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fff '''{{{+1 AK-726}}}'''[br]''Артиллерийский Комплекс-726''}}}}}}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K-726.jpg|width=100%]]}}} || ||<-2> [[카라급 순양함|{{{#fff 카라급 순양함}}}]]{{{#fff 에 탑재된 모습}}} || || {{{#fff 분류}}} ||[[함포]] || || {{{#fff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 생산}}} ||[[1962년|1962]] ~ [[1988년]] || || {{{#fff 운용}}} ||[[1964년]] ~ 현재 || || {{{#fff 중량}}} ||약 26t || || {{{#fff 조작 인원}}} ||9명 || || {{{#fff 포탄 중량}}} ||5.9kg || || {{{#fff 포신 각도}}} ||−10 ~ +85° || || {{{#fff 포구 속도}}} ||초속 980m || || {{{#fff 발사 속도}}} ||분당 40 ~ 45발 × 2 || || {{{#fff 최대사거리}}} ||직사: 15,700m[br]곡사: 11,0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AK-726은 [[소련 해군]]의 [[76mm|76.2mm]] (3인치) 59구경장급 [[함포]]다. == 개발 배경 == 1954년 [[소련]]은 [[양용포|대공과 대함 임무 둘 다 수행 가능한 함포]]를 개발하기로 했다. 첫 테스트는 1958년, 최초 탑재는 [[킨다급 미사일순양함|킨다급 순양함 그로즈니]]다. 1964년 6월 24일에 공식적으로 배치됐다. 우수한 가성비로 여러 동구권 국가에 수출됐으나, [[AK-100 100mm 함포|100mm급 AK-100]]에 의해 2선급으로 물러났다. == 특징 == 이론상 분당 100발의 포격이 가능하지만, 냉각 장치의 한계 때문에 40 ~ 45발이 최대다. 탄약고에서 포신까지 [[엘리베이터]]로 [[포탄]]을 옮길 수 있으며, [[자동 장전 장치]]가 탑재됐다. 조준은 [[사격통제장치|사격통제 레이더]] MR-105 투렐, 발사는 광학식 장치 프리스마가 담당한다. 포탄은 충격신관식과 근접신관식이다. == 탑재 함선 == >가나다순 정렬 * [[머러셰슈티급 호위함]] * [[미르카급 호위함]] * [[이반 로고프급 상륙함]] * [[카라급 순양함]] * [[카신급 구축함]] * [[코니급 호위함]] * [[코토르급 호위함]] * [[크리박급 호위함]] *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 * [[킨다급 순양함]] * [[페트야급 호위함]] [[분류:76mm]][[분류:소련군/장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함포]][[분류:대공포]][[분류:1964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