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2017년 개봉한 영화,rd1=올 아이즈 온 미(영화))] [Include(틀:투팍 디스코그래피)] ||<#000> '''All Eyez on Me 관련 둘러보기 틀'''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50대 힙합 명반(1위~15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90년대의 100대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20,순위=436)]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830)]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39)] ---- [include(틀:Popkultur 선정 1990년대 100대 명반, 순위=23)] ---- [include(틀:Mast Media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38)]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224, 연도=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461)]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순위=90)] ---- ||<-5><#fff,#191919> '''{{{#b2a529 {{{+1 [[빌보드 200]] 역대 1위}}}}}}''' || || ''[[Jagged Little Pill]]'' {{{-2 [[앨라니스 모리셋|{{{#8086a0 Alanis Morissette}}}]]}}} || {{{+1 →}}} || ''[[All Eyez On Me]]''^^{{{-2 (2주)}}}^^ '''{{{-2 [[투팍 샤커|{{{#8086a0 2Pac}}}]]}}}''' || {{{+1 →}}} || ''[[Jagged Little Pill]]'' {{{-2 [[앨라니스 모리셋|{{{#8086a0 Alanis Morissette}}}]]}}} || }}} || ||<-2> '''{{{+1 All Eyez On 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모든눈이내게.jpg|width=100%]]}}} || || '''발매''' ||1996년 2월 13일[* 원래 95년 크리스마스에 발매할 예정이었으나 뮤직비디오 촬영과 녹음을 병행하여 연기되었다.]|| || '''녹음''' ||1995년 10월 12일 ~ 27일|| || '''녹음실'''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타자나, 캔-암 스튜디오|| || '''장르''' ||[[갱스터 랩]], [[G-funk]]|| || '''길이''' ||2:12:20|| || '''곡 수''' ||27곡[* CD 1 14곡, CD 2 13곡.]|| || '''프로듀서''' ||슈그 나이트[* 데스 로우 레코드의 전CEO], [[투팍]], DJ 밥캣, [[Daz Dillinger|다즈 딜린저]], 드반테 스윙, DJ 푸, [[DJ Quik|DJ 퀵]], 더그 라시드, [[닥터 드레]], [[Johnny J|조니 "J"]], 마이크 모슬리, [[QDIII]], 릭 락|| || '''레이블''' ||데스 로우, 인터스코프|| [목차] [clearfix] == 개요 == 1996년 2월 13일 발매된 [[투팍 샤커]]의 정규 4집 앨범이자 투팍의 생전 마지막으로 발매된 앨범.[* 5집인 The Don Killuminati: The 7 Day Theory가 생전 마지막으로 만들어진 앨범이나 투팍의 사후에 나오게 되었다.] == 상세 == 1995년 10월 당시 투팍은 성 관련 범죄로 감옥에 있었으며, 파산 신청을 한 상태였기 때문에 보석금을 낼 수 없는 상태였다. 이를 알게 된 데스 로우 레코드(Death Row Records)의 사장인 슈그 나이트(Suge Knight)는 투팍이 데스 로우 레코드와 계약을 하고 3개의 앨범을 내는 조건을 걸고 보석금을 대신 내게 된다. 이로 인해 그 세개의 앨범을 만드는 프로젝트 중 첫번째가 바로 이 앨범. 초기에는 앨범 이름을 최고의 안락사(Supreme Euthanasia)로 하려 했으나 후에 모두 나를 바라 보고 있다.(All Eyez On Me)로 변경. 투팍은 앨범의 작명 이유로 자신에게 느껴지는 현재 처지라 말했다.