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2023-24 시즌, rd1=AS 로마/2023-24 시즌)] [include(틀:세리에 A)] [include(틀:AS 로마/관련 문서)] ||<-2> [[파일:AS 로마 로고.svg|width=250]] || ||<-2><#990a2c> '''{{{#fbba00 {{{+1 AS 로마}}}}}}''' || ||<-2><#fbba00> '''{{{#000 {{{+1 AS Roma}}}}}}''' || || '''정식 명칭''' ||Associazione Sportiva Roma S.p.A. || || '''[[축구단 별명|{{{#fbba00 별칭}}}]]''' ||Giallorossi (노랑-빨강), La Lupa (늑대), La Magica (마법의 팀), Lupi (늑대들)[* [[이탈리아어]]에서 i가 붙으면 남성형 복수 명사가 된다.] || || '''약칭''' ||'''ROM''' || || '''창단''' ||[[1927년|{{{#000,#ddd 1927년}}}]] [[6월 7일|{{{#000,#ddd 6월 7일}}}]] '''^^([age(1927-06-07)]주년)^^'''[* [[https://www.asroma.com/it/club/storia/la-storia-di-as-roma|#]]][*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창단일이 같다. 딱 20년 차이.] || || '''소속 리그''' ||[[세리에 A]] (Serie A) || || '''연고지''' ||[[라치오|라치오주]] [[로마|로마시]] || || '''홈구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Stadio Olimpico)[* 라이벌인 SS 라치오와 같이 사용하고 있다. 2020년부터는 [[스타디오 델라 로마]]를 이용할 예정이었는데, [[로마]]시와의 갈등 때문에 [[2020년]] 현재 아직 삽조차도 뜨지 못했다.][br](70,634명 수용) || || '''라이벌''' ||'''[[SS 라치오|{{{#84d8f8 SS 라치오}}}]] - [[데르비 델라 카피탈레]] (Derby della Capitale)'''[* 수도권 더비라는 뜻이다. 국내에서는 로마 더비라는 말이 더욱 익숙하다.] [br] '''[[SSC 나폴리|{{{#1a90cd SSC 나폴리}}}]] - [[데르비 델 솔레]] (Derby del Sole)'''[* [[태양]]의 더비라는 뜻이다.] || || '''소유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댄 프리드킨 (Dan Friedkin)[* 1965년생으로 [[미국]] 재벌 기업 프리드킨 그룹 회장이다. [[윌리엄 프리드킨]]과 아무 연관 없지만 둘 다 [[유태인]]. 아버지 토머스 프리드킨(1935~2017)은 사업가이면서도 비행사이자 배우이기도 했는데 윌리엄 프리드킨과 동갑이었다.] || || '''단장(스포츠 디렉터)'''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플로랑 기솔피 (Florent Ghisolfi)[[https://www.asroma.com/en/news/71244/florent-ghisolfi-to-become-the-new-as-roma-technicaldirector|#]] || || '''감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다니엘레 데 로시]] (Daniele De Rossi) || || '''주장'''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a2c; font-size: 0.5em" {{{#fbba00 '''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로렌초 펠레그리니]] (Lorenzo Pellegrini) || || '''부주장'''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9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90a2c; font-size: 0.5em" {{{#fbba00 '''V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잔루카 만치니]] (Gianluca Mancini)[* 3주장은 [[브라얀 크리스탄테]], 4주장은 [[크리스 스몰링]].] || || '''[[영구 결번/스포츠#s-3.8.1.1|{{{#fbba00 임시 결번}}}]]''' ||{{{#!wiki style="background-color: #990a2c; margin: 0px; border-radius: 10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20px; text-align: center" {{{#fbba00 '''10'''}}}}}}[* 암묵적으로 번호를 쓰고 있지 않을 뿐 공식적으로 영구결번으로 지정된 것은 아니다.