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암호화폐)] ||<-2> '''{{{+3 AI Network}}}''' || ||<-2> [[파일:ai_network.png|width=100%]]|| || '''[[ISO4217|{{{#ffffff ISO 4217 코드}}}]]''' || AIN {{{-2 (비공식)}}} || || '''분류''' || [[암호화폐]] || || '''개발자''' || [[https://www.linkedin.com/in/minhyun-kim-b5578519/?originalSubdomain=kr|김민현]] || || '''토큰 심볼''' || AIN || || '''상장 거래소''' || [[고팍스]][* 고팍스는 나무위키에서 선정한 대한민국 5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이다. [[고팍스#s-23|이 곳 참조]] ] || || '''웹사이트''' || [[https://www.ainetwork.ai| 공식 홈페이지 ]] [br] [[https://www.youtube.com/channel/UCnyBeZ5iEdlKrAcfNbZ-wog| 유튜브 ]] [br] [[https://medium.com/ai-networkkr| 블로그 ]] [br] [[https://www.ainetwork.ai/public/whitepaper.pdf| 백서 ]] || [목차] || [[파일:ainceo.jpg|width=100%]]|| || [[https://www.linkedin.com/in/minhyun-kim-b5578519/?originalSubdomain=kr|김민현]] 대표 사진 ||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Y1SJrYjSVc)]}}} || || {{{#white "Introducing Project AI Network" }}} || '''AI Network ''' 는 [[구글]] 엔지니어 출신 두명이 시작한 프로젝트로 핵심 개념은 [[인공지능]] 개발사들의 효율적인 리소스 공유를 위한 '''오픈 리소스''' 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의 컴퓨터는 단지 클라우드에 접속하는 역할만 하고 데이터와 연산 자원들을 클라우드 안에서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Google Cloud Platform]과 [icoud], [[AWS]]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런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들은 [[인공지능]] 개발자들의 고스펙 하드웨어 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각자의 하드웨어 컴퓨터로 AI 개발을 하기에는 비용이 평균 $50K에 달하기 때문에 서로 리소스를 공유하자는 개념에서 나온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이더리움]]이 보안과 [[디파이(금융)|디파이]]를 지향하는 [[블록체인]]이라서 데이터 처리 능력이 뛰어난 별도의 체인을 만들기 위해 메인넷을 진행하였다. AIN 코인으로 리소스 제공자와 사용자가 서로 보상을 주고 받는 시스템이다. == 특징 == === 오픈 리소스 === [[웹2.0]] 세계로 본다면 [[Github]]에서 코드 등의 문서를 공유한다. [[웹3.0]]으로 오면서 프로그램도 서로 연결 가능해졌다. AI Network는 대용량 연산이 가능한 리소스를 서로 공유하며 저비용 고효율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파일:ainetwork_1.png|width=100%]]|| [[이더리움]]은 솔리디티라는 하나의 개발언어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하지만 AI Network를 통해 [[Java]], [[JavaScript]], [[C(프로그래밍 언어)]], [[Python]] 등의 보다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에 노드로 참여하려면 일정 수준 이상의 사양이 요구되어 일반인이 참여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오픈 리소스를 이용하여 고성능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컴퓨터부터 [[라즈베리 파이(컴퓨터)| 라즈베리]]에 이르는 특수 소형 컴퓨터까지 공유가 가능해서 이러한 문제를 저비용 고효율로 해결할 수 있다. === 확장성, 네트워크, 데이터 처리 === || || '''Blockchain''' || '''Serverless''' || '''AI Network''' || || '''Operation''' || Stateful || Stateless || Balance/Rules/Trigger State: Stateful [br]Value State: Stateless || || '''Access''' || Permissionless || Permissioned || Blockchain Validator: Permissionless [br]Trigger: Permissioned/Permissionless || || '''Storage''' || Persistent || Ephemeral || Persistent || || '''Network''' || Distributed || Decentralized || Distributed || || '''Scalability''' || Low || High || High || || '''Latency''' || High || Low || Low || || '''Data Capacity''' || Low || High || High || || '''Concurrency''' || Serialized || Concurrent || Concurrent || || '''Language''' || Monoglot || Polyglot || Polyglot || ||<-4> Comparison between Blockchain,Serverless and AI Network || == 파트너 및 투자 == [[서울대학교]], [[카이스트]], [[한성대학교]] 등의 대학교와 협업을 하고 있으며 [[하나은행]]이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AI Network와 제휴를 맺었다. 리눅스 재단 산하의 비영리 재단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 재단에도 합류했다. 30억 규모의 시리즈 A를 유치했으며 토큰 투자에는 [[LINE]] 산하의 라인테크플러스가 참여하였다. == 최근 소식 == consensus 2022에 참가하여 AINFT 프로젝트에 대해 발표함 [[https://medium.com/ai-network/announcement-learn-about-ainft-with-ai-network-in-consensus-2022-25e800f7ed52|이 곳]] 참조 AIN 스테이킹에 대한 한도가 증가하였음 [[https://medium.com/ai-network/announcement-the-limit-of-ain-staking-has-been-increased-1c7a1a64fdc1|이 곳]] 참조 [[분류:암호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