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Airline Empires)] [목차] == 개요 == 항공기 리스는 해당 문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운용 리스와 금융 리스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소개하는 [[Airline Empires]]의 리스 시스템은 운용 리스에 더 가깝다. 그 이유는 리스시에 항공기 가격 (Price List 상의 가격)를 다 납부한다고 내 기재가 되는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밑에서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 기재 리스법 == 기재를 리스할 때에는 크게 새기재, 헌기재를 리스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신조 기재 리스 === 신조 기재 리스는 Buy New Aircraft 탭에 들어가서, 제작사별 모델 분류에 따라서 Lease|Buy 중에 리스를 선택하고, 리스 거치 기간 (최소 3년~10년)에서 리스 기간을 설정한 후에 리스 대상 기재의 설정된 좌석 배치가 있다면 선택한 후, 리스 선납금 (6개월치를 선납받는다.)을 지불하고 리스하면 된다. === 중고 기재 리스 === 중고 기재 리스는 Buy Old Aircraft 탭에 들어가서, 대상 기재를 Filter한 후, Lease|Buy 중에 리스를 선택하고, 리스 거치 기간 (최소 1년~10년)에서 리스 기간을 설정한 후에 6개월치 리스 선납금을 지불하고 리스하면 된다. 참고로, 리스할 시에 구 항공사의 좌석 배치가 딸려온다. == 리스 운용 방법 == === 리스 기간 연장 === Aircraft 탭에서 대상 항공기 설정에 들어가서 Extend ## Year을 선택하고 확인하면 된다. 다만, 10년 이상 리스하는 것은 좋지 않다. 그 이유는 리스 할인율에서 참고. === 리스 할인율 === [[Airline Empires]]의 리스 시스템은 장기 리스시 할인이 된다. 2년차부터 -0.2%씩 해준다. 10년차면 가격이 약간 차이나는 수준이 된다. [[B777]] 같은 인기 기종은 무조건 10년하자. 다만 리스 기간 연장을 한다고 해도 총 리스 계약 기간이 10년이 넘어가면 할인이 안된다. === 리스 기재 매입 === 리스사에 리스 기재에 대한 잔존 가치의 2배를 지급한 경우, 무료로 가져갈 수 있다. 그 외의 경우에도, (기재 잔존 가치) - (기재 리스 총 납부 비용 X 0.5) == (리스 기재 매입 비용) 이런 식으로 리스 기재를 매입 할 수 있다. 리스 기재 매입은, 리스비가 사라져서 영업이익이 올라가는 효과가 있지만, 과도한 리스 기재 매입은 여유 현금이 없어서 리스한 기재가 차압당할 수 있다. === 리스 기재 차압 === 리스 기재에 대한 요금을 3번 미납했을시, 기재가 회수된다. 리스비를 내야할 날(중고 기재의 경우 최초 리스 계약일, 신기재의 경우 리스기재 인도일이 매달 리스 요금 납부일이다.)에 미납하면 다음날에 Non-payment Warning 알림이 오며 체납 횟수가 기록된다. --리스비도 못낼 정도면 그냥 접어라.-- 리스 요금도 못낼 정도면 정말 [[시궁창]]인 항공사다. == 리스 운용 기법 == === Sale and Lease Back === -- 요약 : 팔고 다시 산다. -- 항공사의 재정이 심각하게 악화되었을때, 중고시장에 항공기를 --마구-- 내놓고, 다시 리스하는 법. 단기적으로 부채를 줄이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다만 저 방법을 쓴다는 상황이면 이미 망한 항공사입니다.-- 항공사가 일정 규모 이상이면 이럴 일이 얼마 없다. 주로 초기에 발생하는 문제 혹은 극후기에 경쟁에서 도태되며 발생하나, 사실상 새로 항공사 만드는게 더 효과적이다. === Lease and Lease === 기재 나이가 5년쯤 되면, 항공기 리스 비용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이용한 리스 방식. 5년치 계약을 맺고 리스를 한 후, 다시 5년 리스 후 지속적으로 리스를 하는 방법이다. [[분류:게임 내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