[* It's called All Eyez on Me. That's how I feel it is. I got the police watching me, the Feds. I got the females that want to charge me with false charges and sue me and all that. I got the females that like me. I got the jealous homeboys and I got the homies that roll with me. Everybody's looking to see what I'mma do now so All Eyez on Me.] 앨범은 더블 CD로 만들어졌으며, 앨범에는 예전 [[Thug Life]] 동료들과 Outlawz 멤버들은 물론, [[닥터 드레]], [[스눕 독]], [[네이트 독]], [[메소드 맨]], 다즈 딜린저, 커럽트, 레드맨[* 동부쪽 래퍼다. 앨범 표지만 봐도 웨스트라고 언급 되어있고 동부 래퍼들과 디스할 정도로 사이가 안좋은 상황이었다.] 등 많은 래퍼와 프로듀서들이 앨범 제작에 참여했다. == 음악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kXEgNt5UpH4)]}}}|| ||<#000> '''{{{#fff 유튜브 채널 'Power 106 Los Angeles'에서 제작한 샘플링 모음 영상.}}}''' || 노토리어스 B.I.G.의 ''[[Life After Death]]''와 공통점이 많으면서 대척점에 있는 앨범. 두 앨범 다 더블 앨범으로 제작되고 미국 내에서 1,000만 장 판매를 인정하는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았으며 앨범이 발매된 직후, 직전에 앨범 아티스트가 총격을 맞아 사망하였다. 그리고 [[빌보드 핫 100]] 1위 곡을 배출하며[* 투팍은 [[How Do U Want It]]과 [[California Love]], 비기는 [[Hypnotize]]와 [[Mo Money Mo Problems]]] 힙합 골든에라의 최전성기를 장식했다. 본래 투팍의 음악 스타일은 흔한 서부 래퍼들처럼 돈, 여자만 밝히는 방탕한 음악들도 많았지만 3집 Me Against the World 까지 사회비판적인, 흑인 사회의 부조리를 얘기하고 사람들에게 공감을 받는 사회 운동가적인 측면도 섞여있는 음악가였다. 하지만 총격 사건과 성추행 파문 등으로 분노가 극에 달하자 결국 감옥 안에서 슈그 나이트의 갱스터 레이블 데스 로우와 손을 잡고 그 동안 억압되었던 분노들을 음악적으로 폭발시키며 이 앨범을 발매하게 된다. 3집에서 보였던 차분함 보다는 G펑크 특유의 화려함과 방탕함이 사운드 대부분을 차지하고 수 많은 동료들의 피처링 참여로 이를 증대시켰다. 이런 변화를 통해 투팍은 차분하게 진실을 얘기하려는 아티스트에서 서부 갱스터의 모습으로 캐릭터가 변화되었고, 이는 전보다 더한 대중적 성공과 서부의 갱스터라는 강한 이미지까지 확보하는데 성공하였다.[* 한편 최근에 와서 [[텐타시온]]같은 래퍼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해 변절이라며 디스하기도 했다. 실제로 데스로우에 들어간 이후부터 투쟁가적인 면모보다는 총격 사건으로 인해 동부에 대한 증오심이 커져 스타일이 크게 바뀐다. 또한 주변 지인들의 말을 빌리자면 이 시기 투팍은 총을 맞고 분노하며 제정신이 아닌 것 같았다고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athrow family.png|width=100%]]}}} || || {{{#white '''앨범에 참여한 투팍과 데스로우 멤버들[* 오른쪽에는 힙합 팬이라면 익숙한 [[닥터 드레]], [[스눕독]], [[네이트 독]]도 보인다.]''' }}} || 어쨌건 가장 유명한 닥터 드레를 필두로 서부의 유수 프로듀서들과 갱스터 냄시 물씬 풍기는 데스 로우 피처링진[* 4번 트랙 Got My Mind Made Up에서는 레드맨과 [[우탱 클랜]]의 메소드맨이 참여하기도 했다.]이 참여한 결과 아직까지도 인기있는 다채로운 G펑크 트랙들이 앨범을 꽉꽉 채우고 있다. 능수능란한 자기과시 트랙 Ambitionz Az a Ridah, 2 of Amerikaz Most Wanted, 유명 펑크 그룹 Cameo의 히트곡 Candy를 샘플링한 All About U 등 흥겨운 트랙들이 귀를 즐겁게 해주는가 하면 자신의 총격 사건을 묘사한 Only God Can Judge Me를 통해 자신의 위험한 삶을 사람들에게 설득하기도 한다. 2번째 CD 또한 1번째 CD에 비하면 대중적 인기는 떨어질지언정 베이스를 더 단단하게 함으로서 분위기가 들떠있던 1번째 CD보다 더 무거운 사운드를 들려줘 객관적인 완성도는 떨어지지 않는다. 강렬한 비트와 분노를 담은 Can't C Me부터 시작해 한층 경쾌해지는 Thug Passion, Picture Me Rollin, 빅사이크의 피처링이 돋보이는 Check Out Time, All Eyez on Me로 서부 힙합 매니아들을 열광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수많은 트랙들이 갱스터 힙합이라는 카테고리 안에 있으면서도 개성있으면서 퀄리티가 뒤떨어지는 트랙 또한 없었기 때문에 수많은 평론가들이 찬사를 내렸었다. 