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ASEAN)] ||<-6> '''{{{#FFFF00 {{{+1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br]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 ||<-3> [[파일:ASEAN 깃발.svg|width=90%]] ||<-3> [[파일:ASEAN 문장.svg|width=70%]] || ||<-3> {{{#FFFF00 '''깃발'''}}} ||<-3> {{{#FFFF00 '''엠블럼'''}}} || ||<-2> {{{#FFFF00 '''설립'''}}} ||<-4>[[1967년]] [[8월 8일]] || ||<-2> {{{#FFFF00 '''찬가'''}}} ||<-4>[[https://youtu.be/KODKSNiVd7E|ASEAN Anthem]] || ||<-2> {{{#FFFF00 '''본부'''}}} ||<-4>[[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2> {{{#FFFF00 '''수장국'''}}} ||<-4>[[인도네시아]] || ||<-2> {{{#FFFF00 '''회원국'''}}} ||<-4>10개국 || ||<-2> {{{#FFFF00 '''공용어'''}}} ||<-4>[[영어]] 및 10개 || ||<-2> {{{#FFFF00 '''사무총장'''}}} ||<-4>[[브루나이|[[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28px]]]] 림 족 호이 || ||<-2> {{{#FFFF00 '''정부 형태'''}}} ||<-4>[[국가연합]] || ||<-2> {{{#FFFF00 '''면적'''}}} ||<-4>4,436,000 km² (세계 전체의 3.4%) || ||<-2> {{{#FFFF00 '''인구'''}}} ||<-4>약 6억 6739만 명([[2021년]])[* 대략 미국의 2배 정도 된다.] || ||<|2> {{{#FFFF00 '''GDP[br](명목)'''}}} || {{{#FFFF00 '''전체'''}}} ||<-4>3조 3560억 달러([[2021년]]) [* 세계 은행 GDP current US$ (2021)] || || {{{#FFFF00 '''1인당'''}}} ||<-4>4849 달러([[2021년]]) [* 인도네시아가 평균치에 가장 가깝다.] || ||<|2> {{{#FFFF00 '''GDP[br](PPP)'''}}} || {{{#FFFF00 '''전체'''}}} ||<-4>8조 9930억 달러([[2021년]]) [* 세계 은행 GDP, PPP current international $ (2021)]|| || {{{#FFFF00 '''1인당'''}}} ||<-4>1만 3475달러([[2021년]]) || ||<-2> {{{#FFFF00 '''수출'''}}} ||<-4>1조 946억 달러 || ||<-2> {{{#FFFF00 '''수입'''}}} ||<-4>1조 226억 달러 || ||<-2>
{{{#FFFF00 '''언어별 명칭'''}}}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한국어|{{{#FFFF00 한국어}}}]]'''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 || '''[[영어|{{{#FFFF00 영어}}}]]''' ||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 || '''[[일본어|{{{#FFFF00 일본어}}}]]''' || '''東南アジア諸国連合''' || || '''[[간체자|{{{#FFFF00 중국어[br](간체)}}}]]''' || '''东南亚国家联盟''' || || '''[[번체자|{{{#FFFF00 중국어[br](번체)}}}]]''' || '''東南亞國家聯盟''' || || '''[[러시아어|{{{#FFFF00 러시아어}}}]]''' || '''Ассоциация стран Юго-Восточной Азии''' || || '''[[몽골어|{{{#FFFF00 몽골어}}}]]''' || '''Зүүн өмнөд Азийн орнуудын холбоо''' || || '''[[인도네시아어|{{{#FFFF00 인도네시아어}}}]]''' || '''Perhimpunan Bangsa-bangsa Asia Tenggara''' || || '''[[필리핀어|{{{#FFFF00 필리핀어}}}]]''' ||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 || '''[[말레이어|{{{#FFFF00 말레이어}}}]]''' || '''Persatuan Negara-negara Asia Tenggara''' || || '''[[타밀어|{{{#FFFF00 타밀어}}}]]''' || '''தென்கிழக்கு ஆசிய நாடுகள் சங்கம்''' || || '''[[태국어|{{{#FFFF00 