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올 엘리트 레슬링]] [include(틀:AEW 위클리 쇼)] ||<-2> [[파일:AEW_Collision_Logo.png|width=100%]] [* WCW MONDAY NITRO 로고 오마주] || ||<-2> '''AEW 콜리전'''[br]''AEW Collision'' || || '''개최'''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All Elite Wrestling'' || || '''제작''' || '''토니 칸''' || || '''주제곡''' ||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 [br] by [[Elton John]] [[https://www.youtube.com/watch?v=38qGE_dw7gc|#]]''' || || '''중계진'''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토니 쉬바니[* 그간 백스테이지 인터뷰어를 전담하다가 2023년 10월 14일 방송분부터 리딩 아나운서로 투입되었다.], [[나이젤 맥기네스]], 케빈 켈리[* 2023년 10월 14일 방송분부터 토니 쉬바니가 리딩 아나운서를 맡게 되면서 케빈 켈리는 짐 로스가 합류하는 메인이벤트 중계에서는 빠지게 되었다.][br][[짐 로스]][* 71세의 고령으로 장시간 중계를 할 경우 목소리가 갈리지는 등 컨티션 저하의 문제가 있어 메인이벤트만 중계한다.], 이안 리카보니[* 케빈 켈리가 NJPW(신일본프로레슬링)에서 외국인 시청자를 위한 영어 중계를 여전히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케빈 켈리의 일본 출장시 이안 리카보니가 대신 중계를 맡는다.]''' '''[[카프리스 콜먼]]'''[* 나이젤 맥기네스가 없을 때 대신 중계를 맡는다.] || || '''링아나운서''' || '''다샤 곤잘레스''' || || '''백스테이지 인터뷰어''' || '''[[르네 파켓]]''', '''렉시 네어''' || || '''방송'''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TNT(미국 방송)|[[파일:TNT(미국) 로고.svg|width=25]]]] 매주 토요일 밤 8시(E)/5시(P)[br]'''[[https://www.fite.tv/|[[파일:FiteTV.jpg|width=20]]]] AEW 플러스'''[* 월간 4.99 달러의 시청료를 지불하면 실시간 스트리밍 가능.] || [목차] == 개요 == [youtube(F1EJFRkC5TA)] [[2023년]] [[6월 17일]]부터 매주 [[토요일]] [[TNT(미국 방송)|TNT]]에서 방송하는 [[올 엘리트 레슬링|AEW]]의 세 번째 위클리 쇼로, [[CM 펑크]]의 복귀 시점에 맞춰, [[TNT(미국 방송)|TNT]]의 모기업인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로부터 100만달러를 투자받아 만든 쇼이다. [[AEW 다이너마이트|다이너마이트]]와 마찬가지로 2시간 생방송으로 [[WWE]]의 [[WWE RAW|RAW]]와 [[스맥다운]]같이 [[올 엘리트 레슬링|AEW]]의 양대 TV쇼가 될 전망이다. == 출범 이후 == [[CM 펑크]]와 [[디 엘리트]] 멤버들 간의 사이가 매우 좋지 않은 만큼 [[AEW 다이너마이트|다이너마이트]]는 [[디 엘리트]]를 중심으로, 콜리전은 [[CM 펑크]]를 중심으로 사실상 쇼가 분리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예상했던대로 콜리전의 시작을 알리는 인트로 영상에서 스팅, 브라이언 다니엘슨 등은 있었지만, 디 엘리트 멤버인 영 벅스, 케니 오메가, 애덤 페이지는 없었다.] 백스테이지에서의 평판과는 달리 티셔츠 판매량 등 여전히 티켓 파워가 압도적인 [[CM 펑크]]를 전면에 내세우는 만큼 첫 방송도 그의 고향인 [[시카고]]에서 열리게 되었다. 첫 방송의 메인이벤트로는 [[사모아 조]], [[제이 화이트]], [[쥬스 로빈슨]]과 [[CM 펑크]], [[FTR(프로레슬링)|FTR]]이 맞붙는 6인 태그팀 경기가 확정되었다. 중계진으로는 [[ROH]]를 담당하고 있는 케빈 켈리, [[나이젤 맥기네스]]와 베테랑 [[짐 로스]]가 맡게 되었다.[* 짐 로스는 첫 방송이 있던 날 아침에 낙상 사고로 눈부상을 당해 한동안 출연하지 않다가, 2023년 8월 5일에 복귀했다.] 