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Cytus/ChapterM)] |||||||| '''Area 184 -Platinum Mix-'''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4.png|width=240]] || ||<:>작곡||||||||<:>[[Tatsh|Persona]]|| ||<:>보컬||||||||<:> - || ||<:>일러스트||||||||<:> Ryori || ||<:>BPM||||||||<:> '''184''' || ||<:>연주 시간||||||||<:> 3:00 || || ||<:>EASY||<:>HARD|| ||<:>레벨||<:>5||<:>9|| ||<:>노트 수||<:>511||<:>1240|| ||<:>'''특이사항'''||||||<:> '''제목 패턴''', '''챕터M 준보스곡 2''' || [목차] == 채보 == [[Cytus]]의 수록곡으로 사이터스의 명곡 매시업인 챕터 MILLION의 수록곡이다. 매시업 작곡가는 [[Tatsh|Persona]]로 동 작곡가의 곡들인 [[Area 184]]와 [[Red Eyes|R]][[Green Eyes|G]][[Blue Eyes(Rayark)|B]] Eyes 시리즈의 매시업으로 추측된다. 노래는 [[Area 184]] 중심으로 진행되며, 곡의 전개가 두 번 [[Green Eyes]]로 바뀐다. [[Blue Eyes(Rayark)|Blue Eyes]]와 [[Red Eyes]]는 샘플링만 중간에 추가 되었다. 일러스트에는 [[Red Eyes|R]][[Green Eyes|G]][[Blue Eyes(Rayark)|B]] Eyes 시리즈에 있던 눈들이 모두 모여있고, 배경에는 [[Area 184]]의 별자리가 나온다. BPM 184도 그대로 가져왔고 [[Area 184|전 수록곡]]은 이보다 스크롤 속도가 느린 만큼 채보가 많았는데 여기서는 스크롤 속도도 한층 더 빨라진 동시에, 채보도 징그럽게 많아졌다. === Easy === [youtube(Wn7D7mo1o2k,width=480,height=360)] Easy 난이도 TP 100 플레이 영상 원곡인 [[Area 184]]에서 나오는 홀드노트 잡고 끝날때 일반노트 연계로 이어지는 패턴이 자주 등장하지만 5레벨인 만큼 크게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 Hard === [youtube(_A9zMpoT5Gs,width=480,height=360)] Hard 난이도 TP 100 플레이 영상 처음에는 [[Green Eyes]]의 복합적인 8비트 폭타와 함께 [[Red Eyes]]의 홀드 노트 난무가 섞여있다. 이후 드래그노트 아래에있는 기습 8비트 연타를 조심. [[파일:ΛREΛ 184P.jpg]] 그리고 중요한 채보로는 초중반에 가면 나오는 드래그노트와 일반 노트로 만들어진 [[Tatsh가 또 엄청난 보면을 만들었다는 듯합니다|AREA 184 P라고 되어있는 노트]]이다. 속도가 느려서 일반노트로 됐던 [[Area 184]]와 다르게 드래그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드래그들로 이루어져있지만 옆에 일반 노트랑 섞여있는데다 16비트도 있어서 보너스 채보 느낌의 [[Area 184]] 제목 패턴보다 손을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파일:184p 패턴.jpg]] 그 후 유저들을 골때리는 악명높은 홀드+단타 패턴 구간이 나오는데 이 곡에서 '''제일''' 까다로운 부분이며 손배치를 충분히 연습하지 않는 한 TP는 말할것도 없고 밀마도 따기 불가능할정도로 복잡하다.[* 한쪽 손으로 홀드 노트를 누르고 다른쪽 손으로 단타 하나를 친 다음, 손을 전환해서 다른쪽 손으로 홀드 노트를 누르고 한쪽 손으로 단타 2개를 누르는 손배치가 가장 알려져 있다.] 그 이후에 [[Blue Eyes(Rayark)|Blue Eyes]]의 후반부 패턴과 가두리 패턴까지 나온다. 그 다음에는 [[Halloween Party]]이나 [[East West Wobble]]에서나 나올 16비트 채보와 [[Green Eyes]]에서 나온 비슷한 배치의 트릴이 빠르게 나온다. 그 이후에는 드래그노트와 연타부분인데 일반노트 부분의 박자가 꽤 애매하니 주의하는게 좋다. 그리고 곡 분위기가 [[Green Eyes]]로 급반전 되며 2-1-2-1 1-1-2-1유형의 연타→2비트가 섞여있는 연타→ [[Green Eyes]]배치의 트릴 순으로 패턴이 나온다. 중간에 슬라이드가 있기 때문에 주의. 다음부분은 일반노트와 짧은 홀드노트가 같이 나오는 패턴이며 이것이 끝나면 [[Xepher|X자 드래그 노트]]가 나온다, 마지막은 처음부분과 같은 패턴으로 끝난다. 하드 패턴은 매시업된 곡들의 특징적 채보들을 가져온 것으로 패턴이 진행된다. [[Tatsh|Persona]]판 [[PARANOiA Revolution]]라고 할 수 있겠다. 난이도는 [[The Purified|특정 부분에만]] [[The Blocks We Loved|난이도를]] [[Rainbow Night Sky Highway|바친]] 형태로, 지속되는 폭타&홀드 복합 채보는 다른 부분보다는 쉽게 적응이 가능하나, 중반부 홀드+단타나 [[Green Eyes]]파트 부분에 난이도가 쏠려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어려움을 겪는 이상 점수를 얻기가 어렵고 특정 부분에 난이도가 몰린 곡 특성상 개인차가 꽤 많이 발생한다. 게다가 스크롤 속도가 장난 아닌게 빠른지라 순간 처리력이 약하거나 체력이 딸리는 사람에게는 [[Stardust Sphere]]보다 어려우며, [[THE RICOCHET]]과 함께 챕터M의 준보스곡, 또는 준준보스곡까지 올라갈 수 있을 정도로 훅지나가나, 처리력이 좋은 사람에게는 [[STORIA]]보다 쉬운 중위권으로 떨어질 수 있다. == 기타 == Platinum Mix라는 이름은 [[Tatsh]]가 Long version mix와 비슷한 의미로 자주 사용하는 단어이다. 따라서 실제 [[백금]]과의 연관성이 있다기보다는 풀버전 형식으로 리메이크한 의미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게임 일러스트는 제대로 되어 있지만 수록 당시 게임상의 이름이 Area 184 -'''Platium''' Mix-로 되어 있었다. 다행히 ver 9.0 후에는 이름이 제대로 표기되었다. [[분류:Cytus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