태국어}}}]]''' || '''สมาคมประชาชาติแห่งเอเชียตะวันออกเฉียงใต้''' || || '''[[베트남어|{{{#FFFF00 베트남어}}}]]''' || '''Hiệp hội các quốc gia Đông Nam Á''' || || '''[[미얀마어|{{{#FFFF00 버마어}}}]]''' || '''အရှေ့တောင်အာရှနိုင်ငံများအဖွဲ့''' || || '''[[라오어|{{{#FFFF00 라오어}}}]]''' || '''ສະມາຄົມປະຊາຊາດອາຊີຕາເວັນອອກສ່ຽງໃຕ້''' || || '''[[크메르어|{{{#FFFF00 크메르어}}}]]''' || '''សមាគមប្រជាជាតិអាស៊ីអាគ្នេយ៍''' ||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Rswa_M1xKuo)]|| || 7 Things you need to know about ASEAN[* 2014년 영상이다.] || ||[youtube(XY9fSljWKHY)]|| || ASEAN and it's member countries[* 2012년 영상이다.] || 아세안은 1967년에 설립된 준 국가연합이며 국제기구이다. 궁극적으로 [[유럽연합]]과 같은 국가연합이 되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이들은 [[동남아시아]]의 [[정치]], [[경제]], [[안보]], [[사회]], [[문화]] [[공동체]]이다. 매년마다 정상회의를 개최하며 주로 11월에 일정을 잡는다. 본래 설립되었을 때까지만 해도 [[반공]]국가들만의 모임에 가까웠지만 1990년대 냉전붕괴 이후로 의미가 없어진 데다가 [[공산주의|공산]]국가인 베트남과 라오스가 개혁개방의 길로 접어든 탓에 굳이 반공국가들만의 모임으로 남아있을 필요성이 없어졌고[* 심지어 현 국제정세상 [[동맹의 역전|아세안 가입국 중 반중 성향이 제일 강한 나라는 베트남이다.]]] 1995년과 1997년에 베트남, 라오스 및 미얀마를 회원국으로 받아들이면서 전체 동남아 지역을 포괄하는 협의체가 되었다. 본 연합체는 내전 등 어떠한 일이 터지더라도 회원국 간 내정간섭을 하지 않는 걸 원칙으로 삼고 있다.[* 이 때문에 2021년에 미얀마 쿠데타 군부를 초청할 지에 대해 회원국들 사이에서 내정간섭 논란이 있었고, 결국 초청에서 제외하였다. 미얀마 군부는 이에 대해 아세안 헌장 위반이라고 반발하였다.[[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11023_0001624413|#]]] 아세안은 동남아시아의 거대한 지역 공동체로 성장하고 있다. [[2015년]]에 '''ASEAN 공동체(ASEAN Community)'''를 출범하였는데 정치안보(ASEAN Political-Security Community: APSC), 경제(ASEAN Economic Community: AEC), 사회문화(ASEAN Socio-Cultural Community: ASCC) 등 3대 분야의 공동체로 구성되어 있다.[[https://www.aseankorea.org/kor/ASEAN/overview.asp|자료는 (한-아세안 센터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이러한 공동체를 통하여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동남아시아의 위상을 드높여 ASEAN+3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동아시아 공동체(EAc, East Asia community) 형성에 주도적 역할을 계속해 나간다는 내부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본부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있다. == 아세안 헌장 == 2008년 12월 15일 아세안은 헌장을 발표했다. 이 헌장은 지역공동체의 헌법 구실을 하게 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가입국 == [[파일:asean-map.jpg]] 가장 나중에 독립한 [[동티모르]]를 제외한 나머지 10개 동남아 국가들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동티모르도 꾸준히 가입 의향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조만간 동티모르를 포함한 동남아 국가 전체의 가입이 현실화될 전망. || 등급 || 국명 || [[인구]][* 네이버 세계 인구순위 UN (2020)] || [[GDP|GDP(명목)]][* 세계 은행 GDP current US$ (2019)] || [[1인당 GDP|1인당 GDP]][* 세계 은행 GDP per capita current US$ (2019)] || 가입년도 || ||<|10> 회원국 ||[[인도네시아]] ||2억 7352만 3621명(4위) ||1조 1191억 9078만 752.8달러(16위)|| 4135.6 달러 || [[1967년]] || ||[[태국]] ||6979만 