[[https://n.news.naver.com/sports/wfootball/article/382/0000599933|#]] [[파울로 디발라]]가 로마에 입단했을 때, 10번을 쓸 수 있었지만 본인이 거절했던 것을 보면 알 수 있는 사실이다.[[https://n.news.naver.com/sports/wfootball/article/411/0000012664|#]] 이에 대해 토티는 젊고 재능있는 선수들은 10번 셔츠를 입기를 원한다면서 클럽이 동의한다면 자신은 언제나 10번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프란체스코 토티]] (Francesco Totti) || || '''UEFA 랭킹''' ||7위 [[https://www.uefa.com/nationalassociations/uefarankings/club/#/yr/2024|출처]] || || '''공식 웹사이트''' ||[[https://www.asroma.com|[[파일:AS 로마 로고.svg|height=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fficialASRoma)] [[https://www.facebook.com/officialasrom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officialasrom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asrom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tiktok.com/@asroma|[[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https://www.linkedin.com/company/as-roma|[[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 || '''팬 커뮤니티''' ||[[http://www.laromacorea.com|[[파일:AS 로마 로고.svg|height=25]]]]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asroma|[[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5]]]] [[https://cafe.naver.com/blacksax7j|[[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5]]]] || ||<-2><#fbba00> '''{{{#000 우승 기록}}}''' || || '''[[세리에 A|{{{#fbba00 __세리에 A__}}}]]'''[br](3회)[* 준우승은 14회이다. 1930-31, 1935-36, 1980-81, 1983-84, 1985-86, 2001-02, 2003-04, 2005-06, 2006-07, 2007-08, 2009-10, 2013-14, 2014-15, 2016-17 시즌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정보 출처는 세리에 매니아. 물론 이보다 더 준우승이 많은 팀들도 있지만 그만큼 우승도 많이 한 팀들...] ||1941-42, 1982-83, 2000-01 || || '''[[세리에 B|{{{#fbba00 __세리에 B__}}}]]'''[br](1회) ||1951-52 || || '''[[코파 이탈리아|{{{#fbba00 __코파 이탈리아__}}}]]'''[br](9회)[* [[세리에 A]]는 리그는 물론 [[코파 이탈리아]]에서 10번 우승한 팀에게도 유니폼에 별을 달아 주는데(리그는 [[금색]], 코파는 [[은색]]) AS 로마는 한 번 더 우승할 시 유니폼에 별을 다는 네 번째 팀이자 두 번째로 은별을 다는 팀이 된다. 참고로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AC 밀란]]은 금별, [[유벤투스 FC]]는 금별, 은별 모두 해당된다.] ||<(> 1963-64, 1968-69, 1979-80, 1980-81, 1983-84, 1985-86, 1990-91, 2006-07, 2007-08 ||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fbba00 __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__}}}]]'''[br](2회) ||2001, 2007 || || '''[[UEFA 컨퍼런스 리그|{{{#fbba00 __UEFA 컨퍼런스 리그__}}}]]'''[br](1회) ||2021-22[* 