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1999)] ||<-2> '''{{{+1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BfQuZqq8wg, width=100%, height=250)]}}} || || '''수록 음반''' ||United|| || '''아티스트''' ||[[마빈 게이]] & 태미 터렐 || || '''발매일''' ||1967년 4월 20일|| || '''녹음 기간''' ||1966년 12월 ~ 1967년 2월|| || '''녹음실''' ||[[미국]]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히츠빌 U.S.A.|| || '''장르''' ||[[팝 음악|팝]], [[소울 음악|소울]]|| || '''길이''' ||2:28|| || '''작사/작곡''' ||애쉬포드 & 심슨|| || '''프로듀서''' ||하비 푸쿠아, 조니 브리스톨|| || '''레이블''' ||[[모타운|탐라]]|| || '''B-사이드''' ||Give a Little Love||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in't_No_Mountain_High_Enough.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빈 게이]]와 태미 터렐의 싱글이며 이 둘의 합작 앨범 United의 첫 싱글로 1967년 4월 20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Ain't No Mountain High Enough는 1967년 [[마빈 게이]]와 타미 테렐의 앨범 United에서 처음 발표된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사랑받으며 많은 리메이크가 이루어지고 있는 노래다. [[1967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87위에 올랐다. 영화 [[리멤버 타이탄]]에서 이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유명하다. == 가사 == ||[Verse 1: Marvin Gaye & Tammi Terrell] Listen, baby Ain't no mountain high Ain't no valley low Ain't no river wide enough, baby If you need me, call me No matter where you are No matter how far Don't worry, baby Just call my name I'll be there in a hurry You don't have to worry 'Cause, baby, there [Chorus: Marvin Gaye & Tammi Terrell]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Ain't no valley low enough Ain't no river wide enough To keep me from gettin' to you, babe [Verse 2: Marvin Gaye & Tammi Terrell] Remember the day I set you free I told you you could always count on me, darling From that day on, I made a vow I'll be there when you want me, someway, somehow Oh, baby, there [Chorus: Marvin Gaye & Tammi Terrell]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Ain't no valley low enough Ain't no river wide enough To keep me from gettin' to you, babe [Bridge: Marvin Gaye & Tammi Terrell] Oh, no, darlin' No wind, no rain Or winter's cold Can stop me, baby (No, no, baby) 'Cause you are my goal If you're ever in trouble I'll be there on the double Just send for me, oh, baby, ha [Verse 3: Tammi Terrell & Marvin Gaye] My love is alive (Woo) Way down in my heart Although we are miles apart If you ever need a helpin' hand I'll be there on the double Just as fast as I can Don't you know that there [Chorus: Marvin Gaye & Tammi Terrell]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Ain't no valley low enough Ain't no river wide enough To keep me from gettin' to you, baby Don't you know that there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Ain't no valley low enough Ain't no river wide enough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Ain't no valley low enough|| == 여담 == * [[모타운]]의 장기인 프로듀싱과 마빈 게이의 엄청난 가창력이 빛나는 곡이다. 그래서 길이는 짧지만 음이 높고 소울 넘치는 보컬을 살리기가 쉽지 않아 꽤 어려운 곡. * 안타깝게도 타미 테렐은 발표 3년 후인 1970년 3월 16일에 뇌종양과 수술 합병증으로 요절하고 말았다. 명반을 만들어낸 파트너의 죽음에 마빈은 큰 충격을 받게 되었고, 이듬해에 발표한 앨범이 그 유명한 [[What's Going On]]. 그러나 그도 결국 1984년에 요절하며 1967년 버전의 원곡자들은 모두 별세하고 말았다. * [[시스터 액트 2]]의 OST로 삽입되었다. * [[리멤버 타이탄]]의 주제가로 쓰였다.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영화)|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OST로 삽입되었다.[[https://youtu.be/XuYmQ-WRMFE|#]] 영화 안에서는 [[스타로드(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스타로드]]의 어머니 메레디스 퀼이 남겨준 끝내주는 노래 VOL.2의 수록곡이지만, 공식 앨범에서는 편의를 위해 [[I Want You Back]]과 함께 VOL.1 음반에 편입시켰다. 자세한 내용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실사영화 시리즈/사운드트랙|문서]] 참조. == [[다이애나 로스]]의 1970년 커버 버전 == ||
<-5><#000000> '''{{{#FFFFFF [[Diana Ross]]의 싱글}}}''' || || "Reach Out and Touch"[br](1970) ||<|2> → || '''Ain't No Mountain High Enough'''[br](1970) ||<|2> → || "Remember Me"[br](1970) || ||
