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DAA520 이름}}}''' || '''{{{#DAA520 앨런 프리드 [br] ALAN FREED }}}''' || || '''{{{#DAA520 헌액 부문}}}''' || '''{{{#DAA520 아멧 어터건 상[* 이전 명칭은 비공연자((Non-performers)] (Ahmet Ertegun Award)}}}''' || || '''{{{#DAA520 멤버}}}''' || '''{{{#DAA520 (개인 자격)}}}''' || || '''{{{#DAA520 입성 연도}}}''' || '''{{{#DAA520 1986년}}}''' ||}}}}}}}}} || ||<-2> '''{{{+1 앨런 프리드}}}[br]Alan Free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lan_Freed_disk_jockey.jpg|width=100%]]}}} || || '''본명''' ||앨버트 제임스 프리드[br]Albert James Freed|| ||<|2> '''출생''' ||1921년 12월 15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윈드버|| ||<|2> '''사망''' ||1965년 1월 20일 (향년 43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팜스프링스|| || '''직업''' ||디스크자키|| || '''활동''' ||1945년 ~ 1965년|| || '''배우자''' ||베티 루 빈 ^^(1943년 ~ 1949년, 이혼)^^[br]마조리 J. 헤스 ^^(1950년 ~ 1958년, 이혼)^^[br]잉가 릴 보울링 ^^(1959년 결혼)^^|| || '''자녀''' ||4명|| || '''링크''' ||[[http://www.alanfreed.com/|공식 사이트]]||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라디오 DJ. == 상세 == === 락앤롤을 널리 퍼트리다 === 이 사람은 [[로큰롤]] 음악의 인기에 큰 기여를 했다. 1950년대 초반, 차별받던 [[미국 흑인]]들의 음악이었던 [[R&B|리듬 앤 블루스]]가 더 빨라져 락앤롤로 변화하고 있었는데 당시 미국 흑인들은 민권법도 없이,[* 민권법은 1964년 제정된다. 자세한 내용은 [[1964년 미국 연방 민권법]] 문서 참조.] 인권도 없이 차별받고 있었지만 백인 10대들은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발전하고 안정된 사회에서 자라다 보니, [[재즈]]나 스탠다드 팝(트레디셔널 팝)을 듣던 자신들의 기성세대와 차별화되고 싶었다. 그래서 이들은 흑인 음악을 듣기 시작했는데, 그에 맞추어 1952년부터 시작된 앨런 프리드의 라디오 방송은, 미국 청소년들에게 최신 리듬 앤 블루스 곡들과 락앤롤 곡들을 퍼뜨렸다. 이게 계속되다 보니 1955년쯤 접어들면 백인 청소년들은 흑인 음악에 이미 익숙해져 있었으며 [[빌 헤일리]]의 "Rock Around The Clock"의 대히트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음악을 영원히 바꿔 버렸다. [[빌보드]]나 다른 음악 잡지들은 이 노래 이후부터 2020년 현재까지, 락 시대(Rock Era)라는 음악 시대로 분류한다. 말 그대로 락 음악의 시대라는 뜻이다. 아무튼 이에 크게 기여한 게 앨런 프리드고, 당시 앨런 프리드의 이러한 공로로 백인을 대상으로 하는 음반사들은, 백인 청소년의 구매력이 심상치 않다는 것을 느끼고, "흑인처럼 노래하는 백인 있으면 게임 끝난다"라는 인식이 퍼졌는데, 그 인식의 결과물이 바로 [[엘비스 프레슬리]]이다. 엘비스의 창법은 확실히 [[미국 흑인]]들의 리듬 앤 블루스 음악과 로큰롤 음악에서 온 것이다. 아무튼 이렇게 음악 세계를 바꾸는데 큰 기여를 한 앨런 프리드였지만, 그의 끝은 아주 불행했는데 그 이유는 1959년 발생한 [[페이올라]] 사태. === 1959년 [[페이올라]] 사태 === 앨런 프리드가 음반사로부터 돈을 받고 특정 락앤롤 곡들을 틀어줬다는 의혹으로 앨런 프리드의 커리어와 명성은 한 순간에 날아가게 되었으며, 안 그래도 엘비스의 입대, [[제리 리 루이스]]의 미성년자 사촌과의 결혼, [[척 베리]]의 체포 [* 다만 이건 인종차별적인 이유가 어느 정도 있었다고 한다. 당시에는 [[1964년 미국 연방 민권법|민권법]]은 제정 계획조차 없던 시기였다. 미국 흑인들의 인권이 법적으로 보장되지 않았던 때이다.], [[리틀 리처드]]의 목사 안수, 또 같은 해 2월 14일 발생한 비행기 사고[* The Day The Music Died(음악이 죽은 날)이라고 불리는 날이며, 락앤롤 스타 "빅 파퍼", 라밤바와 Donna로 유명한 "리치 발렌스", 그리고 당시 최고의 틴 아이돌 가수였던, 비틀즈의 제일 큰 우상 중 하나였던 [[버디 홀리]]가 타고 있던 경비행기가 추락하며 이들 모두가 사망했다. 이 사고의 충격은 1972년 대히트했던 돈 매클레인의 "[[American Pie]]"의 가사에서 알 수 있다. ]로 락앤롤 음악의 전성기가 빠르게 막을 내리고 있었다. 이런 배경 속에서 이 페이올라 사건은 미국에서 락앤롤의 종말을 알리고, 락앤롤 정신은 사라지고 그 음악만 남아, 1960년대 [[처비 체커]]를 필두로 한 [[트위스트]] 등의 댄스 음악 열풍 (락앤롤과 [[R&B]] 기반 댄스 음악이었다.), 서프 음악, 걸그룹 음악[* 팝 또는 두왑, 또는 R&B 기반의 음악. 1961년 흑인 R&B 걸그룹 The Shirelles의 대성공으로 시작된 붐으로 [[다이애나 로스]]의 [[슈프림스]] 역시 이 시대에 데뷔했다. 인기는 브리티시 인베이전 이후에 얻었지만. ], 또는 락앤롤이 백인식으로 몇 번 탈색된 60년대 초반식 팝 음악 등이 [[비틀즈]]를 필두로 한 [[브리티시 인베이전]] 전까지 미국 음악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후 프리드는 몇몇 지방 라디오 방송국에서 커리어를 이어가려 했지만 이미 명성이 나락으로 떨어진 탓에[* 페이올라 외에도 가수들의 곡에 억지로 공동 작곡자로 이름을 올린 다음 본인의 프로그램에서 프로모션을 돌리는 식으로 이중으로 돈을 받아 챙기기도 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척 베리]]의 [[Maybellene]].] 쉽게 일자리를 얻지 못했고, 그나마 얻은 일자리도 [[알코올 의존증]] 때문에 오래 지속되지 못한데다가 1964년에는 탈세 혐의로 재판까지 받았다. 결국 1965년 1월 20일 알코올 의존증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 == 관련 문서 == * [[락앤롤]] * [[페이올라]] * [[브리티시 인베이전]] [[분류:미국의 DJ]][[분류:미국의 남성 방송인]][[분류:1921년 출생]][[분류:1965년 사망]][[분류:서머싯 카운티(펜실베이니아) 출신 인물]][[분류:간경변으로 죽은 인물]][[분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