대모사를 하고 있으나 목소리 톤이 높았던 초창기의 카이바 세토 성대모사는 특히 안 닮은 편이었다. 오히려 [[케이네스 엘멜로이 아치볼트]] 목소리가 더 닮았다는 평을 들었을 정도. 상술됐듯 현재는 목소리 톤이 많이 낮아져 카이바는 그럭저럭 비슷해졌지만 중후해진 탓에 유우기가 역으로 애매해졌다... 한편 사이오 타쿠마나 어둠의 마리크 성대모사는 잘 하는 편이며, 잡담 방송 중에 즉흥적으로 [[DIO]] 성대모사를 했는데 싱크로율이 좋았다. *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의상은 아마존의 코스프레 상품 페이지에서 2019년 당시 이벤트에 참여했을 때 찍었던 사진이 [[https://youtu.be/oRaHtFNutw4|도용당하기도]] 하였다. 현재 해당 상품은 내려간 상태. 여담으로 해당 영상에서 본인의 [[키(신체)|키]]가 162cm 혹은 163cm 정도라고 밝히기도 했다. * [[라르크 앙 시엘]]의 팬이다.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모습으로 2020년 1월 9일 공연에 다녀온 것을 업로드하였다. [[https://youtu.be/ofU5iTvYSDQ|영상]] * [[천년 아이템|천년 퍼즐]] ULTIMA GEAR 프라모델 조립에 도전하다가 [[https://www.youtube.com/watch?v=01yYfxOaDsU|7시간 45분만에]] 포기했다가 다음날 오후에 다시 방송을 켜서 조립해서 3시간 40분 정도 후에 완성했다. * 범용 엑시즈 몬스터 [[네가로기어 아제우스]]를 [[건담]]이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본인이나 상대가 네가로기어 아제우스를 소환하거나 효과를 발동할 때마다 재빨리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의 OST인 [[https://www.youtube.com/watch?v=xfG6L9I7N8I|섬광(閃光)]][* 다만 저작권 때문에 원곡이 아닌 미디 음원으로 재생한다.]을 재생하고 "건담이라고!?(ガンダムだと!?)"라고 외치는 [[https://www.youtube.com/watch?v=dMRpwiCunnU&t=728s|콩트]]를 보여준다. 그러는 이유는 당연히 [[하이재커(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s-3|이 유명한 밈]] 때문이며, 시청자들도 함께 "건담이라고!?(ガンダムだと!?)"라는 채팅으로 화답한다. 필드에 네가로기어 아제우스와 [[트로이메어#s-4.3.1|트로이메어 유니콘]]이 함께 있는 상황이라면 '[[유니콘 건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주된 컨텐츠인 유희왕이나 명일방주 이외의 게임으로는 주로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과 [[백야극광]] 관련으로도 컨텐츠를 진행하는 편. 전자는 보통 숙제 방송이지만 후자는 이벤트 등으로 개인적으로 방송을 하고 있고 그 덕택에 일본 서버 1주년 방송에 직접 출연하였다. 게스트 소개문에 채널 프로필 사진을 그대로 사용한지라 백야극광에 유우기가 등장(...)하는 진풍경을 보였다. 때문에 다른 곳에서 왔다는 드립이 흥했다. 본방송에서는 직접적으로 얼굴은 나오지 않았지만 개인적으로 중계방을 진행했을 때에는 저작권 문제 때문인지 초창기의 양복에 강아지 탈을 쓰고 목줄을 찬 모습으로 방송을 진행했다. 1.5주년 기념 생방송에서는 ~~킹작권 문제도 있고~~ 프로필 사진을 아예 새로 찍어 과거의 모습 그대로 생방송에 출연했다. 2023년 현재에는 숙제라는 특성상 퍼니싱 쪽은 사실상 컨텐츠가 끊겼고, 개인적으로 계속해서 플레이 해 온 백야극광을 위주로 가끔씩 이벤트 생방송 등을 진행하고 있다. >'''2015年京都で開催された遊戯王世界大会で''' >2015년 교토에서 개최된 유희왕 세계대회에서 >'''サプライズのゲストとして高橋先生が登場されたのを今でも鮮明に覚えています''' >깜짝 게스트로 타카하시 선생님께서 등장하신 것을 지금도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製作中の映画について熱く語られていて自分にとっては神様のような存在だったので夢のような感覚でした''' >제작중인 영화에 대해서 열성적으로 말씀하셔서 저에게 있어서 신이나 다름없는 존재였고 꿈만 같은 감각이었습니다. >'''先生の作品がもう見られないのが信じられないです。''' >선생님의 작품을 더이상 볼 수 없다는 것이 믿기지 않습니다. >'''ご冥福をお祈りします'''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타카하시 카즈키 작가의 사망 소식을 접한 직후의 트윗.[[https://twitter.com/Msyk_Amakudari/status/1544955708046659585|#]] * [[유희왕]]의 작가 [[타카하시 카즈키]] 작가의 사망 소식을 접하자 큰 충격과 비통함에 잠겨 애도를 표했다. 워낙에 충격이 컸는지 예정되었던 방송도 연기한다고 밝혔다.[[https://twitter.com/Msyk_Amakudari/status/1544961211497738240|#]] * 2023년 1월에 새해 포부로써 카드숍을 여는 게 바람이라고 언급했고, 이후 2월에 실제로 오사카 니혼바시에서 [[https://youtu.be/3bDeCdebHPU|골든위크 개점을 목표로 카드숍을 개점한다는 소식]]을 알렸다. 유튜버와 겸임하기 위해 점장은 따로 두는 방식으로 운영한다고 하며, 점장과 점원을 모집하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그리고 4월 [[https://youtu.be/lRyI78-UMaQ|만우절 영상]]에서는 초창기 강아지탈 버튜버 모습으로 분장하고 매장 예정지를 찾아가기도 했다. [[https://youtu.be/jX8Duh-ou-c|카드숍의 간판]] 또한 강아지탈 모습으로 내걸었다. 트위터에서 카드숍 곳곳에 내걸 캐치프레이즈를 모집했으며, 그 결과 창문에 '아마쿠다리의 카드소'라는 글자를 대문짝만하게 박았다. 일단 유희왕 OCG와 [[러시 듀얼]]만 취급할 예정이며, 다른 TCG 영업은 아직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한다. 다만 점장과 직원은 유희왕 OCG만 전문적으로 다루는 플레이어가 아니며, [[디지몬 TCG]]에서 DC-1 그랑프리 우승을 차지한 최상급자 수준의 팀의 멤버로 [[https://www.youtube.com/watch?v=eGuAlhh2fdc|공식 방송]]에도 출연한 바 있다. 이후 점장의 주력 분야가 분야라 그런지 8월 28일부터 [[디지몬 카드게임]]도 취급하기 시작했다. [[분류:일본의 유튜버]][[분류:게임 콘텐츠 유튜버]][[분류:게임 플레이 유튜버]][[분류:요리 유튜버]][[분류:2018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