9978명(20위) ||5436억 4997만 6165.6 달러(23위) || 7808.2달러 || [[1967년]] || ||[[필리핀]] ||1억 958만 1085명(13위) ||3767억 9550만 8679.7달러(33위)|| 3485.1달러 || [[1967년]] || ||[[말레이시아]] ||3236만 5998 명(45위) ||3647억 151만 7787.8 달러(36위)|| 1만 1414.8달러 || [[1967년]] || ||[[싱가포르]] ||585만 343명(113위) ||3720억 6252만 7488.6달러(34위)|| 6만 5233.3달러 || [[1967년]] || ||[[브루나이]] ||43만 7483명(174위) ||134억 6942만 2941.4달러(127위)|| 3만 1086.8달러 || [[1984년]] || ||[[베트남]] ||9733만 8583 명(15위) ||2619억 2124만 4843.2달러(45위)|| 2715.3달러 || [[1995년]] || ||[[라오스]] ||727만 5556 명(104위) ||181억 7383만 9128.3달러(112위)|| 2534.9달러 || [[1997년]] || ||[[미얀마]] ||5440만 9794명(26위) ||760억 8585만 2620 달러(69위)|| 1407.8달러 || [[1997년]] || ||[[캄보디아]] ||1671만 8971 명(71위) ||270억 8938만 9787달러(98위)|| 1643.1달러 || [[1999년]] || || 가입 후보국 ||[[동티모르]] ||131만 8445명(155위) ||16억 7354만 300달러(164위)|| 1294.2 달러 ||[2022년 가입 동의] || == 아세안의 [[경제]] == === 아세안 가입국의 [[GDP(PPP)]][* [[https://www.imf.org/external/datamapper/PPPGDP@WEO/OEMDC/ADVEC/WEOWORLD]]] === || 회원국 || [[2012년]] || [[2016년]] || [[2020년]] || [[2024년]](추정) || ||[[인도네시아]] || 2,413.435 || 2,744.897 || 3,328.288 || 4,436.677 || ||[[태국]] || 1,008.787 || 1,146.218 || 1,261.485 || 1,608.271 || ||[[말레이시아]] || 677.647|| 783.874 || 900.426 || 1,236.093 || ||[[필리핀]] || 612.131 || 798.601 || 933.913 || 1,306.383 || ||[[베트남]] || 568.401 || 770.872 || 1,047.318 || 1,486.083 || ||[[싱가포르]] || 435.965 || 501.213|| 551.628 || 674.58 || ||[[미얀마]] || 182.371 || 213.835 || 275.513 || 377.993 || ||[[캄보디아]] || 42.401 || 57.942 || 74.348 || 105.988 || ||[[라오스]] || 31.202 || 46.85 || 59.736 || 79.931 || ||[[브루나이]] || 35.21 || 23.633 || 28.47 || 34.312 || ||합계 || 6,007.55 || 7,087.935 || 8,461.125 || 11,346.311 || * 단위: 10억 달러 == 공동 협력 == 아세안 차원의 공동 무기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2011년]] [[5월 19일]] 아세안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국방장관 회담을 개최했다. 아세안은 이 회담에서 각 군의 표준장비가 될 군사무기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방안을 협의할 전망이다.[[http://www.chinawatch.co.kr/chinawatch.php3?_Number=45200|(아세안, 무기 공동개발 추진..對中 분쟁 겨냥).]] 이와는 별도로 인도네시아가 도입한 [[시그마급]]을 베트남도 도입하려고 추진 중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국방장관 회담과 연계되는 흐름일 수도 있기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에서는 ASEAN+3개국 체제의 협력 외에는 그동안 별 볼일 없이 지내왔으나,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대아세안 외교수준을 [[유럽연합]]과 함께 4강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과 동등한 수준으로 격상하려 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장 재임 중 동남아 주요 인사와 관계를 맺어온 [[박원순]] 서울시장을 아세안 특사로 보냈는데, 이는 ASEAN 창설 이후 처음이다. 