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ACR''' }}} }}}[br]{{{#white ''Advanced Combat Rifle''}}}[br]{{{#white 발전형 전투용 소총}}} || ||<-2> [[파일:acr-program_logo 0.png|width=300]] || ||<-2>{{{#white '''이력'''}}} || ||'''역사'''||1982년~1990년 || ||'''분류'''||[[돌격소총]] 도입 || ||'''국가'''||[[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합중국]] || ||'''운용'''||[[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23]] [[미합중국 육군]] || ||'''담당'''||[[파일:external/www.army.mil/amc.png|width=23]] 미합중국 육군병기연구개발사령부 || ||'''계약'''||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ACR(발전형 전투용 소총, Advanced Combat Rifle)은 1982년부터[* 6개 회사 간의 경합이 본격적으로 실시된 1986년 제1차 심사(ACR Phase I)를 시작점으로 보는 견해가 대부분이지만, 각종 공식 및 비공식 문서들에서 교차 언급되는 개시 시기는 1982년에서 1983년 사이로 볼 수 있다.] 1990년까지 진행된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의 차기 [[제식 소총]] [[사업]]이며, 여러 기종들이 채택을 놓고 경합을 벌였지만 주요 비교 대상인 [[M16A2]]와의 성능 격차를 내지 못하고 중단되었다. == 상세 == === 심사 이전 === ||<-4>
'''무탄피탄 기술 연구개발, 1982년~1985년[br]경합 전환, 1985년~1986년''' || || '''사진''' || '''명칭''' || '''개발''' || '''참조''' || ||[[파일:external/modernfirearms.net/1454865908.jpg|width=100]] ||[[H&K G11|G11]]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헤클러 운트 코흐]] || [[https://armourersbench.com/2017/11/19/an-introduction-to-the-heckler-koch-g11/| ]] || ||[[파일:aai-cw_sheet 0.jpg|width=100]] ||CW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 [[https://armourersbench.com/2018/02/18/aai-advanced-combat-rifle/| ]] || ||<-4>{{{#!folding 타임라인 펼치기 · 접기 * [[http://web.archive.org/web/20201030134324/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0/|1980년]] * 4월 - [[미국|미]] [[미국 하원|하원]] 군사위원회에서 [[JSSAP|미군 합동 제식 소화기 사업부]]에게 현용 [[제식 소총]]인 [[M16A1]]의 결함 여부와 향후 차기 제식 소총이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파악하는 CRS(전투용 소총 연구, Combat Rifle Study)를 요청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029222332/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1/|1981년]] * 1월 - M16A1의 개수를 유지하되 성능이 크게 향상된 대체자의 개발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따로 필요하다는 CRS 결과가 도출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10119124444/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2/|1982년]] * 4월 - 제임스 R. 앰브로즈 [[육군부|미 육군부]] 차관은 10~12년에 걸친 ACR(발전형 전투용 소총, Advanced Combat Rifle) 명칭의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시켰다. * 9월 - 피카티니 [[조병창]]의 소구경 무기 시스템 및 발사 제어 연구소에서 [[H&K G11|G11]]의 [[헤클러 운트 코흐]] 사와는 3,800,000달러의 계약이, CW([[총알/탄자의 종류#무탄피탄|무탄피탄]] 화기, Caseless Weapon)의 AAI 사와는 3,300,000달러의 계약이 25개월의 기간을 두고 각각 맺어졌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205010949/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3/|1983년]] * 불명 - 앰브로즈 미 육군부 차관은 [[미합중국 육군훈련교리사령부|미 육군훈련교리사령부]]에 ACR의 운용 교리를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 불명 - [[콜트(총기회사)|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평평한 윗총몸을 갖춘 [[M16A2]] 개발에 착수했다. * 3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1,14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7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243,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미합중국 육군물자사령부|미 육군병기연구개발사령부]]에서 헤클러 운트 코흐 및 AAI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679,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025155315/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4/|1984년]] * 불명 - 앰브로즈 미 육군부 차관은 ACR 사업 및 관련 계획의 예산 증액을 지시했다. * 불명 - [[포트 베닝|미 육군보병학교]]에서 ACR 사업 협의회가 진행되었다. * 3월 - 미 육군병기개발사령부에서 AAI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25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3월 - 미 육군병기개발사령부에서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712,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미 육군병기개발사령부에서 AAI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147,000달러 및 33,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11225/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5/|1985년]] * 1월 - ACR 사업 운영 및 조직 계획이 