또한, 거친 갱스터 곡 사이에 투팍의 서정성과 철학을 맛볼 수 있는 트랙들도 존재하는데, [[Life Goes On(투팍 샤커)|Life Goes On]]과 [[I Ain't Mad At Cha]]는 하류층 흑인들의 삶을 서정적으로 묘사하는 투팍의 장기가 여과없이 드러난 트랙이며, Shorty Wanna Be a Thug는 갱스터를 꿈꾸는 어린 아이들의 모습에 걱정과 우려를 표하며, 만류하는 메시지를 담은 트랙이다. Wonda Why They Call U Bitch는 표현이 과격해지긴 했지만, Brenda's Got A Baby, Keep Ya Head Up에 이어 투팍의 페미니즘적 면모가 다시금 드러나는 트랙으로, 물질적인 매춘부들의 삶을 비춤과 동시에 그들에게 남성들의 의존에서 벗어나서, 교육을 받고 하루빨리 정직한 직업을 가진 주체적 존재로 성장하라고 설유하는 트랙이다. 이처럼 화려한 갱스터 랩과 더불어 여러 철학적이고 감성적인 트랙들이 공존했기에 투팍 샤커와 All Eyez on Me는 현재까지도 수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전설로 남을 수 있었다. == 비평 및 흥행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10)] 발매 첫 주 만에 566,000 장을 판매하며 [[빌보드 200]]에서 1위를 기록한다. 96년 한 해 동안 600만 장이 판매되었고 발매된지 18년만인 2014년에는 다이아몬드 까지 기록할 만큼 현재까지 아직도 힙합 팬들 사이에서 사랑받고 있는 앨범. XXL에서 2017년 2월에 미국에서만 약 1177만 5천 장이 팔렸다고 발표했다. 명실상부 투팍의 정규 앨범 중에서 최고의 명반으로 평가받는 앨범으로 위에 서술된 음악성 덕분에 당시 비평가들에게 찬사를 받았고,[* All Music 만점, NME 9/10, Pitchfork 9.4/10 등의 평가를 받았다.] 이후 2020년에 개정된 롤링스톤 명반 리스트에도 들게되며 90년대 웨스트 코스트 힙합의 명반 리스트에 오르게 된다. == 트랙리스트 == ||<-4><#000> '''{{{#ff4500 트랙리스트}}}''' || || '''#''' || '''제목''' || '''프로듀서''' || '''길이''' || ||<-4><#000> {{{#ff4500 '''Disc 1'''}}} || || 1 || Ambitionz Az a Ridah[* 투팍이 감옥에서 나온 이후 처음 만든 곡이다.] || {{{-3 [[Daz Dillinger|Dat Nigga Daz]]}}} || 4:39 || || 2 || All About U[* 유명한 [[펑크(음악)|펑크(Funk)]]/[[컨템퍼러리 R&B|R&B]] 밴드 [[카메오(밴드)|카메오]]의 [[Candy(싱글)|Candy]]를 샘플링했다.][br]{{{-2 (feat. Hussein Fatal, [[Nate Dogg]], [[Snoop Dogg]] & Yaki Kadafi)}}} || {{{-3 [[Johnny J|Johnny "J"]][br][[2Pac]]}}} || 4:37 || || 3 || Skandalouz[br]{{{-2 (feat. [[Nate Dogg]])}}} ||<|2> {{{-3 [[Daz Dillinger|Dat Nigga Daz]]}}} || 4:09 || || 4 || Got My Mind Made Up[br]{{{-2 (feat. Tha Dogg Pound, [[Method Man]] & Redman)}}} || 5:13 || || 5 || [[How Do U Want It]][* 투팍의 [[빌보드 핫 100]] 1위를 기록한 두 노래 중 하나. 비트와 투팍의 래핑이 착착 감겨서 중독성이 장난 아니다. 가사중에 [[퍼프 대디]]를 언급하기도 했는데... 그냥 마리화나를 불다(puff)는 의미일 수도 있다. 또다른 [[빌보드 핫 100]] 1위 곡은 [[California Love]].][br]{{{-2 (feat. K-Ci & JoJo)}}} || {{{-3 [[Johnny J|Johnny "J"]]}}} || 4:47 || || 6 || 2 of Amerikaz Most Wanted[* 스눕과 함께 랩을 한 갱스터송으로 뮤직비디오에서는 가짜비기, 퍼프 대디와 대면하는 장면이 있다.][br]{{{-2 (feat. [[Snoop Dogg]])}}} || {{{-3 [[Daz Dillinger|Dat Nigga Daz]]}}} || 4:07 || || 7 || No More Pain || {{{-3 DeVante Swing}}} || 6:15 || || 8 || Heartz of Men || {{{-3 [[DJ Quik]]}}} || 4:44 || || 