게다가 한국이 아세안과 경제협력을 추진하고 [[신남방정책]]을 추진할려고 하자 일본 측은 관세를 낮추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15&aid=0003850135|#]] 또한, 2020년에도 한국, 일본, 중국간의 아세안에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1343786|#]][[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1343793|#]][[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1343794|#]] 아세안은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군용기 간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한 다자간 가이드라인을 도입키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412920|#]] 2019년에 [[미국-중국 무역 전쟁]]이 발생되면서 아세안의 對중국 교역이 약화되자 한국은행은 보고서를 통해 한국과 아세안이 협력확대전망을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1&aid=0000481739|#]] 그리고 아세안 사무총장은 한국의 무역균형을 맞추기 위해 추가 자유화는 아세안 상품의 수출이 우선시돼야 한다는 게 아세안의 견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761285|#]] 한국 측에서도 아세안과의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1066560&isYeonhapFlash=Y&rc=N|#]] 신남방정책에 맞춰 교역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BNK금융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아세안이 중국에 이어 동남권 교역대상국 2위에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187485|#]] 코이카와 코트라는 2020년 3월 27일에 중소·중견기업의 신남방국가 진출을 돕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503451|#]] [[러시아]]도 아세안 국가들과는 소련 시절부터 외교관계를 맺어왔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는 러시아에서 [[Su-27]]이나 [[Su-30]], [[MiG-29]], [[Mi-24]] 같은 러시아제 군용기들을 구입하는 경우도 많고, 브루나이는 러시아로도 무비자로 갈 수 있다. [[필리핀]]은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러시아와 협력을 하고 있고 베트남은 중국견제를 위해 러시아와 국방 협력을 자주 하고 있다. 2021년 12월 1일에 러시아 해군과 아세안의 첫 해상 연합훈련이 실시됐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201165700080?section=international/europe|#]] [[NTT데이터]], [[미쓰비시 상사]], [[일본통운]] 등 18개 일본 업체로 구성된 [[컨소시엄]]은 베트남을 시작으로 아세안의 무역체계를 디지털로 추진하는 것을 돕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794499|#]] 아세안과 손을 잡으려는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어서 40개국이 아세안과 협력조약을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006756|#]] 2021년부터 영국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3&aid=0010650318|#]] === 스포츠 === ==== 축구 ==== 아세안 회원국 10개국과 동티모르까지, 동남아시아 11개국의 축구협회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 산하의 5개 지역 연맹 중 '''[[아세안 축구 연맹]](AFF)'''에 소속되어 있다.[* 나머지 네 곳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동아시아]](EAFF), [[서아시아 축구 연맹|서아시아]](WAFF), [[남아시아 축구 연맹|남아시아]](SAFF),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중앙아시아]](CAFA).] 권역 내 최고 권위의 대회로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이하 [[스즈키(자동차)|스즈키]]컵)'가 있다. 세계 축구에서 약체로 분류되는 아시아에서도 상당히 약체인 권역이다. 