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테일러 스위프트/노래]][[분류:2021년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이별을 소재로 한 노래]] [include(틀:테일러 스위프트)] [include(틀:테일러 스위프트/노래)] {{{#!wiki style="word-break:keep-all" ||<-2> {{{+2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원제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 (Taylor's Version) (From the Vaul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 (Taylor's Version) (From The Vault)_cover.png|width=100%]]}}}|| ||<-2> '''Promotional Single by Taylor Swift''' || || '''아티스트''' || [[테일러 스위프트|{{{#9d7d4a '''테일러 스위프트'''}}}]] || || '''레이블''' || [[리퍼블릭 레코드|[[파일:리퍼블릭 레코드 로고.svg|width=30px&bgcolor=#fff]]]] || || '''발매''' || 2021년 11월 12일 || || '''장르''' || 컨트리 락, 포크, 소프트 락 || || '''길이''' || 10:13 || || '''송라이터''' ||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Liz Rose || || '''프로듀서''' ||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Jack Antonoff || || '''수록 음반''' || [[Red (Taylor's Version)|{{{#!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d3c3b4; color:#931e19; font-size:0.8em; letter-spacing:-0.1px" '''Red (Taylor's Version)'''}}}]] || || '''차트 기록'''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80]]]] || {{{#red '''1위'''}}} ||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80]]]] || '''3위''' || ||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80]]]] || 550,722,058회[*A 2023년 6월 12일 기준.] || ||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80]]]] || 87,457,065회[*B 2023년 6월 15일 기준.] ||}}}}}}}}} || || '''관련 문서''' || [[All Too Well]]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Gif_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gif|width=100%]]}}}|| ||<#fff,#191919> {{{-2 {{{#9d7d4a '''I remember it all too well'''}}} 난 여전히 이 모든 게 기억나}}} || [[테일러 스위프트]]의 4집 재녹음 앨범 [[Red (Taylor's Version)]]의 프로모션 싱글. ==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7SqC7_f_-0M)]}}}|| ||<#9d7d4a> {{{#!wiki style="word-break:keep-all" {{{#e5f0d5 {{{+2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br]{{{#dcdcdc 10:13}}}}}}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br] I walked through the door with you 너와 함께 문을 열고 들어갔어 The air was cold 공기는 차가웠지만 But something about it felt like home somehow 왠지 내 집처럼 느껴지는 따뜻함이 있었지 And I left my scarf there at your sister's house 난 네 누나 집에 스카프를 두고 왔고 And you've still got it in your drawer, even now 넌 그걸 네 서랍 속에 간직하고 있지, 지금까지도 Oh, your sweet disposition 너의 다정함에 And my wide-eyed gaze 내 눈은 동그랗게 떠졌고 We're singing in the car getting lost upstate 우린 차에서 같이 노래를 부르다 길을 잃어버리기도 했지 Autumn leaves falling down like pieces into place 가을 낙엽이 제자리를 찾아 떨어지는 지금 And I can picture it after all these days 난 아직도 그 많은 시간이 생생히 기억나 And I know it's long gone and 