<:><-2> '''{{{+1 {{{#ffffff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 ||<-5><:> [[파일:Ain't_No_Mountain_High_Enough_Diana_Ross.jpg|width=340]] || ||<:><#7d7d7c> {{{#ffffff '''수록 음반'''}}} ||<(> Diana Ross || ||<:><#7d7d7c> {{{#ffffff '''아티스트'''}}} ||<(> [[Diana Ross]] || ||<:><#7d7d7c> {{{#ffffff '''B-Side'''}}} ||<(> "Can't It Wait Until Tomorrow"[br](7인치 싱글) || ||<:><#7d7d7c> {{{#ffffff '''발매일'''}}} ||<(> 1970년 7월 16일 || ||<:><#7d7d7c> {{{#ffffff '''녹음 기간'''}}} ||<(> 1970년 3월 13일 ~ 14일, 1970년 3월 18일 || ||<:><#7d7d7c> {{{#ffffff '''스튜디오'''}}} ||<(> [[모타운|히츠빌 U.S.A. 스튜디오 A]]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 ||<:><#808080> {{{#ffffff '''장르'''}}} ||<(> [[소울 음악|소울]] || ||<:><#808080> {{{#ffffff '''재생 시간'''}}} ||<(> 6:18 (앨범 버전) || ||<:><#808080> {{{#ffffff '''레이블'''}}} ||<(> [[Motown]] || ||<:><#808080> {{{#ffffff '''송라이터'''}}} ||<(> Nickolas Ashford, Valerie Simpson || ||<:><#808080> {{{#ffffff '''프로듀서'''}}} ||<(> Nickolas Ashford, Valerie Simpson || [clearfix] === 개요 === [[다이애나 로스]]의 싱글이며 그녀의 솔로 데뷔 앨범 Diana Ross의 두번째 싱글로 1970년 7월 16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1970년 발표된 [[다이애나 로스]]의 버전 역시 흥행과 비평 모두 큰 성공을 거두었다. 같은 해 [[슈프림스]]에서 탈퇴한 후 거둔 첫 [[빌보드 핫 100]] 1위 곡이다. === 오디오 === [youtube(EjCz_sUVZ5U)] === 가사 === ||[Intro] Aaaah, aaah Aaaah, ooh Oooh Ooh, aaaah, aaah Aaaah, ooh Oooh, ooh [Verse 1] If you need me, call me No matter where you are No matter how far Just call my name I'll be there in a hurry On that you can depend and never worry You see, my love is alive It's like a seed that only needs the thought of you to grow So if you feel the need for company Please, my darling, let it be me [Chorus] Aah-aah, ooh Aaah aah Aaah aah aah Oooh, ooh [Verse 2] I may not be able to express The depth of the love I feel for you But a writer put it very nicely When he was away from the one he loved He sat down and wrote these words: [Bridge] No wind (no wind), no rain (no rain) Nor winter's cold Can stop me, babe (oh, babe), baby (baby) If you're my goal (Oh) No wind (no wind), no rain (no rain) Can stop me, babe If you are my goal [Chorus] Aah-aah aah Aaah, ooh, aah Aaah, aah ah Oooh, ooh [Verse 3] I know, I know you must follow the sun Wherever it leads But remember If you should fall short of your desires Remember life holds for you one guarantee You'll always have me And if you should miss my lovin' One of these old days If you should ever miss the arms That used to hold you so close Or the lips that used to touch yours so tenderly Just remember what I told you The day I set you free [Refrain 1]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Aah) Ain't no valley low enough (Ooh) Ain't no river wide enough (Ah, oh) To keep me from you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Ow!) Ain't no valley low enough (Say it again) Ain't no river wide enough (Hey, hey) To keep me from you [Refrain 2]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Nothing can keep me Keep me from you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No) Nothing can keep me Keep me from you [Outro]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Oh, oh) Ain't no valley low enough (Say it again) Ain't no river wide enough (Again, again) To keep me from you (Ooh)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Ain't no valley low enough Ain't no river wide enough (Nothing can keep me) Keep me from you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Nothing in this world) Ain't no valley low enough (Nothing in this world) Ain't no river wide enough (Can keep me from you, babe) Keep me from you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Just call my name) Ain't no valley low enough (I'll be there in a hurry) Ain't no river wide enough (Just call my name) Keep me from you (I'll be right there)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Ain't no valley low enough Ain't no river wide enough (Nothing can keep me) Keep me from you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Ooh) Ain't no valley low enough (Say it again) Ain't no river wide enough (Oh, say it like you feel it) Keep me from you Ain't no mountain high enough (No wind, no rain) Ain't no valley low enough (Can stop me now)||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70년 10월 첫째 주에 1주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70년 9월 셋째 주부터 10월 첫째 주까지 3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70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6위, 1970년 빌보드 R&B 연말 차트에선 16위에 올랐다. [[분류:마빈 게이]][[분류:모타운 음반]][[분류:빌보드 핫 100 19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3위 노래]][[분류:1967년 노래]][[분류:1967년 싱글]][[분류:팝]][[분류:소울 음악]][[분류:애쉬포드 & 심슨]][[분류:조니 브리스톨]][[분류:다이애나 로스]][[분류:1970년 노래]][[분류:1970년 싱글]][[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Dolby Atmos 지원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