승인되었다. * 1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14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2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1,312,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3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15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3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23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4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33,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397,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1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106,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ACR 사업 제안요구서가 발표되었다. * 9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27,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197,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
[[파일:undersec-ambrose_1983 0.jpg|width=580]] || || [[https://nara.getarchive.net/media/under-secretary-of-the-army-james-r-ambrose-announces-the-selection-of-a-contractor-ec0dfa| ]] 1983년 이동 무선 장비(MSE) 사업 계약자를 발표하는 앰브로즈 미 육군부 차관 || 1982년 4월에 열린 [[JSSAP|미군 합동 제식 소화기 사업(JSSAP)]] 관리 위원회에 참석한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R._Ambrose|제임스 R. 앰브로즈(James R. Ambrose)]][*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 연구소(United States Naval Research Laboratory) 복무 경력을 바탕으로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에어로스페이스(Ford Aerospace)]] 사의 기술 부문 부회장을 맡다가 1981년에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게 미 육군부 차관으로 임명되어 1988년까지 업무를 수행했으며, 2017년에 94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육군부|미 육군부]] 차관은 [[의회]]의 권고로 내려진 [[https://books.google.co.kr/books?id=_BJgKhwD2o4C&pg=PT132&lpg=PT132&dq=1981+joint+service+Rifle+Product+Improvement+Program&source=bl&ots=poTiqu6PTD&sig=ACfU3U0jA18g2kpoa9yLavSHh3CGmcTzXw&hl=ko&sa=X&ved=2ahUKEwjz1O7TzO_3AhVhq1YBHXi-AWQQ6AF6BAgiEAM#v=onepage&q=1981%20joint%20service%20Rifle%20Product%20Improvement%20Program&f=false|JSRPIP(합동 제식 소총 개량 사업, Joint Service Rifle Product Improvement Program)]] 결정에도 여전히 불만족스러운 [[M16 소총|M16]] 계열의 대체를 위한 사업을 10~12년에 걸쳐 진행할 것을 표명했다. 또한 [[미국]] [[뉴저지|뉴저지 주]] 피카티니 [[조병창#미국|조병창]] 내의 FCSCWSL(소구경 무기 시스템 및 발사 제어 연구소, Fire Control and Small Caliber Weapon Systems Laboratory)에서는 [[헤클러 운트 코흐]] 사와 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AAI) 사의 CARS([[총알/탄자의 종류#무탄피탄|무탄피탄]] [[소총]], Caseless Ammunition Rifle System) 및 초고속 [[점사]](Salvo) 관련 [[연구개발]] 계약이 맺어져 동년 9월부터 1985년 9월까지 진행되었다. === 심사 진행 === ||<-4>
'''제1차 심사, 1986년~1987년[br]제2차 심사, 1987년~1988년[br]제3차 심사, 1988년~1990년''' || || '''사진''' || '''명칭''' || '''개발''' || '''참조''' || ||[[파일:h&k-g11(early) 0.jpg|width=100]] ||[[H&K G11|AC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헤클러 운트 코흐]] || [[https://armourersbench.com/2017/11/19/an-introduction-to-the-heckler-koch-g11/|제1~3차]] || ||[[파일:external/dundjinni.com/E_Steyr_ACR.png|width=100]] ||[[ACR#s-1]]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3]] [[슈타이어 암즈|슈타이어-만리허]] || [[https://armourersbench.com/2018/02/25/steyr-advanced-combat-rifle/|제1~3차]] || ||[[파일:external/s14.postimg.org/colt-advanced-combat-rifle-united-states.jpg|width=100]] ||[[ACR#s-1]]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콜트(총기회사)|콜트 인더스트리즈]] || [[https://armourersbench.com/tag/colt-acr/|제1~3차]] || ||[[파일:external/tonnel-ufo.ru/aai_acr-5.jpg|width=100]] ||[[ACR#s-1]]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 [[https://armourersbench.com/2018/02/18/aai-advanced-combat-rifle/|제1~3차]] || ||[[파일:ares-aiwc_sheet 0.jpg|width=100]] ||AC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유진 스토너|아레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올린 || [[https://guns.fandom.com/wiki/ARES-Olin_AIWS|제1~2차]] || ||[[파일:mdhc-acr_sheet 0.png|width=100]] ||AC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맥도넬 더글라스|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 [[https://guns.fandom.com/wiki/McDonnell_Douglas_AIWS|제1~2차]] || ||<-4>{{{#!folding 타임라인 펼치기 · 접기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6/|1986년]] * 불명 - 미 육군훈련교리사령부의 지원을 받아 작성된 미 육군보병학교의 SAS 2000([[소화기(동음이의어)#小火器: 소형 화기 혹은 개인 화기|소화기]] 전략 2000, Small Arms Strategy 2000) 보고서에는 이미 기술적인 한계에 도달한 종래의 소화기 기술 대신 목표물 주변에서 폭발하는 [[탄자]]를 사용해 명중률을 높여야 한다는 [[XM29 IAWS|AICW(발전형 전투용 개인화기, Advanced Individual Combat Weapon)]], [[XM307 ACSW|ACSW(발전형 공용화기, Advanced Crew-Served Weapon)]], APDW(발전형 [[PDW|호신화기]], Advanced Personal Defense Weapon)로 이루어진 대체 방안이 제시되었다. * 2월 - 미 육군 병기개발연구소에서 ACR 사업의 참가 업체 조사가 진행되었다. * 4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900,000에서 1,0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3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ACR 사업의 제1차 심사에는 AAI, [[유진 스토너|아레스]], [[콜트(총기회사)|콜트 인더스트리즈]], 헤클러 운트 코흐, [[맥도넬 더글라스|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슈타이어 암즈|슈타이어-만리허]] 사가 선정되었다. * 9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59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아레스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79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59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82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452,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12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503,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7/|1987년]] * 1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5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1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무탄피 탄약 연구개발과 관련된 37,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2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https://www.inveristraining.com/firearms-training-systems-history|FATS(화기 훈련용 시뮬레이터, Firearms Training Systems)]]를 통한 조준장비 시험에 착수하였다. * 3월 - ACR 사업의 제2차 심사에는 AAI, 콜트 인더스트리즈, 헤클러 운트 코흐, 슈타이어-만리허 사가 선정되었으며, 제외된 아레스 및 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사는 이에 대해 항소했다. * 3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3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3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166,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3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171,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3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아레스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19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3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13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472,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434,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387,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7월 -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울리히 제드로서 수석 디자이너는 미국에 탄자 내장형 탄약과 관련된 [[특허]]를 출원했다. * 7월 -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제드로서 수석 디자이너는 미국에 ACR 설계와 관련된 특허를 출원했다. * 8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255,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6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아레스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1,152,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67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10월 - 미 육군병기개발연구소의 ACR 사업부에서 삼사분기 검토 회의가 진행되어 아레스 및 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사가 제2차 심사에 재참여했음을 밝혔다. * 10월 -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제드로서 수석 디자이너는 미국 특허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4702144A/en|4,702,144번]]을 출원했다. * 11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는 ACR 설계의 중간 검토 중에 [[점사]] 기능을 포기하는 결정을 내렸다. * 