알아, 이제는 끝난지 오래란 걸 That magic's not here no more 그 마법같은 나날도 더 이상 없어 And I might be okay 이젠 괜찮을 만도 한데 But I'm not fine at all 난 전혀 잘 지내지 못해 'Cause there we are again 다시 기억 속에 우리는 On that little town street 그 조그만 마을의 길거리 위로 돌아가 You almost ran the red 넌 나를 바라보느라 'Cause you were looking over at me 빨간불에 달릴 뻔했어 Wind in my hair, I was there 바람에 머릿결이 흩날리고, 그 곳에 있던 나 I remember it all too well 난 여전히 이 모든 게 기억나 Photo album on the counter 탁자 위에 꺼내진 사진 앨범 Your cheeks were turning red 네 두 볼은 수줍음에 빨갛게 물들어 You used to be a little kid with glasses in a twin-sized bed 넌 안경을 쓴 채 트윈사이즈 침대를 쓰던 작은 꼬마였어 And your mother's telling stories 네 어머니는 네가 어릴 때 있던 About you on a tee ball team 티볼 팀에서의 추억을 이야기하고 You taught me about your past 너는 내게 네 과거를 말해줬어 Thinking your future was me 마치 너의 미래가 나인듯이 And you were tossing me the car keys 그리고 넌 차 열쇠를 나에게 던졌어 "Fuck the patriarchy"[* 해당 문구가 인쇄된 열쇠고리를 머천으로 판매하기도 했다.] "가부장제 좆까라 해" Key chain on the ground 그 말이 적힌 열쇠는 땅에 뒹굴고 We were always skipping town 우리는 언제나 마을 밖으로 달아났어 And I was thinking on the drive down 그리고 난 그 길을 달리며 생각했어 Any time now, he's gonna say it's love 이제 곧, 그가 이걸 사랑이라 말해주기를 You never called it what it was 하지만 넌 한번도 말하지 않았어 Till we were dead and gone and buried 우리가 죽고, 사라지고, 땅에 묻힐 때까지 말이야 Check the pulse and come back swearing it's the same 다시 뛰는 심장을 갖고 돌아와, 이전과 같을 거라 맹세했지 After three months in the grave 묻었던 관계에서 세 달이 지나서야 And then you wondered where it went to 넌 내 마음이 어디로 갔는지 애타게 찾았어 As I reached for you 내가 네게 손을 뻗었을 땐 But all I felt was shame 수치심밖에 느껴지지 않았어 And you held my lifeless frame 그렇게 넌 껍데기만 남은 날 안고 있었지 And I know it's long gone and 알아, 이제는 끝난지 오래란 걸 There was nothing else I could do 내가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어 And I forget about you long enough 널 왜 잊어야 하는지도 잊을 만큼 To forget why I needed to 나는 너를 잊어버렸어 'Cause there we are again 다시 기억 속에 우리는 In the middle of the night 한밤중의 그곳으로 돌아가 We're dancing around the kitchen in the refrigerator light 우리는 냉장고 불빛을 조명 삼아 주방을 거닐며 춤췄지 Down the stairs, I was there 계단을 내려가, 그 곳에 있던 나 I remember it all too well 난 여전히 이 모든 게 기억나 And there we are again 다시 기억 속에 우리는 When nobody had to know 아무도 알면 안되던 시절로 돌아가 You kept me like a secret 넌 날 숨겨야 할 비밀로 취급했지만 But I kept you like an oath 난 널 진실한 맹세처럼 믿었어 Sacred prayer, and we'd swear 성스러운 기도, 우리는 맹세했어 To remember it all too well, yeah 이 모든 걸 전부 기억하자고 Well, maybe we got lost in translation 그래, 어쩌면 오해가 있었을지도 몰라 Maybe I asked for too much 어쩌면 내가 너무 많은 걸 바랐나봐 But maybe this thing was a masterpiece 그렇지만 우리의 사랑은 훌륭한 작품이 될 수 있었어 'Til you tore it all up 네가 모든 걸 찢어버리기 전까진 Running scared, I was there 겁에 질려 도망가던 너, 그 곳에 있던 나 I remember it all too well 난 여전히 이 모든 게 기억나 And you call me up again 넌 내게 또 전화를 걸어 Just to break me like a promise 약속이나 한 듯 나의 마음을 산산히 조각내 So casually cruel in the name of being hones 솔직함이란 이름으로 무심하게 고통을 줬어 I'm a crumpled up piece of paper lying here 난 구겨진 종이마냥 여기 널브러져 있고 'Cause I remember it all, all, all 난 이 모든 게 기억나, 너무, 너무, 너무 They say all's well that ends well 끝이 좋은 거면 다 좋은 거라고들 하지만 But I'm in a new hell every time 네가 나를 배신했던 걸 생각할 때마다 You double cross my mind 난 매번 새로운 지옥으로 굴러떨어져 You said if we had been closer in age[* 테일러와 [[제이크 질렌할]]이 사귈 당시 둘의 나이차는 9살이었다.] 