이를 볼 때, [[AEW 다이너마이트|다이너마이트]]의 언더카드로 [[AEW 램페이지|램페이지]]가 같은 장소에서 녹화되고 있듯이, 콜리전의 언더카드로 [[ROH]]가 같은 장소에서 녹화될 확률이 높아졌다. 실제로 [[ROH]]의 여성부 챔피언인 [[아테나(프로레슬러)|아테나]]와 [[키에라 호건]]의 스트리트 파이트 경기가 콜리전이 첫 번째로 개최될 [[시카고]]의 유나이티드 센터에서 열리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콜리전을 중심으로 활동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CM 펑크]]가 [[2023년]] [[6월 21일]]에 열린 [[AEW 다이너마이트|다이너마이트]]에 깜짝 등장하였다. 하지만, [[CM 펑크]]의 고향인 시카고에서 열렸다는 점, 그리고 [[디 엘리트]] 멤버들이 사전에 녹화한 영상으로만 출연하여 현장에 없었다는 점 등이 고려된 극히 예외적인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CM 펑크]]는 이 날 오프닝 경기가 끝난 직후 등장하여 "나는 콜리전 가이다. 여기 있으면 안 되는 사람이다. 토요일에 보자."(I'm a collision guy. I'm not even supposed to be here. I'll see you chumps saturday.)라고 외치며 바로 경기장을 떠났다. [[2023년]] [[8월 27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AEW 올 인 2023|PPV 올 인]] 백스테이지에서 [[CM 펑크]]는 [[잭 페리]]와 난투극에 휘말리며[* 자신이 원하는 선수들로만 콜리전 출연진을 구성하려고 했던 CM 펑크는 잭 페리, 크리스토퍼 다니엘스, 매트 하디 등 일부 선수들을 콜리전에 출연하지 못하도록 막은 바 있었다.], 정확히 1년 만에 똑같은 사유로 출장정지 징계를 받게 되었다. 더욱 더 치명적인 것은 온갖 욕을 먹어가면서도 [[CM 펑크]]를 감싸주었던 [[토니 칸]] 회장을 향해서도 AEW를 그만둘거라는 막말을 퍼붓고 기물을 던지고 위협을 가하는 행동을 한 것으로 밝혀져 결국 9월 2일부로 AEW에서 해고가 되었고, [[CM 펑크]]의 --똥꼬--쇼로 기획되었던 콜리전의 방향성도 대폭 수정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9월 2일]]에 [[시카고]]에서 열린 콜리전은 [[토니 칸]] 회장이 [[CM 펑크]]의 해고를 결정했다는 발표와 함께 시작하며, 처음으로 [[CM 펑크]]가 없는 콜리전이 되었다. [[CM 펑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NBA]] [[시카고 불스]]의 레전드이자 [[WCW]] 시절 잠시 프로레슬러로도 활동했었던 [[데니스 로드맨]]을 깜짝 게스트로 투입하였고, 오른팔 골절로 한동안 나오지 못했던 [[브라이언 다니엘슨]]도 컴백시켰으며, [[디 엘리트]] 멤버인 [[영 벅스]]도 출연하였다. == 고정 출연진 == === CM 펑크 해고 이전 (2023년 6월 17일 ~ 2023년 8월 26일) === 아래의 선수들은 거의 콜리전에만 등장하거나 혹은 콜리전에서만 경기를 했다. * [[CM 펑크]] * [[FTR(프로레슬링)|FTR]]: 캐쉬 휠러, 댁스 하우드[* FTR은 AEW 태그팀 챔피언인 관계로 다이너마이트에도 등장하지만, 콜리전이 신설된 후로는 경기는 오직 콜리전에서만 하고 있다.] * [[사모아 조]] * [[불릿 클럽|불릿 클럽 골드]]: [[제이 화이트]], [[쥬스 로빈슨]], [[오스틴 건]], [[콜튼 건]] * [[리키 스탁스]] * [[파워하우스 홉스]] * 하우스 오브 블랙: [[맬러카이 블랙]], [[버디 매튜스]], [[브로디 킹]], [[줄리아 하트(프로레슬러)|줄리아 하트]] * [[안드라데 엘 이돌로]] * 디 어클레임드: [[맥스 캐스터]], [[앤서니 보웬스]] * [[크리스찬 케이지]] * [[루차사우루스]] * [[워드로우]] * [[미로(프로레슬러)|미로]] * [[스콜피오 스카이]] === CM 펑크 해고 이후 (2023년 9월 9일 ~ ) === * [[FTR(프로레슬링)|FTR]]: 캐쉬 휠러, 댁스 하우드 * --[[불릿 클럽|불릿 클럽 골드]]: [[제이 화이트]], [[쥬스 로빈슨]], [[오스틴 건]], [[콜튼 건]]--[* 제이 화이트의 AEW 월드 챔피언 도전으로 인해 다이너마이트에도 출연하게 되었다.] * [[리키 스탁스]] * [[빅 빌]] * [[안드라데 엘 이돌로]] * [[미로(프로레슬러)|미로]] * [[C.J. 