그래도 회원국들의 가파른 경제성장에 힘입어 실력의 상향평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터라, 바로 옆의 --진짜 동네북-- [[남아시아 축구 연맹|남아시아]]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참고로 뜬금없지만 '''[[호주]]'''도 AFF 소속이다. 2013년부터 정회원국이 되었다. 이는 [[호주 축구 연맹]]이 2005년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에서 AFC로 편입되면서 자연히 5개 지역 연맹 중 한 곳에 가입을 해야 했는데, 이는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곳이 동남아시아라서 이곳에 가입한 것이다.[* 하지만 인종, 문화적인 면에서 기존의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결정적으로 여타 동남아시아 축구 대표팀과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실력 차이는 매우 크기 때문에 호주는 AFF의 회원국임에도 스즈키컵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이 스즈키컵에 참여하게 될 경우 말 그대로 [[밸런스 붕괴]] 상태가 되며, 기존 AFF 회원국들에겐 "동남아시아 국가도 아니면서 우승 트로피 가져가려 한다"는 불만을, 호주 축구팬들에겐 "그런 수준 낮은 대회에 왜 참가해서 시간, 체력 낭비하냐"는 불만을 사게 될 확률이 높다.][* 주최측인 AFF 입장에선 당연히 호주가 스즈키컵에 참가해준다면 대회 수준이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에, AFF 총회 때마다 호주의 스즈키컵 참가를 꾸준히 논의하고 있다. [[2019 AFC 아시안컵 아랍 에미리트|2019 AFC 아시안컵]] 이후 호주 축구 연맹에서 2020년 스즈키컵 참가를 고려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이유는 "동남아시아의 축구 수준이 많이 높아졌으며, 더이상 호주가 스즈키컵에 참가하지 않을 이유는 없다"라고.] AFF는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년 카타르 월드컵]] 개최에 자극을 받아 2030년 [[FIFA 월드컵]]을 아세안 회원국이 공동 개최하겠다는 포부도 드러내고 있다([[http://ytn.co.kr/_ln/0104_201102281036266325|기사]]). 하지만 걸림돌이 많아서 성사시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이미 [[대한민국|한국]]과 [[일본]]이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년 월드컵]]을 공동 개최한 바 있으나, 2002년 대회 이후 세계 축구계에서 공동 개최 회의론이 퍼져서 이 여론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물론 이 회의론이 무색하게 [[2026 FIFA 월드컵 캐나다·멕시코·미국|2026년 월드컵은 '''캐나다·멕시코·미국''' 3개국의 공동 개최로 치러질 예정이다.]]] 게다가 아세안은 현재의 회원국만 따져도 무려 10개국이라 이 역시 문제가 될 것이다. 현재 규정대로라면 여태까지 월드컵에 진출하지 못한 10개국이 동시에 자동 본선 진출을 시켜줘야 하니 대회 규칙도 변경해야 할 것이다. 아세안 공동 개최와 무관하게 월드컵 본선 참가국 수를 늘리자는 제안이 이미 있긴 하지만, 기존 규칙을 유지해도 대회 개최가 가능한 다른 나라들과 달리 아세안은 사실상 반드시 규칙을 바꿔야 개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불리함을 안고 있다. 게다가 결정적으로 인도네시아를 빼고는 회원국 중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경력이 있는 나라가 2021년 현재까지 아예 '''없다.''' 그 인도네시아도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절이었던 '''1938년''' 딱 한 번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던 것이고, 독립 이후엔 한 번도 진출한 적이 없다. 이 점도 유치전에서 핸디캡으로 작용할 것이다. === 대학 간 협력 === [include(틀:아세안(ASEAN) 대학 네트워크)] == 가입 시도 국가 == 아세안에 가입하려면 아세안 회원국 모두의 동의가 필요하다.