9 || [[Life Goes On(투팍 샤커)|Life Goes On]] || {{{-3 [[Johnny J|Johnny "J"]]}}} || 5:02 || || 10 || Only God Can Judge Me[br]{{{-2 (feat. Rappin' 4-Tay)}}} || {{{-3 Doug Rasheed[br]Harold Scrap Freddie}}} || 4:57 || || 11 || Tradin War Stories[br]{{{-2 (feat. C-Bo & Outlawz)}}} || {{{-3 Mike Mosley[br]Rick Rock}}} || 5:30 || || 12 || [[California Love]][* 원래 1995년도에 나온 오리지널 버전이 아닌 러닝타임도 1분 늘어난 꽤 심심한 리믹스 버전으로 앨범에 수록되었다. 물론 오리지널 버전 분위기는 이 앨범의 분위기와 전혀 맞지 않았기에 리믹스한 것이고, 리믹스 버전도 앨범을 쭉 들었을 때는 무난하게 들린다.][br]{{{-2 (feat. [[Dr. Dre]] & [[Zapp|Roger Troutman]])}}} || {{{-3 [[Dr. Dre]]}}} || 6:25 || || 13 || [[I Ain't Mad At Cha]][* 잔잔한 매력이 있는 곡으로 어렸을 때 함께 약을 팔던 친구가 나중에 개과천선해서 자신과 다른 삶을 살아가는 것에 대해 화나지 않고 응원한다는 조금은 슬픈 내용. 많은 흑인들의 공감을 받았다고 한다. 뮤직 비디오는 그가 죽은지 이틀 후 싱글로 발매되어 공개됐는데 내용이 투팍이 친구를 지키다 총에 맞아 죽은 후 그를 지켜보고 친구는 투팍의 아내와 딸에게 위로를 건넨다는 것이라 상당히 이슈가 되었다. 뮤직 비디오는 상당히 잘 만들어져 96년도 최고의 뮤직 비디오 중 하나로 꼽힌다.][br]{{{-2 (feat. Danny Boy Steward)}}} || {{{-3 [[Daz Dillinger|Dat Nigga Daz]]}}} || 4:54 || || 14 || What'z Ya Phone #[br]{{{-2 (feat. Danny Boy Steward)}}} || {{{-3 [[Johnny J|Johnny "J"]][br][[2Pac]]}}} || 5:08 || ||<-4><#000> {{{#ff4500 '''Disc 2'''}}} || || 1 || Can't C Me[br]{{{-2 (feat. George Clinton)}}} || {{{-3 [[Dr. Dre]]}}} || 5:31 || || 2 || Shorty Wanna Be a Thug || {{{-3 [[Johnny J|Johnny "J"]]}}} || 3:52 || || 3 || Holla at Me[br]{{{-2 (feat. Nanci Fletcher)}}} || {{{-3 Bobby "Bobcat" Ervin}}} || 4:55 || || 4 || Wonda Why They Call U Bitch || {{{-3 [[Johnny J|Johnny "J"]][br][[2Pac]]}}} || 4:19 || || 5 || When We Ride[br]{{{-2 (feat. Outlawz)}}} || {{{-3 DJ Pooh}}} || 5:09 || || 6 || Thug Passion[br]{{{-2 (feat. Jewell & Outlawz)}}} || {{{-3 [[Johnny J|Johnny "J"]][br][[2Pac]]}}} || 5:08 || || 7 || Picture Me Rollin'[br]{{{-2 (feat. Big Syke, CPO & Danny Boy Steward)}}} || {{{-3 [[Johnny J|Johnny "J"]]}}} || 5:15 || || 8 || Check Out Time[br]{{{-2 (feat. Big Syke & Kurupt)}}} || {{{-3 [[Johnny J|Johnny "J"]][br][[2Pac]]}}} || 4:39 || || 9 || Ratha Be Ya Nigga[br]{{{-2 (feat. Richie Rich)}}} || {{{-3 Doug Rasheed}}} || 4:14 || || 10 || All Eyez on Me[* 앨범 타이틀 곡이며 2번째 CD에서 가장 인기있는 노래. 