11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643,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11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693,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11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34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12월 -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제드로서 수석 디자이너는 ACR 전용 SCF([[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플라스틱 탄피 탑재형 플레셰트]], Synthetic Case Flechette) 탄약의 뇌관 설계와 관련된 특허를 출원했다. * 12월 - 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사에서 [[https://en.wikipedia.org/wiki/Chiclets|치클렛(Chiclet)]] 별칭의 [[https://www.cartridgecollector.net/556-x-30-hughes-lockless|탄자 내장형 탄약]]에 맞춘 AIWS(발전형 개인화기, Advanced Individual Weapon System) 개발에 착수했다. * 12월 -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제드로서 수석 디자이너는 미국에 ACR 설계와 관련된 여러 특허를 출원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8/|1988년]] * 1월 - 미 육군병기개발연구소의 ACR 사업부에서 제2차 심사의 사사분기 검토 회의가 진행되었다. * 1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의 ACR에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나이츠 아머먼트]] 사의 MBC([[총구제동기|총구제동]][[소염기]], Muzzle Brake/Compensator)로 교체하여 반동과 발사음이 감소되는 성과를 얻었다. * 1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449,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2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올린 사의 [[총알/탄자의 종류#듀플렉스/트리플렉스, Duplex/Triplex|이중탄자 탄약]], ELCAN([[라이카(기업)|에른스트 라이츠]] [[캐나다]], Ernst Leitz CANada) 사의 3.5배율 조준경, KAC 사의 MBC, 자사의 7지점 신축식 [[개머리판]]을 ACR에 적용시키는 결정을 내렸다. * 3월 -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H&K G11|G11K1]]이 [[서독]]의 기술 심사에 제출되었다. * 4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ACR의 반동 제어를 위해 유압완충기 설계를 변경하였다. * 4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157,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4월 -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제드로서 수석 디자이너는 미국 특허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4739570A/en|4,739,570번]]을 출원했다. * 5월 - ACR 사업의 제3차 심사에는 AAI, 콜트 인더스트리즈, 헤클러 운트 코흐, 슈타이어-만리허 사가 선정되었다. * 5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104,000달러 및 7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헤클러 운트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5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8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7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G11K1이 안전 인증을 받았다. * 6월 - 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사가 ACR 사업에서 탈락했다. * 6월 -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G11K1이 서독의 보병 심사에 제출되었다. * 7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헤클러 운트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532,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7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2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7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269,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헤클러 운트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989,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아레스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4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2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제드로서 수석 디자이너는 미국 특허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4760663A/en|4,769,663번]]을 출원했다. * 9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헤클러 운트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493,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헤클러 운트 코흐 사가 미 방산협회 소화기 심포지엄에서 G11 LMG(경기관총형, Light Machine gun)을 공개했다. * 9월 - 아레스 사의 공동 창립자 [[유진 스토너]]는 미국 특허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4770098A/en|4,770,098번]]을 출원했다. * 11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ACR의 마지막 제2차 진척도 시연을 진행했다. * 11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80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12월 - 피카티니 조병창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212,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9/|1989년]] * 