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RM/마이크로아키텍처]] [include(틀:ARM Cortex 시리즈)] [목차] == 개요 == [[파일:21961bcacb07df209faa2088ddd208e2.png]] [[ARM]]의 인프라 시장 타겟 제품군이며, 다음 세가지 제품군으로 나뉜다. [[HPC]] 타겟의 고성능 Neoverse V 시리즈. [[클라우드 컴퓨팅]]과 [[5G]] 기지국 등 성능과 전력효율 두가지의 밸런스를 중시하는 산업을 위한 Neoverse N 시리즈. [[5G]] 데이터 집약적인 인프라를 목표로 하는 저전력 Neoverse E 시리즈. == ARMv8-A == === Neoverse N1 === ARM 최초의 서버용 레퍼런스 아키텍처이다. [[ARM Cortex-A76]]과 동일한 구조를 가졌다. 코드네임은 Ares. 4-wide 디코더 / 11단계 파이프라인 / 8-way issue 의 스펙을 갖췄다. 아마존 그라비톤2(ALC12B00) 64코어 프로세서에서 사용되었다. 서버용 칩셋이라 그런지 A76과 유사한 스펙임에도 A77과 동급의 IPC를 보인다. (싱글쓰레드 벤치마크 실행시) 아난드텍에서 [[https://www.anandtech.com/show/15578/cloud-clash-amazon-graviton2-arm-against-intel-and-amd|상세하게 분석한 자료가]] 있다. 오라클 클라우드 컴퓨트 인스턴스를 ARM으로 만들 경우(Ampere A1 Compute) 이 아키텍처를 채택한 CPU가 [[https://www.arm.com/company/news/2021/05/oracle-adds-arm-neoverse-based-cloud-instances-with-oci-ampere-a1|사용된다]]. === Neoverse E1 === [[ARM Cortex-A65]]와 동일한 구조를 가졌다. 따라서 코드네임도 동일하게 Helios. === Neoverse V1 === N2와 함께 발표되었다. 고성능 배리에이션이다. N1 대비 성능이 50%향상되었다. SIMD 엔진이 Dual 128-bit NEON에서 Dual 256-bit SVE로 변경되었다. SVE는 Dot product 등 머신러닝 연산을 최적화 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많이 추가되었으며, 마찬가지로 머신러닝연산에 최적화된 Bfloat16 데이터 타입도 지원한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이 N1대비 두배 증가하였다. [[후가쿠(컴퓨터)]]와 아마존의 Graviton3 제작에 사용되었다. == ARMv9-A == === Neoverse N2 === [[ARM Cortex-A710]]과 함께 개발되어 구조상 많은 부분을 공유하며, N1 대비 큰 성능 향상을 이루었다. 코드네임은 Perseus. === Neoverse V2 === 코드네임 Demeter. Cortex-X3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프라 코어. Armv9.0 명령어 셋을 지원한다. [[https://www.servethehome.com/arm-neoverse-v2-cores-launched-for-nvidia-grace-and-cxl-2-0-pcie-gen5-cpus/|#]] 엔비디아의 GH200 그레이스 호퍼 슈퍼칩의 CPU 제작에 사용되었다. === Poseidon VN === [[https://developer.arm.com/documentation/den0125/0100/Arm-CCA-extensions|Realm]]을 지원하는 첫 Neoverse 코어. V시리즈와 N시리즈 중간에 위치하여 VN으로 명명되었다. === Aphrodite === Poseidon을 기반으로 제작된 인프라 코어. V4가 될 예정이며, Armv9.2 명령어셋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