초대 우승] || || '''[[인터-시티 페어스컵|{{{#fbba00 __인터-시티 페어스컵__}}}]]'''[br](1회) ||1961 || ||<-2><#fbba00> '''{{{#000 클럽 기록}}}''' || ||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체코 국기.svg|width=28]] [[파트리크 시크]] (Patrik Schick)[br](2018년, From [[UC 삼프도리아]], 4,200만 €) || ||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8]] [[알리송 베케르]] (Alisson Becker)[br](2018년, To [[리버풀 FC]], 6,250만 €[* 보너스 10m€는 별도.]) || || '''최다 출장'''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프란체스코 토티]] (Francesco Totti) - 786경기[* [[잔루이지 부폰]](648경기~)과 [[파올로 말디니]]에 이은 세리에 A 3위.] (1992~2017) || || '''최다 득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프란체스코 토티]] (Francesco Totti) - 307골[* 이 기록은 100년이 넘는 세리에 역사상 '''2번째'''다.] (1992~2017) || || '''세리에 A[br] 득점왕'''[br](9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로돌포 폴크 (1930-31)[br][[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8]]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엔리케 과이타]][*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국가대표로 모두 뛴 선수이다.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년 이탈리아 월드컵]] 우승의 주역에다 로마에 온 지 2년 만에 득점왕을 차지하여 레전드의 길을 걷는가 했지만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흑역사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1934-35)[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지누 다 코스타 (1956-57)[br][[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8]] 페드로 만프레디니 (1962-63)[* 하랄 닐센 (Harald Nielsen, 볼로냐)과 공동 득점왕.][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로베르토 프루초]] (1980-81, 1981-82, 1985-86)[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프란체스코 토티]] (2006-07)[br][[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28]] [[에딘 제코]] (2016-17)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giornalettismo.com/lazio-roma-squadra.jpg|width=100%]]}}} || [[이탈리아]] [[로마]]를 연고지로 두고 있는 [[세리에 A]]의 프로 [[축구]] 클럽. 홈구장은 [[스타디오 올림피코]]. 리그 내에서 중계권 협상 등 굵직한 사안들이 있을 때 이탈리아 중부 지역을 대표하기도 한다. 새롭게 창설된 [[UEFA 컨퍼런스 리그]] 초대 챔피언이기도 하다. == [[AS 로마/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S 로마/역사)] === 시즌별 리그 순위 === || [[AS 로마|[[파일:AS 로마 로고.svg|height=50]]]][br]{{{-1 {{{#fbba00 '''시즌별 리그 순위'''}}}}}}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000 시즌 }}}''' || '''{{{#000 부 }}}''' || '''{{{#000 리그 }}}''' || '''{{{#000 순위 }}}''' || || 1927-28 || 1 ||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3 B조}}} || '''8''' || || 1928-29 || 1 ||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3 