넌 우리의 나이 차이가 덜 났으면 Maybe it would have been fine 괜찮았을 수도 있을 거라고 말했고 And that made me want to die 그 말에 난 죽고 싶었어 The idea you had of me, who was she? 네가 생각하던 난 어떤 여자였어? A never-needy, ever lovely jewel 바라는 것 없고 사랑스러운 Whose shine reflects on you 너를 반짝이게 만드는 여자였을까 Not weeping in a party bathroom[* [[Red(테일러 스위프트)#s-7.17|The Moment I Knew]] 가사에도 언급되듯 [[제이크 질렌할]]은 테일러의 21살 생일파티에 참석하지 않았다. [[https://www.yahoo.com/entertainment/blogs/our-country/exclusive-taylor-swift-sheds-light-red-bonus-tracks-180547365.html|#]]] 파티 화장실에서 우는 여자는 아니었을꺼야 Some actress asking me what happened[* 네티즌들은 이 배우는 [[제니퍼 애니스턴]]으로 추정했다. [[https://www.nydailynews.com/entertainment/gossip/jennifer-aniston-taylor-swift-love-advice-hang-article-1.162720|#]] 다만, 애니스턴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돌려서 부정했다.] 어떤 배우가 와서 무슨 일이냐고 물어봐 You, that's what happened, you 너, 네가 내 모든 일이었는데 You who charmed my dad with self-effacing jokes 넌 겸손한 농담으로 우리 아빠를 매료시켰고 Sipping coffee like you're on a late night show 토크쇼에 나온 사람처럼 커피를 마셨지 But then he watched me watch the front door 하지만 아빠는 밤새 현관문만 바라보면서 All night, willing you to come 네가 오기만을 기다리는 날 보며 And he said, "It's supposed to be fun"[* Red 앨범의 22가 정신없고 신나는 파티처럼 묘사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말씀하셨지, "행복하기만 해야 하는데" "Turning twenty-one"[* 영미권에서 21살의 생일은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The Age Of Majority''라 칭할 만큼 성대한 기념일이며, 이를 맞는다는 것은 단순히 나이가 성인이라는 것을 넘어 진정한 어른으로서 인정받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법적 성인 기준은 18살부터지만 21살이 되어야 음주가 가능하다.] "21살의 생일은" Time won't fly, it's like I'm paralyzed by it 시간은 흐르지 않고 난 그 때에 갇혀 있는 것만 같아 I'd like to be my old self again 예전 내 모습으로 되돌아가고 싶지만 But I'm still trying to find it 아직도 나는 헤매고 있어 After plaid shirt days 체크무늬 셔츠와 And nights when you made me your own 네가 날 네 것으로 만들었던 그 밤들 Now you mail back my things 이제 넌 내 물건들을 부쳐 돌려주고 And I walk home alone 난 집에 혼자 걸어가 But you keep my old scarf 하지만 넌 처음 만났던 때의 From that very first week 내 오래된 목도리만은 간직해 'Cause it reminds you of innocence 네게 순수했던 추억을 떠오르게 하고 And it smells like me 아직 내 향기가 배어있으니까 You can't get rid of it 넌 그걸 절대 버리지 못해 'Cause you remember it all too well 너도 이 모든 게 여전히 기억하고 있으니까 'Cause there we are again 다시 기억 속에 우리는 When I loved you so 내가 널 너무 사랑했던 때로 돌아가 Back before you lost 너의 생에 유일했던 The one real thing you've ever known 진실한 사랑을 잃어버리기 전이던 