1월 - [[https://books.google.co.kr/books?id=T6QrAAAAYAAJ&pg=RA4-PA32&lpg=RA4-PA32&dq=us+army+amccom&source=bl&ots=MU1_96lwJY&sig=ACfU3U3DvomuZsIjUVbKfOnuUU7Wa9y2uw&hl=ko&sa=X&ved=2ahUKEwjn1JaY-Ij4AhVSBaYKHZP4D_IQ6AF6BAgaEAM#v=onepage&q=us%20army%20amccom&f=false|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291,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1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ELCAN 사의 ACR 전용 조준경의 성능을 시험했다. * 2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ACR 시제품 6정을 완성했다. * 2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72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3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facility/aberdeen.htm|CTSA(전투시스템시험부, Combat Systems Test Activity)]]에 제3차 심사용 ACR을 제출했다. * 3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의 폴 G. 케네디는 ACR의 [[총열덮개]] 설계와 관련된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5010676/en|특허]]를 출원했다. * 3월 - 헤클러 운트 코흐 사에서 ACR 5정과 전용 탄약 6,000발을 제출했다. * 4월 - 총 다섯 제출품 중 아레스 사의 ACR을 제외한 나머지 4개로 압축되었으며, 이후 [[포트 베닝]]에서 9개월 간의 현장 실험이 진행되었다. * 4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376,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제3차 심사에 제출된 ACR의 최종 실사격 시험을 진행했으며, 마지막으로 제조된 15정 또한 현장 평가에 제출되었다. * 5월 -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제드로서 수석 디자이너는 ACR 전용 SCF 탄약의 [[뇌관]] 설계와 관련된 특허를 출원했다. * 6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23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7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현장 시험 인원의 ACR 조작 숙지에 착수했다. * 7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386,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7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아레스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117,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에서 ARMS 사가 레일의 내구력을 높인 ACR의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6/smallarms/swan.pdf|윗총몸]] 견본을 수령했다. * 8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콜트 인더스트리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216,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163,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5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8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260,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9월 -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제드로서 수석 디자이너는 미국에 ACR 설계와 관련된 여러 특허를 출원했다. * 11월 - 헤클러 운트 코흐 사에서 ACR 15정과 전용 탄약 90,000발을 2회에 걸쳐 추가 제출했다. * 12월 - 모든 제출품의 총 6,000발 내구성 시험이 진행되었다.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626/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90/|1990년]] * 3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ACR 사업 제출품의 [[전시상황|전시]][[국제법]] 준수 여부에 대한 미 육군 [[군법무관#미군|법무감]]의 검토를 요청했다. * 3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헤클러 운트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167,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3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73,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5월 - 미 육군 법무실 국제법무과에서 ACR 사업의 모든 제출품은 전시국제법을 준수 중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음을 밝혔다. * 7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AAI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73,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체결되었다. * 7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헤클러 운트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98,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해제되었다. * 7월 - 미 육군병기탄약화학사령부에서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사업과 관련된 53,000달러의 수정 계약이 해제되었다. * 8월 - ACR 사업의 현장 시험이 종료되었다. * 9월 - 미 육군이 주관한 ACR 사업의 모든 시험이 종료되었다. }}}|| ||