A조}}} || '''3''' || || 1929-30 || 1 || 세리에 A || '''6''' || || 1930-31 || 1 || 세리에 A || '''2''' || || 1931-32 || 1 || 세리에 A || '''3''' || || 1932-33 || 1 || 세리에 A || '''5''' || || 1933-34 || 1 || 세리에 A || '''5''' || || 1934-35 || 1 || 세리에 A || '''4''' || || 1935-36 || 1 || 세리에 A || '''2''' || || 1936-37 || 1 || 세리에 A || '''10''' || || 1937-38 || 1 || 세리에 A || '''6''' || || 1938-39 || 1 || 세리에 A || '''5''' || || 1939-40 || 1 || 세리에 A || '''7''' || || 1940-41 || 1 || 세리에 A || '''11''' || || 1941-42 || 1 || 세리에 A || '''1''' || || 1942-43 || 1 || 세리에 A || '''9''' || || 1943-44 ||<-3><|2>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중단 || || 1944-45 || || 1945-46 || 1 ||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 '''6''' || || 1946-47 || 1 || 세리에 A || '''15''' || || 1947-48 || 1 || 세리에 A || '''17''' || || 1948-49 || 1 || 세리에 A || '''14''' || || 1949-50 || 1 || 세리에 A || '''17''' || || 1950-51 || 1 || 세리에 A || '''19''' || || 1951-52 || 2 || 세리에 B || '''1''' || || 1952-53 || 1 || 세리에 A || '''6''' || || 1953-54 || 1 || 세리에 A || '''6''' || || 1954-55 || 1 || 세리에 A || '''3''' || || 1955-56 || 1 || 세리에 A || '''6''' || || 1956-57 || 1 || 세리에 A || '''14''' || || 1957-58 || 1 || 세리에 A || '''5''' || || 1958-59 || 1 || 세리에 A || '''6''' || || 1959-60 || 1 || 세리에 A || '''9''' || || 1960-61 || 1 || 세리에 A || '''5''' || || 1961-62 || 1 || 세리에 A || '''5''' || || 1962-63 || 1 || 세리에 A || '''5''' || || 1963-64 || 1 || 세리에 A || '''12''' || || 1964-65 || 1 || 세리에 A || '''9''' || || 1965-66 || 1 || 세리에 A || '''8''' || || 1966-67 || 1 || 세리에 A || '''10''' || || 1967-68 || 1 || 세리에 A || '''10''' || || 1968-69 || 1 || 세리에 A || '''8''' || || 1969-70 || 1 || 세리에 A || '''11''' || || 1970-71 || 1 || 세리에 A || '''6''' || || 1971-72 || 1 || 세리에 A || '''7''' || || 1972-73 || 1 || 세리에 A || '''11''' || || 1973-74 || 1 || 세리에 A || '''8''' || || 1974-75 || 1 || 세리에 A || '''3''' || || 1975-76 || 1 || 세리에 A || '''10''' || || 1976-77 || 1 || 세리에 A || '''8''' || || 1977-78 || 1 || 세리에 A || '''8''' || || 1978-79 || 1 || 세리에 A || '''12''' || || 1979-80 || 1 || 세리에 A || '''7''' || || 1980-81 || 1 || 세리에 A || '''2''' || || 1981-82 || 1 || 세리에 A || '''3''' || || 1982-83 || 1 || 세리에 A || '''1''' || || 1983-84 || 1 || 세리에 A || '''2''' || || 1984-85 || 1 || 세리에 A || '''7''' || || 1985-86 || 1 || 세리에 A || '''2''' || || 1986-87 || 1 || 세리에 A || '''7''' || || 1987-88 || 1 || 세리에 A || '''3''' || || 1988-89 || 1 || 세리에 A || '''7''' || || 