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출력=, 크기=40)] [[호주]] === 호주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호주가 아세안에 가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2000년대 초반까지 아세안에 가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호주의 가상적국인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반대, 호주 국내 여론의 무관심과 반동남아시아 정서 때문에 가입이 성사되지 못했고 더 이상 아세안에 가입하려는 정부 차원의 직접적인 제스처는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2018년]] 인도네시아가 입장을 바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961425|호주의 아세안 가입을 지지]]한다는 의사를 표했다. 다만 호주가 아세안에 가입하려고 한다면 [[친중]] 국가인 [[캄보디아]]와 [[라오스]]가 반대할 가능성이 있다. 호주의 싱크탱크에서 [[호주]]와 [[뉴질랜드]]가 아세안에 가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https://ipdefenseforum.com/ko/2018/03/%EB%B3%B4%EA%B3%A0%EC%84%9C-%ED%98%B8%EC%A3%BC%EC%9D%98-asean-%EA%B0%80%EC%9E%85-%EC%B4%89%EA%B5%AC/|#]] === [include(틀:국기, 국명=동티모르, 출력=, 크기=40)] [[동티모르]] === 2002년에 인도네시아에서 독립한 동티모르는 독립 직후부터 아세안에 관심을 보여왔다. 2005년에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가입 의향을 보였으며, 2011년에 공식적으로 가입 신청을 하여 가입후보국 지위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싱가포르]]와 [[라오스]]의 반대로 인해 현재도 가입하지 못하고 있다. 의외로 인도네시아는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에 찬성하고 있다. 2022년, 동티모르의 '원칙적(in practice)'아세안 가입이 승인되었다. 다음 회의부터 아세안 내 모든 회의에 참석할 수 있게 된다. 원칙적이란 큰 방향성, 골격에는 모두 합의하되, 구체적인 이행사항 등에 대해서는 추후 보완해 나간다는 의미로, 이들을 갖추고나서 진정한 아세안 회원국이 될 것으로 보인다. === [include(틀:국기, 국명=파푸아뉴기니, 출력=, 크기=40)] [[파푸아뉴기니]] === 파푸아뉴기니 역시 아세안 창설 당시부터 아세안에 관심을 보여왔다.[* 파푸아뉴기니는 오세아니아지만 문화적이나 이런 면에서는 아시아하고 비슷한 면이 있다.] 그러나 아세안 회원국 중 인도네시아만이 가입을 지지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는 관심이 없거나 반대하고 있다. 주요 이유는 파푸아뉴기니의 경제적 발달 정도가 너무 미진하다는 것이다. == 아세안과 다른 지역 간의 협력과 회의 == * ASEAN+3 아세안에 [[대한민국]], [[중국]], [[일본]]을 더한 협력 포럼이다. * [[동아시아 정상회의]](East Asia Summit, EAS) ASEAN+3보다 더 넓혀서 [[뉴질랜드]], [[러시아]], [[미국]], [[호주]], [[인도]]까지 포함시켜서 개최하는 정상회의이다. EAS 때문에 ASEAN+3의 중요성이 떨어지는 추세인 듯하다. * 아세안 지역안보포럼(ASEAN Regional Forum, ARF) EAS보다 더 확대된 포럼이다. EAS 참가국이 아닌 ARF 참가국·단체로는 [[동티모르]], [[몽골]], [[방글라데시]], [[북한]], [[스리랑카]], [[유럽연합]], [[캐나다]],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등이 있다. * [[RCEP]] ASEAN에다가 [[대한민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를 합친 [[자유무역협정]]. === 한-아세안 정상회의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ASEAN_Republic_of_Korea_Commemorative_Summit_Members.svg.png]] 아세안, 아세안+3가 열릴 때, 일반적으로 함께 개최된다. ||