투팍의 래핑 못지 않은 빅 사이크의 거친 피쳐링이 돋보인다.][br]{{{-2 (feat. Big Syke)}}} || {{{-3 [[Johnny J|Johnny "J"]]}}} || 5:08 || || 11 || Run Tha Streetz[br]{{{-2 (feat. Michel'le, Napoleon (Outlawz) & Storm)}}} || {{{-3 [[Johnny J|Johnny "J"]][br][[2Pac]]}}} || 5:17 || || 12 || Ain't Hard 2 Find[br]{{{-2 (feat. B-Legit, C-Bo, D-Shot, [[E-40]] & Richie Rich)}}} || {{{-3 Mike Mosley[br]Rick Rock}}} || 4:29 || || 13 || Heaven Ain't Hard 2 Find[br]{{{-2 (feat. Danny Boy Steward)}}} || {{{-3 [[QDIII]]}}} || 3:58 || == 동명의 앨범 수록곡 == ||<-2> '''{{{+1 All Eyez on Me}}}''' || |||| [youtube(zgZ52M4a_R0)] || || '''녹음''' ||1995년 10월|| || '''녹음실'''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타자나, 캔-암 스튜디오|| || '''장르''' ||[[힙합 음악|웨스트 코스트 힙합]], [[갱스터 랩]]|| || '''길이''' ||5:08|| || '''작사''' ||[[투팍 샤커]], 빅 사이크|| || '''프로듀서''' ||[[Johnny J|조니 "J"]]|| [clearfix] 여담으로 이 곡은 [[Nas]]의 앨범 [[It Was Written]]의 수록곡인 Street Dreams과 같은 곡을 샘플링했다.[* 린다 클리포드의 "Never Gonna Stop"을 샘플링하였다.] 앨범 자체는 투팍의 앨범이 먼저 나왔으나[* 투팍 - 1996년 2월, 나스 - 1996년 7월] 믹스테입을 포함하면 Street Dreams가 All Eyez on Me보다 훨씬 오래전에 만들어진 곡이라고 한다.[* 실제로 이 때문에 투팍은 Street Dreams를 디스곡으로 오인하며 나스를 여러 차례 디스하기도 했으나, 사망하기 전 나스와 직접 만나 화해하며 오해를 풀었다.] === 가사 === ||<:> '''{{{+4 All Eyez on Me}}}''' [Intro: 2Pac] Big Syke, Newt, Hank Big Syke, Newt, Hank Beugard, Big Sur yeah Beugard, Big Sur 그래 Y'all know how this shit go y'know 이 일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다들 알잖아 All Eyez on me 모든 시선이 날 향해 Motherfuckin' O.G 빌어먹을 OG All Eyez On Me 모든 시선이 날 향해 Roll up in the club and shit, is that right 클럽에 올라온 짓거리, 저게 맞겠지? All Eyez on me 모든 시선이 날 향해 All Eyez on me 모든 시선이 날 향해 But you know what? 하지만 뭔지 알아? [Verse 1: 2Pac] I bet you got it twisted you don't know who to trust 나는 네가 그것을 왜곡했다고 확신해 누구를 믿어야 할지도 몰라 So many player-hatin' niggas tryin' to sound like us 우리를 미워하며 동시에 따라 하려는 놈들이 너무 많아 Say they ready for the funk, but I don't think they knowin' 그들이 funk를 할 준비가 되었다고 말하지만, 내 상각엔 그들은 알 것 같지 않아 Straight to the depths of hell is where those cowards goin' 그 겁쟁이들이 가는 곳은 지옥의 가장 깊은 곳이야 Well are you still down nigga, holla when you see me 글쎄, 넌 여전히 우울해 인마, 날 보면 인사나 해 And let these devils be sorry for the day they finally freed me 그리고 저 악마들이 마침내 날 풀어준 날을 실수했다는 걸 깨닫게 해줘 I got a caravan of niggas every time we ride 우리가 매일 탈 때마다 난 캐러밴이 있어 Hittin' motherfuckers up when we pass by 우리가 지나갈 때 개자식들을 때려 Until I die; live the life of a boss playa 내가 죽을 때까지; 보스와 같은 삶을 살아라 Cause even when I'm high, fuck with me and get crossed later 왜냐면 내가 흥이 났을 때도, 나랑 섹스하고 나중에 넘어지니까 The futures in my eyes, cause all I want is cash and thangs 내 눈 속의 미래, 내가 원하는 건 현금과 물건뿐이니까 A five-double-oh Benz flauntin' flashy rings Benz 500을 타고 화려한 반지를 뽐내고 있어, 어 Uh Bitches pursue me like a dream 어 이 년들은 꿈을 좇듯 날 쫓아다녀 Been know to disappear before your