시절 It was rare, I was there 소중한 순간, 그 곳에 있던 나 I remember it all too well 난 여전히 이 모든 게 기억나 Wind in my hair, you were there 바람에 머릿결이 흩날리고, 그 곳에 있던 너 You remember it all 너도 여전히 기억하잖아 Down the stairs, you were there 계단을 내려가, 그 곳에 있던 너 You remember it all 너도 여전히 기억하잖아 It was rare, I was there 소중했던 순간, 그 곳에 있던 나 I remember it all too well 난 여전히 이 모든 게 기억나 And I was never good at telling jokes[* 테일러의 노래 [[Red(테일러 스위프트)#s-7.16|Begin Again]]의 가사 중 하나인 ^^I think it's strange that you think I'm funny, 'cause [[제이크 질렌할|he]] never did^^와 연결되는 가사로, 현재 네티즌들 사이에서 극찬을 받는 구절이다.] 그리고 나는 농담을 잘하지 못하지만 But the punch line goes 정곡을 찌르는 말은 잘해 "I'll get older but your lovers stay my age"[* 현재 [[제이크 질렌할]]은 [age(1980-12-19)]세이며, 그는 15세 연하인 [age(1996-02-08)]살의 여자친구와 교제하고 있다.[[https://www.msn.com/en-us/entertainment/entertainment-celebrity/all-about-jake-gyllenhaals-25-year-old-girlfriend-jeanne-cadieu/ar-AAKiSDD|#]]][* Verse 4의 가사 ^^You said if we had been closer in age maybe it would have been fine^^이라는 [[제이크 질렌할]]의 [[언행불일치|말과 그가 보여주는 행동(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여성과의 만남)이 대조]]되는 것을 보여주는 구절이다.] 난 나이를 먹어도, 네 연인들은 그때 내 나이네 From when your Brooklyn broke[* [[제이크 질렌할]]과 교제 당시, 질렌할이 살던 곳이 브루클린. 본인에게 깊은 상처를 남긴 질렌할과의 관계 그 자체, 또는 [[Red(테일러 스위프트)|Red]] 앨범 전반에 드러나는 그의 차갑고 날카로운 언행 등 사실상 여기서 브루클린은 [[제이크 질렌할]] 그 자체를 의미한다. Brooklyn Broke는 '실제로 부유하지만 가난한 [[힙스터]]인 척 하는 사람'이라는 뜻도 있어 테일러의 음악적 취향이 힙하지 않다고 빈정대던 그를 향한 [[언어유희]]라고도 볼 수 있다.][* 실제로 [[제이크 질렌할]]은 유행에 맞는 옷을 입을 만큼 돈이 있음에도 힙스터처럼 입고 다니기로 유명했다. 이는 [[Red(테일러 스위프트)|Red]] 앨범의 [[22(테일러 스위프트)|22]]에서 ^^It feels like a perfect night to dress up like hipsters and make fun of our exes (힙스터처럼 입고 전애인 놀리기 딱 좋은 밤 같아)^^와 일맥상통한다.] 너와 함께한 브루클린이 My skin and bones 내 몸과 마음을 부셨고 I'm a solider who's returning half her weight 난 반쪽이 된 몸으로 싸우는 병사와 같았어 And did the twin flame bruise paint you blue?[* twin flame은 태어날 때 영혼이 두 개로 나뉘어 영혼의 절반은 소울메이트에게 스며들어있다는 낭만적인 신화에서 나온 말이다. [[Red(테일러 스위프트)|Red]] 앨범 [[Red(테일러 스위프트)#s-7.1|State of Grace]] 가사 중 ^^Just twin fire signs, four blue eyes^^에서 알 수 있듯 테일러와 제이크 질렌할의 별자리는 사수자리로 같다. 'twin fire signs'과 'twin flame'은 비슷한 맥락이다.] 너 또한 이 사랑의 끝으로 멍들게 되었을까? Just between us, did the love affair maim you too? 우리끼리 얘긴데, 너도 낫지 않는 상처가 생겼어? Cause in this city's barren cold 이 도시의 메마른 추위 속에서도 I still remember the first fall of snow 아직도 그 때의 그 첫눈을 기억해 And how it glistened as it fell 떨어지던 눈이 얼마나 반짝였는지 I remember it all too well 난 여전히 이 모든 게 기억나 Just between us, did the love affair maim you all too well 우리끼리니 하는 말인데, 너도 이 사랑으로 상처를 받았을까? Just between us, do you remember it all too well 우리끼리니 하는 말인데, 너도 아직도 모든 걸 기억할까? Just between us, I remember it all too well 우리끼리니까 말하는 건데, 난 여전히 이 모든 게 기억나 (Wind in my hair, I was there, I was there) (바람에 흩날리는 머릿결, 그 곳에 있던 나) (Down the stairs, I