1989-90 || 1 || 세리에 A || '''6''' || || 1990-91 || 1 || 세리에 A || '''9''' || || 1991-92 || 1 || 세리에 A || '''5''' || || 1992-93 || 1 || 세리에 A || '''10''' || || 1993-94 || 1 || 세리에 A || '''7''' || || 1994-95 || 1 || 세리에 A || '''5''' || || 1995-96 || 1 || 세리에 A || '''5''' || || 1996-97 || 1 || 세리에 A || '''12''' || || 1997-98 || 1 || 세리에 A || '''4''' || || 1998-99 || 1 || 세리에 A || '''6''' || || 1999-00 || 1 || 세리에 A || '''6''' || || 2000-01 || 1 || 세리에 A || '''1''' || || 2001-02 || 1 || 세리에 A || '''2''' || || 2002-03 || 1 || 세리에 A || '''8''' || || 2003-04 || 1 || 세리에 A || '''2''' || || 2004-05 || 1 || 세리에 A || '''8''' || || 2005-06 || 1 || 세리에 A || '''2''' || || 2006-07 || 1 || 세리에 A || '''2''' || || 2007-08 || 1 || 세리에 A || '''2''' || || 2008-09 || 1 || 세리에 A || '''6''' || || 2009-10 || 1 || 세리에 A || '''2''' || || 2010-11 || 1 || 세리에 A || '''6''' || || 2011-12 || 1 || 세리에 A || '''7''' || || 2012-13 || 1 || 세리에 A || '''6''' || || 2013-14 || 1 || 세리에 A || '''2''' || || 2014-15 || 1 || 세리에 A || '''2''' || || 2015-16 || 1 || 세리에 A || '''3''' || || 2016-17 || 1 || 세리에 A || '''2''' || || 2017-18 || 1 || 세리에 A || '''3''' || || 2018-19 || 1 || 세리에 A || '''6''' || || 2019-20 || 1 || 세리에 A || '''5''' || || 2020-21 || 1 || 세리에 A || '''7''' || || 2021-22 || 1 || 세리에 A || '''6''' || || 2022-23 || 1 || 세리에 A || '''6''' || }}}}}}}}} || == [[스타디오 올림피코|홈 경기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adio-olimpico-roma.jpg|width=100%]]}}} || ||<-2> '''{{{#000,#e5e5e5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타디오 올림피코)]}}}''' || 현재 [[SS 라치오]]와 AS 로마가 함께 사용하는 경기장이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도 메인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본래 축구 외에도 여러 경기가 함께 치러지는 종합 경기장으로 [[1936년]] 처음 건설되었다. [[1960 로마 올림픽]]의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어 세계적으로 유명해졌으며 이때 '올림픽 경기장'이라는 뜻으로 지금의 '스타디오 올림피코'로 개명되었다. 라이벌인 SS 라치오와 같이 쓰는 데다 낙후된 종합 경기장이라는 점 때문에 그동안 AS 로마의 팬들은 불편할 수밖에 없었고, 무엇보다도 AS 로마만의 전용 경기장을 원했다. 2017년 2월, AS 로마는 마침내 로마 [[시의회]]로부터 신구장 건설 승인을 받았다. 새 경기장은 [[2020년]]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정작 2020년까지 삽도 한번 뜨지 못했다. 로마가 경기장을 옮긴 후 이 곳은 SS 라치오의 전용 홈 경기장이 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스타디오 델라 로마]] 문서 참조. == 응원가 == 응원가는 [[싱어송라이터]]인 [[안토넬로 벤디티]]의 ''''Roma Roma Roma''''이다. AS 로마의 상징색인 [[노란색]]과 [[빨간색]](Giallorossi)으로 색칠하여 주겠다는 것이 인상적이다. [[금관악기]]의 활기찬 전주가 특징이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iYOR8g6FsE)]}}}{{{#!