eyes just like a dope fiend 마약 중독자처럼 눈 앞에서 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It seems, my main thing was to be major paid 내 주된 일은 주요 급여를 받는 것이야 The game sharper than a motherfuckin' razor blade 이 빌어먹을 면도날보다 날카로운 게임 Say money bring bitches, bitches bring lies 돈은 여자를 가져오고 년은 거짓말을 가져온다고 One nigga's gettin' jealous, and motherfuckers die 한 놈은 질투를 하고, 개자식들은 죽어라 Depend on me like the first and fifteenth 1번과 15번처럼 나에게 의지해 They might hold me for a second, but these punks won't get me 그들은 나를 잠시 붙잡아 둘 수도 있지만, 이 새끼들은 날 잡지 못할거야 We got four niggas, in low riders, and ski masks 우리는 로우 라이더와 스키 마스크를 착용한 4명의 놈들이 있어 Screamin' THUG LIFE every time they pass - All Eyez on me 그들이 지나갈 때마다 THUG LIFE라고 소리질러 - 모든 시선이 날 향해 [Verse 2: Big Syke] Hey, to my nigga 'Pac 이봐, 내 친구 Pac에게 So much trouble in the world, nigga 이 세상에는 문제가 너무 많아, 임마 Can't nobody feel your pain 아무도 너의 고통은 느끼지 못하지 The world's changin' everyday, time's movin' fast 세상은 매일 바뀌고, 시간은 빠르게 흘러가 My girl said I need a raise, how long will she last 내 아내는 돈을 불리라고 말해, 그녀는 언제까지 내 곁에 있어줄까 I'm caught between my woman, and my pistol, and my chips 난 내 여자, 그리고 내 권총, 돈 사이에서 오도가도 못해 Triple beam, got some smokers on, whistle as I dip 약저울, 옆에는 중독자들, 난 휘파람을 불지 I'm lost in the land with no plan, livin' life flawless 난 계획 없는 땅에서 길을 잃어, 흠 없는 삶을 살고 있어 Crime boss, contraband, let me toss this 조직의 보스 자리, 밀수품, 이제 넘기게 해줘 Needy hookers got a lot of nerve, let my bucket swerve 굶주린 창녀들은 배짱이 좋아, 내 차에 타지 I'm takin' off from the curb 난 이 일에서 손 땔러 The nervousness neglect make me pack a tech 긴장감의 방치는 내 Tec-9을 챙기게 만들어 Devoted to servin' this, Moet and pay checks Moet과 수표에 내 모든 걸 바쳐 Like Akai satellite nigga I'm forever ballin' 마치 Akai satellite처럼 난 계속해서 돈을 벌 거야 It ain't right parasites triggers and fleas crawlin' 이것들은 옳지 않아 기생출과 방아쇠 그리고 기어다니는 벼룩들 Sucker duck and get busted, no emotion 병신들은 숨어도 내게 박살나지, 감정 없이 My devotion is handlin' my business, nigga, keep on coastin' 내 헌신은 내 사업을 이뤄내, 임마, 넌 계속해서 시간을 낭비하길 Where you goin' I been there, came back as lonely homie 니가 어딜 가든 다 내가 가본 곳, 결국 외롭게 돌아왔지 친구 Steady flowin' against the grain, niggas still don't know me 시대를 가르며 랩해봤자, 아무도 나를 몰라 It's about the money in this rap shit, this crap shit 랩은 다 돈을 위해 하는 것, 이 쓰레기 같은 것 It ain't funny niggas don't even know how to act, shit 우스운 게 아니야 모두들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몰라, 젠장 What can I do, what can I say, is there another way 내가 뭘 할 수 있겠어, 뭐라 말할 수 있겠어, 거기에 다른 방법이 있기는 해 