[[파일:acr_contenders.jpg|width=580]] || || 제3차 심사의 제출품을 소지한 각 회사 직원들[* 하단 중앙에는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유명한 개발자 중 한명인 짐 샤츠(Jim Schatz) 별명의 [[https://sadefensejournal.com/tribute-james-richard-jim-schatz/|제임스 리처드(James Richard)]]가 있다.] || 그동안의 지지부진한 연구개발에서 벗어나 각기 다른 소화기 기술을 제시한 총 6개 회사들의 공개 경합으로 바뀐 제1차 심사가 1986년 9월에 진행되었으며, 이때 기준 미달 평가를 받아 제2차 심사에 제외된 [[유진 스토너#ARES 사에서|아레스]] 사와 [[맥도넬 더글라스|맥도넬 더글라스 헬리콥터]] 사는 별도의 AIWS(발전형 개인화기, Advanced Individual Weapon System) 계획으로 보완하여 재참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모두 탈락하고 말았다. ||
[[파일:acr_usa-testers.jpg|width=580]] || || 제3차 심사의 제출품을 소지한 미 육군 시험인원들[* 좌로부터 콜트 사의 ACR, AAI 사의 ACR, 콜트 사의 [[M16A2]], 슈타이어-만리허 사의 ACR,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ACR을 들고 있다.] || 제3차 심사는 1989년 4월부터 [[미국]] [[조지아주|조지아 주]] [[포트 베닝]]에서의 현장 실험이 주가 되어 진행되었는데, 여기서도 모든 제출품들이 비교 대상으로 쓰인 [[M16A2]]의 명중률을 뛰어넘지 못하자 8년 가량의 긴 시간과 약 3억 달러의 막대한 예산 투입을 뒤로 한채 1990년 4월을 기해 그대로 중단되었다. 그대신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Army_Infantry_School|미 육군보병학교]]의 [[https://books.google.co.kr/books?id=DYSJnUDFJsYC&pg=PA545&lpg=PA545&dq=us+army+infantry+school+small+arms+strategy+2000+1986&source=bl&ots=dk_Zt5tfu7&sig=ACfU3U2v9voAcx9KJtQT-Z3wwmLZMstlsg&hl=ko&sa=X&ved=2ahUKEwjjwZW975X4AhVDE4gKHa-6AiwQ6AF6BAgCEAM#v=onepage&q=us%20army%20infantry%20school%20small%20arms%20strategy%202000%201986&f=false|SAS 2000(소화기 전략 2000, Small Arms Strategy 2000)]] 및 [[미합중국 육군훈련교리사령부|미 육군훈련교리사령부]]의 [[https://books.google.co.kr/books?id=vGtSVXEfJLUC&pg=RA2-PA2&dq=tradoc+Small+Arms+Master+Plan&hl=ko&sa=X&ved=2ahUKEwi6mvmaoKD4AhURglYBHb7-AOIQ6AF6BAgIEAI#v=onepage&q=tradoc%20Small%20Arms%20Master%20Plan&f=false|SAMP(소화기 종합 계획, Small Arms Master Plan)]] 보고서를 통해 제시된 공중폭발탄 운용으로 초점이 바뀌는 동시에 미래의 [[네트워크 중심전]]에 대비하기 위한 [[Future Combat Systems|현대화]] 움직임 중 하나인 OFSA([[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agency/army/objective-force.htm|목적군]][* 1999년 [[에릭 신세키]] [[육군참모총장#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참모총장]]의 지지 아래 추진된 재편제안으로, 전세계 신속 전개 및 다수의 무인장비 운용을 추구했으며 [[테러와의 전쟁]] 이후에 점점 축소되어 일부만 실현되었다.] 소화기 계열, Objective Family of Small Arms)[* 이는 [[XM29 IAWS|복합소총(OICW)]], [[XM307 ACSW|자동유탄기관총(OCSW)]], [[바렛 XM109|저격소총(OSW)]], [[PDW|호신화기(OPDW)]]로 구성되었으나, 역시 모두 백지화되었다.] 사업으로 이어졌다. == 출처 == *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acr.htm]] * [[https://en.wikipedia.org/wiki/Advanced_Combat_Rifle]] * [[http://futurewarstories.blogspot.com/2019/12/guns-from-future-us-army-advanced.html]] * [[https://books.google.co.kr/books?id=ETVEAQAAIAAJ&pg=RA10-PA303&dq=acr+caseless+ammunition+rifle+system+cars&hl=ko&sa=X&ved=2ahUKEwj2v97Awfb3AhWpG6YKHfZnDxwQ6AF6BAgJEAI#v=onepage&q=acr%20caseless%20ammunition%20rifle%20system%20cars&f=false]] * [[https://books.google.co.kr/books?id=-AA7AQAAMAAJ&pg=PA104&lpg=PA104&dq=Joint+Service+Small+Arms+Program+1982+acr&source=bl&ots=F5n0XzDajH&sig=ACfU3U2N79VsfMU4f2JDFWktdqbnJqXUYQ&hl=ko&sa=X&ved=2ahUKEwiDuMGVuPX3AhV6qVYBHRxqBD0Q6AF6BAgCEAM#v=onepage&q=Joint%20Service%20Small%20Arms%20Program%201982%20acr&f=false]] * [[https://books.google.co.kr/books?id=eVXVJMKmSvsC&pg=PA3&lpg=PA3&dq=advanced+combat+rifle+1982&source=bl&ots=8qkDcnfVo8&sig=ACfU3U1o9ul1hbDZsD1xrvm0mje3dsEbOg&hl=ko&sa=X&ved=2ahUKEwj327PS7fX3AhVbPnAKHWyKBD44ChDoAXoECBQQAw#v=onepage&q=advanced%20combat%20rifle%201982&f=false]] * [[https://books.google.co.kr/books?id=Jj1aKPLuvRYC&pg=PA7&dq=advanced+combat+rifle+phase+i&hl=ko&sa=X&ved=2ahUKEwiB4rjUp4H4AhUIwosBHYTMAhI4ChDoAXoECAUQAg#v=onepage&q=advanced%20combat%20rifle%20phase%20i&f=false]] * [[https://books.google.co.kr/books?id=_BJgKhwD2o4C&pg=PT138&lpg=PT138&dq=us+army+ACR+AIWS&source=bl&ots=poTitycNSF&sig=ACfU3U1dbInHZSHXsKVhKQ_QTz8sS2553g&hl=ko&sa=X&ved=2ahUKEwi797fq1Pn3AhXMwosBHR9PAvMQ6AF6BAhIEAM#v=onepage&q=us%20army%20ACR%20AIWS&f=false]] * [[https://www.docdroid.net/ffL1XVy/s00440-pdf#page=4]] * [[https://apps.dtic.mil/sti/pdfs/ADA168577.pdf]] == 관련 문서 == * [[미군/장비/보병 무기/관련 사업]] [[분류:군사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