was there, I was there) (계단을 따라 내려가, 그 곳에 있던 나) (Sacred prayer, I was there, I was there) (성스럽게 하던 맹세, 그 곳에 있던 나) (It was rare, you remember it all too well) (소중했던 순간, 너도 여전히 이 모든 걸 기억하잖아) (Wind in my hair, I was there, I was there) (바람에 흩날리는 머릿결, 그 곳에 있던 나) (Down the stairs, I was there, I was there) (계단을 따라 내려가, 그 곳에 있던 나) (Sacred prayer, I was there, I was there) (성스럽게 하던 맹세, 그 곳에 있던 나) (It was rare, you remember it all too well) (소중했던 순간, 너도 여전히 이 모든 걸 기억하잖아) (Wind in my hair, I was there, I was there) (바람에 흩날리는 머릿결, 그 곳에 있던 나) (Down the stairs, I was there, I was there) (계단을 따라 내려가, 그 곳에 있던 나) (Sacred prayer, I was there, I was there) (성스럽게 하던 맹세, 그 곳에 있던 나) (It was rare, you remember it all too well) (소중했던 순간, 너도 여전히 이 모든 걸 기억하잖아) (Wind in my hair, I was there, I was there) (바람에 흩날리는 머릿결, 그 곳에 있던 나) (Down the stairs, I was there, I was there) (계단을 따라 내려가, 그 곳에 있던 나) (Sacred prayer, I was there, I was there) (성스럽게 하던 맹세, 그 곳에 있던 나) (It was rare, you remember it all too well) (소중했던 순간, 너도 여전히 이 모든 걸 기억하잖아)}}}}}} || * 기존 5분짜리 수록곡인 [[All Too Well]]의 10분 버전으로, 재녹음 음반을 통해 '''최초'''로 공개되었다. === 리릭비디오 === ||<#9d7d4a> {{{#e5f0d5 {{{-1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br]{{{+1 '''Lyr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RxrwjOtIag)]}}}|| == 리믹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l Too Well (Sad Girl Autumn Version)_cover.png|width=100%]]}}}||{{{#9d7d4a {{{-1 '''All Too Well (Sad Girl Autumn Version) - Recorded at Long Pond Studios'''}}}}}}[br]{{{#8c8c8c ^^9:58 / 2021.11.17.^^}}} || {{{-3 [[https://youtu.be/KC0AG8HfAi4| ♫]]}}} || {{{-3 [[https://youtu.be/r0yq_yXFQh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3]]]]}}} || {{{-3 [[https://youtu.be/gRo0ZtgB2io|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 (The Short Film)_cover.png|width=100%]]}}}||{{{#9d7d4a {{{-1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 (The Short Film)'''}}}}}}[br]{{{#8c8c8c ^^11:26 / 2022.06.11.^^}}} || {{{-3 [[https://youtu.be/WvMr0cVGDvw| ♫]]}}} || {{{-3 [[https://youtu.be/tollGa3S0o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3]]]]}}} || ---- * 해당 날짜 표기는 온라인 스트리밍 공개 일정 기준이다. * ''All Too Well (Sad Girl Autumn Version) - Recorded at Long Pond Studios''은 [[디즈니+]] 다큐멘터리에 나온 The Long Pond Studio Sessions 에서 녹음한 곡이다. 프리미어 장소에서 팬들에게 첫 라이브로 보여준 곡이다. 이후, [[https://twitter.com/taylorswift13/status/1461138558962610178|SNS]]를 통해 싱글 발매를 알렸다. == 평가 및 성적 == || {{{#!wiki style="margin:-4px -10px" [[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 || '''[[https://www.billboard.com/lists/best-songs-2021/|{{{#000000 빌보드 선정 2021년 최고의 곡}}}]][br]{{{#000000,#ffffff {{{+5 5위}}}}}}''' || ||||<#fff,#444><-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 || ''[[Easy