Blunts and gin all day, twenty-fo' parlay 하루 종일 마리화나와 진 파티 My little homie G, can't you see, I'm busta-free 내 작은 갱스터 친구들, 모르겠어, 내 주위엔 바보들이 없어 Niggas can't stand me - all eyez on me 새끼들은 나를 못 건드려 - 모든 시선이 날 향해 [Hook: 2Pac] Live the life of a thug nigga, until the day I die 내가 죽는 날까지 thug nigga의 삶을 살아라 Live the life of a boss playa (All Eyez on me), cause even gettin' high 보스 플레이야의 삶을 살아라 (모든 시선이 날 향해) 높아지더라 할지라도 All Eyez on me 모든 시선이 날 향해 Live the life of a thug nigga, until the day I die 내가 죽는 날까지 깡패 새끼의 삶을 살아라 Live the life of a boss playa (All Eyez on me), cause even gettin' high 보스 플레이야의 삶을 살아라 (모든 시선이 날 향해) 높아지더라 할지라도 [Verse 3: 2Pac] The feds is watchin', niggas plottin' to get me 연방정부가 지켜보고 있어, 놈들이 날 잡으려고 음모를 꾸미고 있어 Will I survive, will I die, come on let's picture the possibility 내가 살아남을 것인가, 죽을 것인가, 가능성을 상상해보자 Givin' me charges, lawyers makin' a grip 나에게 책임을 묻고, 변호사들이 손을 잡고 있어 I told the judge I was raised wrong, and that's why I blaze shit 나는 판사에게 내가 잘못 자랐다고 말했고, 그래서 내가 화를 내 Was hyper as a kid, cold as a teenager 어렸을 때는 과격했고 십대에는 냉정했지 On my mobile callin' big shots on the scene major 내 휴대전화로 주요 장면에서 빅샷을 부르고 있어 Packin' hundreds in my drawers; fuck the law 내 서랍에 수백 개씩 포장해; 법 좆까 Bitches I fuck with a passion, I'm livin' rough and raw 개년들을 난 열정적으로 섹스해, 난 거칠고 생생하게 살아 Catchin' cases at a fast rate, ballin' in the fast lane 빠른 속도로 사건을 처리하고 빠른 차선에서 놀아 Hustle 'til the mornin', never stopped until the cash came 아침까지 허슬, 현금이 올 때까지 멈추지 않았어 Live my life as a thug nigga until the day I die 내가 죽는 날까지 내 삶은 깡패 새끼로 살아 Live my life as a boss playa, cause even gettin' high 내 인생을 보스와 같은 삶을 살게 해, 왜냐면 기분이 좋아지니까 These niggas got me tossin' shit 이 새끼들은 내가 똥을 싸게 했어 I put the top down, now it's time to floss my shit 난 탑을 내려놨어, 이제 치실을 쓸 시간이야 Keep your head up, nigga, make these motherfuckers suffer 너의 고개를 들어, 임마, 이 개자식들에게 고통을 줘 Up in the Benz, burnin' rubber Benz를 타고, 고무를 태워 The money is mandatory, the hoes is for the stress 돈은 필수, 괭이질은 스트레스를 위한거야 This criminal lifestyle, equipped with the bulletproof vest 이 방탄조끼를 장착한 이 범죄자의 생활이야 Make sure your eyes is on the mill ticket 너의 눈이 공장 티켓에 있는지 확실히 확인해 Get your money, motherfucker, let's get rich and we'll kick it 너의 돈을 받고, 개자식아, 부자가 되고 우리는 그것을 걷어차 All Eyez on me 모든 시선이 날 향해 [Hook: 2Pac] Live the life of a thug nigga, until the day I die 내가 죽는 날까지 깡패 새끼의 삶을 살아라 Live the life of a boss playa (All Eyez on me), cause even gettin' high 보스와 같은 삶을 살아라 (모든 시선이 날 향해) 높아지더라 할지라도 All Eyez on me 모든 시선이 날 향해 Live the life of a thug nigga, until the day I die 내가 죽는 날까지 깡패 새끼의 삶을 살아라 Live the life of a boss playa (All Eyes on me), cause even gettin' high 보스와 같은 삶을 살아라 (모든 시선이 날 향해) 높아지더라 할지라도 All Eyez on me 모든 시선이 날 향해 [Outro: 2Pac] Pay attention, my niggas! See how that shit go? 