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Exile on Main St. 트랙리스트)]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노래, 순위=3855)] ||<-2><#dfd7d5> '''{{{#000 {{{+1 All Down the Line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5GUV9dUpa-k,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72년]] [[5월 12일]] || || '''녹음 기간''' ||[[1971년]] [[6월 7일]] - [[1972년]] [[3월]]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fd7d5;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dfd7d5, #dfd7d5); font-size: .9em" [[Exile on Main St.|'''{{{#8B0000 Exile on Main St.}}}''']]}}} || || '''장르''' ||[[블루스 록]]|| || '''작사/작곡''' ||[[재거-리처즈]] || || '''프로듀서''' ||지미 밀러 || || '''러닝 타임''' ||3:49 || || '''스튜디오''' ||선셋 사운드 레코더, 런던 올림픽 스튜디오 || || '''레이블''' ||롤링 스톤즈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dfd7d5>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bRIRSudED4,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51A6bcMeDY, height=200)]}}} || || '''1969년 데모''' || '''1972년 라이브''' || [[1972년]] 발매된 [[롤링 스톤스]]의 10집 [[Exile on Main St.]]의 수록곡. == 상세 == [[믹 테일러]]의 화려한 보틀넥 연주가 돋보이는 [[블루스]] 넘버이다. Exile 앨범을 녹음할때 가장 처음으로 녹음된 곡이고 [[믹 재거]]는 처음에 이 곡을 첫번째 싱글로 발매하기를 원했다고 한다. 가사는 길을 인생에 대한 메타포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 곡에서 계속 서술되는 기차는 구원에 대한 메타포다. 미국의 넓은 땅에서는 새로운 변화를 꿈꾸고 많은 이주민, 노동자들이 기차에 몸을 싣기도 했다. 종합하자면 기나긴 인생에서 사랑 혹은 구원을 계속 갈망하는 화자의 이야기다. 롤링 스톤스의 많은 곡들이 그렇듯 종교적인 메타포가 강한곡이다. 실제로 [[믹 재거]]는 교회도 가끔 다녔을 정도로 친 기독교적이라고 한다. == 가사 == || ---- '''{{{+4 All Down the Line}}}''' ---- Yeah, heard the diesel drumming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엔진이 덜컹거리는 소리가 들렸지 Oh, heard the wires a humming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전선이 북적거리는 소리가 들렸지 Yeah, hear the women sighing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여인의 한숨소리가 들려 Oh, hear the children crying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아이들의 울음소리가 들려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We'll be watching out for trouble, yeah 그래, 우리는 시련에 대비할거야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And we'd better keep the motor running, yeah 그래, 우리는 계속 멈추지 않는게 나을거야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Well, you can't say yes and you can't say no 흠, 너는 긍정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지 Just be right there when the whistle blows 호루라기 소리가 들리면 바로 멈춰야하지 I need a sanctified girl with a sanctified mind to help me now[* [[밥 딜런]]의 Visions of Johanna가 그렇듯 욕정, 성욕을 해결해줄 속세의 여인보다 숭고한 마음으로 자신을 구원해줄 숭고한, 이상적인 여인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난 지금 나를 도와줄 숭고한 마음을 가진 숭고한 여자가 필요해 Yeah, all the people singing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모든 사람들이 노래를 부르네 Mmmm, watch the men all working, working, yeah. (All down the line) 으음, (저 길을 따라서) 모든 사람들이 일을, 일을 하고 있는게 보이네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We're gonna open up the throttle, yeah 우리는 엔진을 계속 켜둘거야, 그래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We're gonna bust another bottle, yeah 우리는 한 병 더 터뜨릴거야, 그래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I need a shot of salvation, baby, once in a while 나는 구원의 손길이 필요해, 자기야, 가끔은 Hear the whistle blowing, hear it for a thousand miles 천마일까지 호루라기 소리가 들려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We're gonna open up the throttle, yeah 우리는 엔진을 계속 켜둘거야, 그래 (All down the line) (저 길을 따라서) We're gonna bust another bottle, yeah 우리는 한 병 더 터뜨릴거야, 그래 We're gonna bust another bottle, yeah 우리는 한 병 더 터뜨릴거야, 그래 Well you can't say yes, and you can't say no 흠, 너는 긍정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지 Just be right there when the whistle blows 호루라기 소리가 들리면 바로 멈춰야하지 I need a sanctified mind to help me out right now 나는 지금 당장 나를 도와줄 숭고한 마음이 필요해 Be my little baby for a whistle [* [[로네츠]]의 [[Be My Baby]]를 오마주한 표현이다.] 잠깐 내 애인이 되어줘 Won't you be my little baby for a while? 잠깐 내 애인이 되어줄래? Won't you be my little baby for a while? 잠깐 내 애인이 되어줄래? Won't you be my little baby for a while? 잠깐 내 애인이 되어줄래? ----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width=50]] || == 참여 == * [[믹 재거]] - 보컬 * [[키스 리처즈]] - 리듬 기타, 백 보컬 * [[믹 테일러]] - 슬라이드 기타 * [[빌 와이먼]] - 베이스 * [[찰리 와츠]] - 드럼 * 니키 홉킨스 - 피아노 * 바비 키스 - 색소폰 * 짐 프라이스 - 트럼펫, 트럼본 * 카시 맥도널드 - 백 보컬 * 지미 밀러 - 마라카스 [[분류:1972년 노래]][[분류:롤링 스톤스 노래]][[분류:블루스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