On Me]]'' [br] ''[[아델(가수)|{{{-2 {{{#8086a0 Adele}}}}}}]]'' || {{{+1 →}}} || '''All Too Well (Taylor's Version) ''' [br] '''[[테일러 스위프트|{{{-2 {{{#8086a0 Taylor Swift}}}}}}]]'''[br]{{{-2 (1주)}}} || {{{+1 →}}} || ''[[Easy On Me]] [br] [[Adele|{{{-2 {{{#8086a0 Adele}}}}}}]]'' || ||<-5> {{{#ededed ''' 역대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ededed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 ||<-5> [[파일:external/static1.squarespace.com/mtv+moon+man+vid-atlantic.jpg|width=100]] || ||<-5> {{{#ededed '''올해의 비디오상'''}}} || || '''38회[br]([[2021년]])''' || {{{+1 → }}} || '''39회[br]([[2022년]])''' || {{{+1 → }}} || '''40회[br]([[2023년]])''' || || [[MONTERO]][br]{{{-2 [[릴 나스 엑스]]}}} || {{{+1 → }}} ||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br]{{{-2 '''[[테일러 스위프트]]'''}}} || {{{+1 → }}} || [[Anti-Hero(테일러 스위프트)|Anti-Hero]][br]{{{-2 [[테일러 스위프트]]}}} || ||<-5> || 뛰어난 퀄리티에도 불구하고 10분이 넘는 노래 길이[* 현 스밍 시대에서는 노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차트에서 불리하다.] 때문에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어려울것으로 보였으나... [[스포티파이]], [[애플 뮤직]] 등 여러 미국 음악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원래 버전이 [[빌보드 핫 100]]에서 차지한 80위보다 높은 성적으로 입성할 것이 확실시되며, 결국 [[Adele]]의 [[Easy On Me]]와 1위 경쟁에서 '''빌보드 핫샷 1위를 차지하였다!''' 약 50년 전인 [[1972년]] [[1월]]에 발매됐던 돈 맥린의 "[[American Pie(노래)|아메리칸 파이]]"의 8분 37초를 뛰어넘어 '''역대 빌보드 1위를 차지한 노래 중 가장 재생 시간이 긴 노래'''가 됐다. 테일러의 8번째 빌보드 1위 곡이다. [* [[Bohemian Rhapsody]]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20세기에도 긴 길이였고, 심지어 2020년대는 스트리밍의 강세로 2분 내외의 곡들이 인기를 얻는 상황인데, 무려 10분이 넘는 길이를 지녔다.] 또한 '''빌보드 역사상 가장 적은 라디오 포인트로 1위한 노래'''[* 10분인 노래 길이의 한계 때문에 라디오 포인트가 0점이다.], '''빌보드 역사상 최초로 싱글컷이 되지 않은 앨범 수록곡'''이 1위를 한 노래라는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Adele]]의 [[30(음반)|30]]이 발매되면서 스트리밍 상위권을 휩쓸고 있고, [[크리스마스 캐롤]] 노래들[* 대표적으로 [[머라이어 캐리]]의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이 다시 역주행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오래 상위권을 유지하지는 못할 전망이다. 애초에 압도적인 노래 길이와 적은 라디오 방송 횟수를 생각하면 이만해도 선방했다는 평가. 과거 테일러의 앨범 중 [[folklore]]와 [[evermore(테일러 스위프트)|evermore]]가 [[빌보드 200]] 1위로 진입하고, 각각의 리드 싱글인 [[cardigan]]과 [[willow]]가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로 핫샷 데뷔하며 한 가수의 앨범과 싱글이 빌보드 메인 차트 두 개에 동시에 1위 진입한 바 있었다. 그리고 현재 이 노래와 Red 앨범 역시 빌보드 메인 차트 정상을 동시에 석권하며 테일러는 이 분야의 3번째 기록을 달성했다. '''현재까지 이 기록을 3번 세운 가수는 테일러뿐이다.'''[* 빌보드 역사상 [[빌보드 200]]과 핫 100 차트 모두를 첫 주에 1위 데뷔하는 기록은 총 5번 갱신되었는데, 그 중 '''1번째, 3번째, 5번째가 테일러의 기록이다'''.] [[영국]] [[Official Charts]]에서는 3위로 데뷔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싱글 차트에서도 1위를 기록했다. 2022년 10월 21일, [[스포티파이]] 누적 스트리밍이 4억회를 돌파했다. 테일러가 2023년 [[그래미 시상식]]에 수상 후보로 제출했다.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은 본상 중 하나인 올해의 레코드상과 올해의 노래상에, 이 노래가 수록된 RED 앨범 자체는 본상 중 하나인 올해의 앨범상과 베스트 컨트리 앨범 분야에 제출했다. 