집중해, 친구들! 어떻게 돌아가는 바닥인지는 알겠지? Nigga walk up in this motherfucker and it be like, "Bing!" 이 자리에 올라서면 이런 소리가 들려, 빙! Cops, bitches, every-motherfuckin'-body 짭새들, 망할 년들, 그 어떤 놈이라도 I got bustas, hoes, and police watchin' a nigga, you know? 떨거지, 여자, 경찰 모두가 날 지켜보고 있어, 알지? I live my life thug nigga until the day till I diethug life 난 내가 죽는 그 날까지 Thug의 삶을 살아 (Livin life as a boss playa, 'cause even gettin' high 보스 플레이야의 삶을 살아라, 높아지더라 할지라도 (All Eyez on me) (모든 시선이 날 향해) Hehehe... it's like what they think? 헤헤헤... 저 새끼들 아직도 그 생각인가? I'm walkin around with some ki's in my pocket or somethin? 내가 주머니 속에 한 줌의 마약을 넣고 걸어 다닌다고? (All Eyez on me) (모든 시선이 날 향해) They think I'm goin' back to jail, they really on that dope 그들은 내가 진짜 감옥에 돌아갈 줄 알고 있어, 그들은 정말 약에 절여졌나 봐 (Live the life of a thug nigga, until the day I die) (내가 죽는 날까지 깡패 새끼의 삶을 살아라) I know y'all watchin', I know y'all got me in the scopes 너네들 날 눈여겨보고 있는 거 알어, 나는 너네들이 내 사정거리 안에 있는 것도 알지 I know y'all know this is Thug Life, baby! 나는 너네들이 이게 Thug Life걸 알게 될 거야, 새끼들아! Y'all got me under surveillance, huh? 너네들은 날 그렇게까지나 감시하는 거야? (All Eyez on me) (모든 시선이 날 향해) But I knowin 하지만 난 알아 ---- [[파일:투팍 로고.png|width=200]] ---- || == 기타 == * 2014년 7월 23일, RIAA[* 미국 음반 산업 협회]는 이 앨범이 무려 천만장 판매를 인증하는 다이아몬드를 기록했다고 발표한다. 현재까지도 이 앨범이 힙합에 얼마나 영향력이 있는지 잘 나타내고 있는 사례. * 무려 2주만에 완성된 앨범으로 All Eyez On Me의 성공 이후 더블 앨범 제작이 힙합씬에서 상당히 유행하기 시작했다. * All Eyez On Me의 발매 전 라스베가스의 Club 662와 오하이오 주의 현 로키 모기지 필드하우스에서의 공연으로 몇몇 수록 곡들이 알려 졌다. * 2017년 이 앨범의 이름에 영향을 받은 투팍의 전기 영화 [[올 아이즈 온 미(영화)|올 아이즈 온 미]]가 상영되었다. 투팍의 팬이라면 한번 보는 것도 좋을듯 하다. * 투팍은 이 앨범이 발매한지 정확히 7개월 만인 1996년 9월 13일에 총격으로 생을 마감한다.[* 참고로 [[노토리어스 B.I.G.]]의 [[Ready to Die]]가 발매된지 정확히 2년 되는 날이기도 하다.] * 유명한 앨범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앨범을 구매할때 운이 좋으면 번역집을 덤으로 받을 수 있다. 번역집은 [[나우누리]] 힙합 동호회에서 제작되었다. * 2020년 개정된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리스트 436위에 선정되었다. 21세기 들어 흑인 음악인 힙합, R&B가 주류로 자리잡으며 영향력이 커졌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분류:투팍 샤커]][[분류:1996년 음반]][[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서부 힙합]][[분류:갱스터 랩]][[분류:G-fu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