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marvellouswings.com/AGM-78%20Wright.jpg|width=100%]] [목차] == 개요 == '''AGM-78 Standard ARM'''[* ARM은 Anti Radiation Missile(대레이더 미사일)을 의미한다. 덕분에 줄여서 StARM이라 불리기도 했다.] '''AGM-78 스탠다드 암''' [[베트남전]]이 한창이었던 [[1960년대]] 후반,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이 주축이 되어 개발한 공대지 [[대레이더 미사일]]이다. 이전부터 대레이더 미사일인 [[AGM-45]] 슈라이크가 있었지만 짧은 사정거리와 약한 탄두, 생각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시커의 한계 덕분에 독자 개발하게 된다. 개발이 진행된 곳은 [[F-16]]으로 유명한 제너럴 다이나믹스(General Dynamics)로, 이 미사일도 슈라이크와 마찬가지로 개발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기존의 미사일을 개량하여 만들어진다. 토대가 된 미사일은 [[SM1|RIM-66 SM-1 스탠다드]] 함대공 미사일. [[1967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이듬해인 [[1968년]], 제식 채용될 정도로 엄청난 속도로 개발 및 채용까지 끝난 물건이다. 슈라이크보다 덩치가 크고, 사정거리가 더 길었으니 당연히 가격은 더 비쌌다. 그러나 초창기에는 시커 자체가 슈라이크와 동일했기에 추적 능력은 그다지 좋지는 않았다. == 변천 == A형이 1968년에 롤아웃되어 쓰이기 시작했고, A2형으로 개량되었는데 이는 발광 소자를 이용해 미사일이 명중한 지역을 밝힘으로써 이어지는 [[SEAD]] 공격을 더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후 [[1969년]], B형이 개발되었는데 시커의 추적 범위가 넓어졌으며[* 이때부터 거의 반경 180도 가량의 큰 지역을 탐색할 수 있게 되었다.] [[레이더]] 주파수에 관계 없이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또한 목표물의 전파 신호가 사라져도(레이더를 끄는 등의 방법으로) 마지막 위치를 기준으로 계속 추적하는 기능도 추가되었다. 초기형의 경우는 슈라이크처럼 [[레이더]] 신호가 사라지면 바로 추적 기능을 잃어버리고 관성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된 이유는 [[AGM-45]]A에 사용되었던 시커를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이었다.] 이후 [[1970년]]에 들어서 [[미 공군]]용으로 C형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B형과 동일하나 제작 단가를 낮추고 신뢰성을 높히는 데 중점을 두었던지라 성능 자체가 향상되지는 않았다. 물론, 기존에 남아 있던 모델들도 C형으로 [[마개조]]된다. 이후 [[1973년]], [[1976년]] 사이 D형이 생산되는데, [[로켓]]모터를 교체하여 사정 거리를 늘리고, 탄두를 더 큰 것으로 교체하는 개량을 거친 물건이다. 함선에 탑재되는 RGM-66D의 경우, AGM-78을 또다시 함선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원본인 RIM-66을 참고하여 개량한 물건이다. 이 또한 대레이더(혹은 대방사) 미사일로 적 함선의 [[레이더]]를 박살내는 역할을 한다. 물론, 지상의 [[대공 미사일|SAM]] 레이더도 사정 거리가 된다면 두들겨 맞는다. 슈라이크와 달리 널리 쓰이지는 못 하였고, 3,000발 가량 생산되는데 그쳤다. 생산 라인조차도 [[1970년대]]에 폐쇄되었고, 이후 [[AGM-88]]이 자리를 물려받게 된다. == 운용 == 역시나 [[베트남전]]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F-105]]G, [[A-6]], [[F-4 팬텀 II|F-4]]G에서 운용했다. 슈라이크와 달리 소형 기체인 [[A-4]]와 출력이 딸리는 [[A-7]]에서는 운용되지 않았는데, 이유는 맨 윗 부분에 나와 있듯이 엄청난 무게와 크기 때문. 본디 함대공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조한 것이라 F-105나 F-4같은 [[크고 아름다운]] 기체들에서나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었다. A-6같은 경우는 추력이 강하고 속도가 빨랐기 때문에 운용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더군다나 개발은 [[미국 해군]]에서 했지만 [[미국 공군]]에서 더 유용하게 써먹었다. 이는 여건상 비좁은 [[항공모함]]에서 사용되는 컴팩트한 기체들보다 공군의 크고 아름다운 기체들이 운용하기 더 편했기 때문. 역시나 [[이스라엘군]]은 이를 마개조하여 [[트럭]]에 장착해 운용하기도 했다. [[http://www.israeli-weapons.com/weapons/vehicles/self_propelled_artillery/keres/Keres.htm|Keres]] 시스템으로 [[2½톤 트럭]]이나 [[https://en.wikipedia.org/wiki/M809_series_5-ton_6x6_truck|M809 시리즈]] 5톤 트럭에 AGM-78을 3발 얹어서 쓴 것. 본디 AGM-78을 [[F-4 팬텀 II|Kurnass]]에서 운용했으나 4차 [[중동전쟁]] 이후로 지상 발사 플랫폼을 계획하게 된 것이다. Keres가 최초는 아니고, 그 이전에 [[AGM-45 슈라이크]]와 [[M4 셔먼]]의 차체를 이용한 [[http://www.israeli-weapons.com/weapons/vehicles/self_propelled_artillery/kilshon/Kilshon.html|Kilshon]]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었다. 다만 차체가 노후화되어 트럭으로 바꾼 것이다. 이러한 지상 플랫폼을 개발한 이유는 구소련제 방공망의 위력 때문이었다. 이 당시 방공망 때문에 상당한 피해를 입어 미군조차도 저공 침투를 다시 생각해볼 계기를 마련하게 될 정도였는데, 미군은 특수 기체들로 [[SEAD]]를 수행한 반면 이스라엘은 지상군을 동원했던 것이다. 외국에는 거의 팔리지 않은 무기지만 의외로 [[한국군]]에서는 이 무기를 운용한 경험이 있다. 바로 미국의 군사 원조로 도입한 [[애쉬빌급]] [[미사일 고속정]]이다. 한국 해군에서는 [[백구급]]으로 불리며, 미국이 건조하여 인도한 백구급 3번함까지는 원판과 동일하게 스탠더드 미사일 2연장 발사기가 그대로 달려있었고 20여년간 운용후 퇴역하였다. 다만 한국에서 자체 건조한 4번함부터는 [[하푼]] 대함 미사일로 교체되었다. == 제원 == || '''제작사''' ||General Dynamics|| || '''중량''' ||1,370[[파운드]] (620kg)|| || '''전장''' ||15[[피트]] (4.57m)|| || '''전폭''' ||42.5[[인치]] (1.08m)|| || '''지름''' ||13.5인치 (0.34m)|| || '''[[엔진]]''' ||1x 에어로젯 MK 27 MOD 4 2단 고체로켓|| || '''최대속도''' ||[[마하]] 1.8|| || '''사정거리''' ||56[[마일]] (90km)|| || '''탄두''' ||215파운드 (97kg) 파편 [[고폭탄]]|| || '''유도''' ||수동 레이더|| == 관련 문서 == * [[대레이더 미사일]] * [[SEAD]] * [[AGM-45]] [[분류:미군/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