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5if6jkpMPI)]}}}{{{#!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Fq2WBsizp8)]}}} || ||<-2> '''가사 · 번역'''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bba00 Roma Roma Roma Core de 'sta città Unico grande amore De tanta e tanta ggente Che fai sospirà Roma Roma Roma Lassace cantà Da 'sta voce nasce un coro So' centomila voci C'hai fatto 'nnamorà Roma Roma bella T'ho dipinta io Gialla come er sole Rossa come er core mio Roma Roma mia Nun te fà 'ncantà Tu sei nata grande E grande hai da restà Roma Roma Roma Core de 'sta città Unico grande amore De tanta e tanta gente M'hai fatto 'nammorà}}}''' || '''{{{#000 로마 로마 로마 이 도시의 심장 수많은 사람들의 단 하나뿐인 사랑 당신은 많은 사람들을 탄식하게 만듭니다. 로마 로마 로마 우리가 노래하도록 내버려 두세요, 이 목소리로부터 합창이 태어났어요. 당신은 10만 명의 목소리가 사랑에 빠지도록 만들었어요. 로마 아름다운 로마, 제가 당신을 태양처럼 노랗게 제 심장처럼 빨갛게 색칠했어요. 로마, 나의 로마, 그들이 당신을 매혹하도록 내버려 두지 마세요. 당신은 위대하게 태어났고 또한 위대하게 남아야 해요. 로마 로마 로마 이 도시의 심장 수많은 사람들의 단 하나뿐인 사랑 당신은 제가 사랑에 빠지게 만들었어요.}}}''' || }}} || 두 번째 영상은 AS 로마와 [[FC 바르셀로나]]의 [[로마의 기적|챔피언스 리그 8강전 경기]]에서 부른 것이다. == 역대 엠블럼 == [include(틀:AS 로마/엠블럼)] == [[틀:AS 로마 감독|역대 감독]] == [include(틀:AS 로마 감독)] == [[틀:AS 로마|선수 명단]] == [include(틀:AS 로마)] == [[AS 로마/유니폼|유니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S 로마/유니폼)] == [[AS 로마 위민|여성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S 로마 위민)] == [[틀:AS 로마/명예의 전당|명예의 전당]] == [include(틀:AS 로마/명예의 전당)] 2012년 클럽 창설 85주년을 맞아 [[http://www.asroma.com/en/club/hall-of-fame|명예의 전당]]을 신설했고, 첫 해 베스트 11을 등록한 뒤 매해 4명씩 추가 등록하고 있다. 18-19 시즌을 끝으로 로마를 떠나는 [[다니엘레 데로시]]가 차기 명예의 전당 등록 1순위인 가운데 현역 로마 선수 중에는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등이 뒤를 이을 것으로 기대된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2017년 현역 은퇴를 선언하자마자 명예의 전당에 등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72R6059CCU&t=0s&index=2&list=WL|영상]] 주요 감독으로는 [[스벤예란 에릭손]], [[즈데넥 제만]], [[파비오 카펠로]], [[루치아노 스팔레티]],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등이 몸담았다. 가장 성공적이었던 것은 2000/01 시즌 [[스쿠데토]]를 안겨준 카펠로였으나 하필 팀의 핵심이었던 [[에메르송]]과 함께 라이벌 팀인 유벤투스로 옮기는 바람에 팬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 == 여담 == 토리노의 클럽들과는 정말이지 질긴 인연을 갖고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유벤투스 FC|유벤투스]]에게 뺨 맞고 [[토리노 FC|토리노]]에게 화풀이 하는 격, 로마는 토리노를 상대로 압도적인 전적을 자랑한다. 특히 로마가 얻은 첫 스쿠데토가 토리노를 밀어내고 성취한 것이며, 코파 이탈리아 결승에서만 3번 붙고 로마가 다 이겨서 우승했다. 그리고 2007-08 시즌에는 코파 이탈리아 16강 1차전에서 토리노에게 1:3으로 졌지만 2차전에서 4:0이라는 극장 경기를 펼치며 가까스로 8강에 진출했다. 