다른 수록곡인 I Bet You Think About Me (Taylor's Version) (From the Vault)는 베스트 컨트리 송과 베스트 컨트리 솔로 퍼포먼스 부문에 제출했다. == 라이브 == ||<#9d7d4a> {{{#e5f0d5 {{{-1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br]{{{+1 '''Saturday Night Liv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Jr_8l0AEWE)]}}}|| == All Too Well: The Short Film == ||<-2> {{{+2 '''All Too Well: The Short Fil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l Too Well: The Short Film_poster.png|width=100%]]}}} || || '''감독''' ||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 || '''각본''' ||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 || '''출연''' || [[세이디 싱크|Sadie Sink]][br][[딜런 오브라이언|Dylan O'Brien]][br][[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 || '''개봉일''' || 2021년 11월 12일 || || '''상영 시간''' || 15분 || [clearfix] === 상세 === * 단편 영화인 은 테일러가 '''직접 각본과 감독'''을 맡았다. 출연자는 [[세이디 싱크]](그녀 役)와 [[딜런 오브라이언]](그 役)이다. 또한, 테일러 스위프트가 13년 후 그녀 역으로 출연했다. 이외로 영화감독 [[숀 레비]]가 그녀의 아버지로 짤막하게 나온다. * 테일러는 영화 구성 당시부터 두 사람 외에 다른 주인공을 생각해본 적 없다고 한다. 캐스팅을 보면 단연 의도적인데, 딜런 오브라이언(1991년생)과 세이디 싱크(2002년생)의 나이 차이는 무려 11살이다. 영화 내용도 나이 어린 그녀가 자신보다 성숙한 남자친구와 그의 주변 세계에 잘 어울리지 못해 갈등하는 줄거리이다. 다분히 [[제이크 질렌할]]과 연애하던 시절의 테일러의 심경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당시 제이크 질렌할은 30세였고 테일러는 21세였다. * 세이디 싱크를 [[기묘한 이야기(미국 드라마)]]에 나온 아역 배우로만 기억하던 사람들에겐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 어렸던 배우가 이제 이런 역할로 출연할만큼 성인이 됐다는 반증이기 때문. 그만큼 Red 활동 당시 테일러가 어렸다는 사실을 생각나게 해 일부 스위프티들은 어린 시절부터 여러 스캔들로 테일러가 참 맘고생을 많이 했다며 딱하게 여겼다. *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 출품해 단편영화상을 수상하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그 시작으로 테일러가 감독 자격으로 2022년 9월 개최된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 참석했다. 그러나 단편영화상 후보에서 탈락했다. * 2022년 11월 14일, [[MTV]] EMA에서 베스트 비디오 상을 받았다. * 2023년 2월 5일 [[제65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베스트 뮤직비디오 상을 수상했다. [[Bad Blood]]에 이은 두 번째 수상이다. [clearfix] === 영상 === ||<#9d7d4a> {{{#e5f0d5 {{{-1 '''All Too Well (10 Minute Version)'''}}}[br]{{{+1 '''All Too Well: The Short Film'''}}}}}}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ollGa3S0o8)]}}}||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15909200, user=8.9)]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all-too-well-the-short-film, user=4.5)] === 트레일러 === ||<#9d7d4a> {{{#e5f0d5 {{{-1 '''All Too Well: The Short Film'''}}}[br]{{{+1 '''Official Trail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0Yf43ONyNo)]}}}|| === 비하인드 === ||<#9d7d4a> {{{#e5f0d5 {{{-1 '''All Too Well: The Short Film'''}}}[br]{{{+1 '''Behind The Scene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0Ku_op-LX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