페리]] * --[[파워하우스 홉스]]--[* 돈 칼리스 패밀리에 합류하며 다이너마이트에 출연하기 시작했다.] * [[키스 리]] == 특집 에피소드 == === 2023년 === * 8월 19일: 파이트 포 더 폴른 * 8월 26일: 파이터 페스트 == 리얼 월드 챔피언십 == [[파일:intro-1690680914.jpg|width=75%]] [[CM 펑크]]는 [[2022년]] [[9월 4일]]에 열린 [[PPV]] [[AEW 올 아웃 2022|올 아웃]]에서 [[존 목슬리]]를 꺾고 [[AEW 월드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그러나 올 아웃이 끝난 직후 기자회견에서 [[디 엘리트]] 멤버들을 맹비난하는 발언을 했고, 이에 격분한 [[디 엘리트]] 멤버들이 [[CM 펑크]]의 락커룸으로 찾아가 항의하다가 [[CM 펑크]]와 [[디 엘리트]] 멤버들 간 불미스러운 난투극이 벌어지고 말았다. 결국 난투극에 가담한 전원이 출장 정지의 징계를 받았고, [[CM 펑크]]도 챔피언을 박탈당했다. [[CM 펑크]]는 [[2023년]] [[7월 29일]]에 열린 콜리전에 등장하여 자신이 경기에서 패배하여 챔피언의 지위를 잃은 게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자신이 챔피언이라고 주장하며, 빨간 주머니 속에 들어있던 AEW 세계 챔피언 벨트를 공개하였다. 그리고 거기에 [[래커|락카 스프레이]]로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인 'X'를 칠하며 '''리얼 월드 챔피언십 벨트'''라고 명명한다.[* 공교롭게도 벨트 메인 플레이트에 있는 알파벳 AEW 중에 'E' 부분에 래커의 X칠이 관통하는데 이게 [[디 엘리트]] 맴버들을 부정하고 디스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팬들 사이에서 돌기도 했다.] [[CM 펑크]]와 [[리키 스탁스]]의 '''리얼 월드 챔피언십''' 경기가 [[2023년]] [[8월 5일]] 콜리전의 메인이벤트로 승인이 되면서, 향후 콜리전에서만 볼 수 있는 전용 챔피언십이 될 전망이다. 물론, [[올 엘리트 레슬링|AEW]]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챔피언십은 아니기 때문에 [[FT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같은 비공식 타이틀이 될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높다. [[CM 펑크]]가 [[리키 스탁스]]와의 '''리얼 월드 챔피언십'''에서 방어에 성공하였고, [[사모아 조]]가 [[영국]]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올 엘리트 레슬링|AEW]]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이벤트인 [[AEW 올 인 2023|올 인]]에서 자신과 맞붙자고 도전장을 내밀었다. [[2023년]] [[8월 27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AEW 올 인 2023|올 인]]에서 [[사모아 조]]를 상대로 [[GTS#s-3|G.T.S]]가 아닌 [[ROH]] 시절 피니시 무브였던 펩시 플런지를 사용하여 두 번째 방어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백스테이지에서 [[잭 페리]]와 난투극을 벌이고, [[토니 칸]] 회장에게 물리적 위협을 가한 것이 밝혀져, 미국 시간으로 2023년 9월 2일부로 [[https://twitter.com/AEW/status/1698071772543738090|펑크의 해고가 결정되었고]] 결국 '''리얼 월드 챔피언십'''은 한 달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 리얼 월드 챔피언 목록 === || # || '''이름''' || '''챔피언 횟수''' || '''등극한 날''' || '''이벤트''' || '''비고''' || || '''1''' || [[CM 펑크]] || 1회 || 2023년 7월 29일 || AEW 콜리전 || [* AEW 세계 챔피언십 벨트를 들고 나와 [[래커|락카 스프레이]]로 'X'를 칠하며 스스로를 리얼 월드 챔피언이라고 선언하였다.] || [[분류:올 엘리트 레슬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