이후 로마는 [[UC 삼프도리아|삼프도리아]], [[칼초 카타니아|카타니아]],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테르]]를 연달아 꺾고 우승한다. 일단 토리노가 연고지인 유벤투스가 북부를 대표하는 클럽이라면 로마는 중부를 대표하는 클럽이라고 볼 수 있다. 로마가 획득한 3개의 스쿠데토 중 2개(1983, 2001)는 유벤투스를 따돌리고 얻어낸 것이고 나머지는 1개는 1941-42 시즌에 토리노를 제치고 얻어낸 것이지만, 로마의 준우승 14번 중 9번이 유벤투스에게 밀려서 준우승에 그친 것이다. 게다가 코파 이탈리아도 14-15 시즌 유벤투스가 우승하기 전까지 서로 9회로 최다 우승 타이를 이루고 있었는데 이후 밀리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성적이 많이 차이가 나는데 웃기게도 세리에 A에서 보낸 시즌은 똑같다. 둘 다 82시즌을 보냈는데 1등인 인테르는 83시즌, 4위 밀란은 81시즌을 세리에 A에서 보냈다. 즉, 로마는 이 세 팀들과 함께 1부 리그에서 80시즌 이상을 보낸 명문임에도 불구하고 우승 횟수가 3회밖에 안된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세리에 내에서만 이런 것은 아닌 게, 유벤투스는 1982-83 시즌 [[유러피언 컵]]에서 준우승에 그쳤었고 로마가 1983-84 시즌에 유러피언 컵 결승에 오르며 유벤투스도 아직 가져보지 못한 빅 이어를 따내서 기선 제압을 하나 싶었지만 로마도 패하는 바람에 아쉬움을 삼켜야 했다. 그 후 곧바로 1984-85 시즌에 유벤투스가 우승을 하였다. 로마는 [[리버풀 FC|리버풀]]에게 밀려 준우승에 그쳤지만 유벤투스는 리버풀을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당대만 해도 최강이었던 리버풀을 유벤투스는 넘었고 로마는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 차이점이라면 차이점. [[승부차기]] 패배라 더욱 아쉬운 패배였고, 이것 때문에 [[풋볼 매니저|FM]]에서도 리버풀이 로마의 라이벌 구단으로 반영되어 있다. 이후 1990년에 유벤투스가 [[UEFA 컵]]을 우승하였고 로마도 질세라 1991년 UEFA 컵 결승에 올랐으나 인테르한테 져서 또 '''준우승'''. 이로써 로마는 UEFA 메이저 대회에서 '''준우승만 두 차례나 거뒀다.''' 이 때문에 유럽 무대에서도 유베에 가려진 2인자를 지울 수 없었다. 심지어 유럽 대항전 성적으로 따지면 밀라노의 [[AC 밀란|두]] [[인터 밀란|클럽]]이 로마는 물론 유벤투스까지 능가하기 때문에 로마의 존재감은 더 옅을 수밖에 없다. 최근 2013-14 시즌 세리에 A에선 로마는 승점 85점으로 역대 2위 팀 최다 승점을 기록하였으나 유벤투스는 승점 102점으로 역대 최다 승점 기록을 세우며 끝까지 로마의 발목을 잡았다. 이렇게 오랜 시간 동안 질긴 인연을 가져왔고 실제로도 이 둘의 경기는 매우 치열하다. 오죽하면 그 [[잔루이지 부폰|부폰]]이 유벤투스의 최대 라이벌은 인테르가 아닌 로마라고 말할 정도다. 하지만 정작 [[더비 매치]] 이름이 없다. 국내에선 안 좋은 소식으로 언론에 오를 때가 더 많다. [[FC 바르셀로나|바르셀로나]]에게 졌다거나, [[레알 마드리드 CF|레알 마드리드]]에 졌다거나, [[주제 무리뉴]]한테 접촉했다 퇴짜 맞았다거나. 그리고 이상할 정도로 선수들이 '''[[십자인대]]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정말 많다'''. 얼마나 심한고 하니 '''3년 동안 14명이 십자인대를 다쳤다고'''한다. 대표적인 선수로 [[케빈 스트로트만]],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안토니오 뤼디거]], [[마리우 후이]], [[에메르송 파우미에리]], [[릭 칼스도프]], [[다비데 자파코스타]], [[니콜로 자니올로]] 등등이 있다. 더군다나 자니올로는 오른쪽 십자인대 부상에서 회복 후 국가대표 경기에서 '''왼쪽 십자인대 파열을 당했다.''' 젊고 좋은 [[센터백]]들을 키워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2000년대는 [[왈테르 사무엘]], [[필립 멕세스]], [[크리스티안 키부]]가 유망주 시절부터 로마에서 뛰었고 2010년대에는 [[마르퀴뇨스]], [[알레시오 로마뇰리]], [[메흐디 베나티아|메드히 베나티아]], [[안토니오 뤼디거]] 등이 로마에서 활약을 인정받아 각각 [[파리 생제르맹 FC|PSG]], [[AC 밀란]], [[FC 바이에른 뮌헨|바이에른 뮌헨]], [[첼시 FC|첼시]]로 이적을 했다. 현재는 [[이바녜스]]가 그 자리를 이어받고 있다. 