차수 || 날짜 || 장소 || || 1차 || 1997년 12월 || 말레이시아 || || 2차 || 1998년 12월 || 베트남 || || 3차 || 1999년 11월 || 필리핀 || || 4차 || 2000년 11월 || 싱가포르 || || 5차 || 2001년 11월 || 브루나이 || || 6차 || 2002년 11월 || 캄보디아 || || 7차 || 2003년 10월 || 인도네시아 || || 8차 || 2004년 11월 || 라오스 || || 9차 || 2005년 12월 || 말레이시아 || || 10차 || 2007년 01월 || 필리핀 || || 11차 || 2007년 11월 || 싱가포르 || || 12차 || 2009년 10월 || 태국 || || 13차 || 2010년 10월 || 베트남 || || 14차 || 2011년 11월 || 인도네시아 || || 15차 || 2012년 11월 19일 || 캄보디아 프놈펜 || || 16차 || 2013년 10월 09일 ||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 || || 17차 || 2015년 11월 22일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 18차 || 2016년 09월 07일 || 라오스 비엔티엔 || || 19차 || 2017년 11월 13일 || 필리핀 마닐라 || || 20차 || 2018년 11월 14일 || 싱가포르 || || 21차 || 2020년 11월 12일 || 베트남 하노이 [*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하여 화상 회의로 개최] || || 22차 || 2021년 10월 26일 ||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 [*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하여 화상 회의로 개최] || || 23차 || 2022년 11월 11일 || 캄보디아 프놈펜 || || 24차 || 2023년 09월 06일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ASEAN_Republic_of_Korea_Commemorative_Summit_Members.svg.png]]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ASEAN-Republic of KOREA Commemorative Summit)는 [[대한민국]]과 아세안 10개국 사이에 개최하는 정상회의이다. 아세안, 아세안+3과 함께 열리는 일반적인 한-아세안 정상회의와는 다르다.[* 따라서 차수에 포함되지도 않는다.] [[2009년]]과 [[2014년]], [[2019년]]에 개최되었다.[* 각 관계수립 20주년, 25주년, 3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에서 열린다.] ||
순번 || 날짜 || 장소 || 비고 || || 1 || 2009년 06월 01일 ~ 02일 || [[제주특별자치도]] || 20주년 기념 || || 2 || 2014년 12월 11일 ~ 12일 || [[부산광역시]] || 25주년 기념 || || 3 || 2019년 11월 25일 ~ 26일 || [[부산광역시]] || 30주년 기념 || || 4 || 2020년 12월 23일 ~ 24일 || [[울산광역시]] || || == 논란 == [[2021년 미얀마 쿠데타]] 이후 사실상 [[미얀마]] 군부를 옹호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후 합의문 준수를 요구하였지만, 미얀마 군부가 거부하자 그 동안의 태도를 바꾸어 [[https://m.yna.co.kr/view/AKR20211015069300076?section=international/all|미얀마를 고립시키는 중]]이다. 미얀마 군부 수장의 참석도 불가능하게 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016032551077?section=international/all|#]] 계속 배제할지는 불확실하다.[[https://m.yna.co.kr/view/AKR20211029078900076?section=international/all|#]] 2022년에는 의장국인 캄보디아가 미얀마 군정을 인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여 아세안 다른 회원국 사이에서 비판이 일자 결국 미얀마 군부 초청을 포기하였다.[[https://m.yna.co.kr/view/AKR20220203086100076?section=international/all|#]] == 관련 문서 == * [[ASEAN-5]] * [[유럽연합]] * [[OIC]] * [[스프래틀리 군도]] * [[남중국해]] * [[동남아시아]] * [[인도차이나]] * [[동남아시아/군사]] * [[RCEP]] * [[미국-아세안 관계]] * [[한국-아세안 관계]] * [[일본-아세안 관계]] * [[중국-아세안 관계]] == 둘러보기 == [include(틀:라오스 관련 문서)] [include(틀:말레이시아 관련 문서)] [include(틀:미얀마 관련 문서)] [include(틀:베트남 관련 문서)] [include(틀:브루나이 관련 문서)] [include(틀:싱가포르 관련 문서)] [include(틀:인도네시아 관련 문서)] [include(틀:캄보디아 관련 문서)] [include(틀:태국 관련 문서)] [include(틀:필리핀 관련 문서)] [[분류:AS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