나이는 다소 있지만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에서 부진하던 [[페데리코 파지오|파지오]]도 로마에서는 좋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로마의 왕자라고 불리는 계보로도 유명한데, 이 중 가장 유명한 선수는 현재 은퇴한 [[프란체스코 토티]]이다, 로마의 왕자라는 별칭은 [[1980년대]] AS 로마를 이끌며 [[스쿠데토]]를 따냈던 브라질 출신의 [[호베르투 팔캉]]이 팬들에게 로마의 8번째 왕이라는 별명을 받으면서 시작되어, [[주세페 자니니]], [[프란체스코 토티]], [[다니엘레 데로시]], [[로렌초 펠레그리니]]로 이어진다. 그러나 최근 레전드 대우에 대해서 안 좋은 말이 많이 나오고 있다. 데로시의 경우 본인이 불리한 조건이더라도 강력하게 재계약을 원했지만 구단 측에서 방출을 결정했고, 단장으로 취임한 토티 역시 자신을 얼굴마담으로만 앉혀놓고 모든 결정에서 배제당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사임했다. 대외적으로 로마의 이미지는 커리어 내내 충성을 바치는 속칭 '[[로마 황제]]' 레전드들의 대쪽 같은 충성심을 바탕으로 낭만적이라고 알려진 구단인데, 그 이미지를 로마 스스로가 무너뜨리고 있다. 특히 이 건에 대해서 보드진뿐만 아니라 데로시 방출에 관여하고 그의 은퇴식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구단주 제임스 팔로타가 크게 비판받고 있다. 로마의 차기 황제로 거론되는 플로렌치나 토티 후계자로 불리는 자니올로가 이걸 보면 무슨 생각을 할지 궁금하다. 구단에 커리어 전체를 바쳐가며 충성한 레전드 대우가 이따위인 데다가 하락세이기까지 하니 선수들이 팀에 헌신하려 할지 의문이다. 토티의 사임 이후 로마에 충성을 맹세했던 플로렌치와 마놀라스의 이적설이 나오고 있다는 것은 선수단이 그만큼 동요하고 있단 증거다. [[프리미어 리그|PL]] [[짬처리]]반이라는 별명이있다. [[스몰링]](맨유), [[자파코스타]](첼시), [[미키타리안]](맨유-아스날), [[타미 에이브러햄]](첼시) 등 PL에서 좋지 못한 활약을 보여주는 선수들을 임대로 [[짬처리]]처럼 영입하기 때문이다. 자파코스타 빼고는 모두 좋은 활약으로 완전 이적까지 성공했다. 2019년 6월부터 실종 아동을 찾는 캠페인에 동참하고 있다. 영입이 일어나면 구단 [[SNS]]를 통해 실종 아동 소식과 영입 소식을 동시에 전하는데, 최근 머트 체틴(22)의 영입 소식을 통해 [[런던]]의 실종 소녀를 찾은 바 있다. 이어 미키타리안의 영입으로 [[케냐]]의 실종 소년까지 구출하였고 16세 [[영국]] 소녀도 찾았다. 로마의 실종 아동 캠페인 담당자 폴 로저스는 “로마는 SNS를 통한 이적 시장 소식의 입소문 효과를 활용해 실종 아동들을 찾는 데 도움을 주고 싶다”라고 밝혔다. [[https://www.asroma.com/en/news/2019/9/second-english-girl-featured-in-roma-missing-children-video-found-safe|실종 소녀 구출]], [[https://sports.news.naver.com/wfootball/news/read.nhn?oid=468&aid=0000562625|케냐 소년 구출]] [[FIFA 21]]부터 AS 로마 대신 '''로마 FC''' 라는 이름과 구단기가 변경되어 등장했다. 아무래도 [[코나미]]가 제작한 [[eFootball™ 2022]]에서 라이선스 계약을 "단독"으로 맺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이유로 [[아탈란타 BC]]는 연고지의 이름을 따서 '''베르가모 칼초'''로, 전작에서 [[유벤투스 FC]]는 연고지의 이름을 따서 '''피에몬테 칼초'''로 등장한 적 있다. 20 까지 "ROMA" 라는 이름으로 나오지만, 스팀판에서는 시리즈 상관없이 AS ROMA 라는 라이센스와 구단기를 들고는 항상 등장한다. 클럽 순위가 10위로 높은데 리그에서는 유벤투스 다음으로 2위고 같은 리그 [[빅클럽]]으로 여겨지는 [[AC 밀란]],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보다 높은 순위이다.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우승과 그 다음 시즌 유로파 리그 준우승이 영향을 준 듯.[* 인테르는 11위로 바로 뒤고 밀란은 37위라는 은근히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인터-시티 페어스컵 우승팀 목록)] [include(틀: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우승팀 목록)] [각주] [[분류:AS 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