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XM19 SFR)] ||<-2>
{{{#white '''{{{+3 ACR}}}'''[br]''Advanced Combat Rif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cw_sheet 0.jpg|width=100%]]}}}|| ||<-2><:> {{{#000,#ddd {{{-1 CW / 전기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onnel-ufo.ru/aai_acr-5.jpg|width=100%]]}}}|| ||<-2><:> {{{#000,#ddd {{{-1 ACR / 후기형}}}}}} || || '''종류''' ||[[돌격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
{{{#White '''이력'''}}} || || '''역사''' ||[[1982년]]~[[1991년]] || || '''개발 및 생산''' ||[[AAI]] || || '''생산년도''' ||[[1982년]]~[[1986년]](CW)[br]1986년~[[1991년]](ACR)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white '''기종'''}}} || || '''원형''' ||[[XM19 SFR#XM70|SSFR]](CW)[br][[XM19 SFR#SBR|SBR]](ACR) || ||<-2> {{{#white '''제원'''}}} || || '''탄약''' ||[[https://guns.fandom.com/wiki/5.56%C3%9725mm_AAI_AIWS|5.56×25mm AAI AIWS]](CW)[br]5.56×45mm [[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플레셰트]](ACR)[br]5.56×47mm 플레셰트(ACR) || || '''급탄''' ||30발들이 박스형 [[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 || '''총열길이''' ||540 mm || || '''전장''' ||1,016 mm || || '''조준 반경''' ||500 mm || || '''중량''' ||3.53 kg(본체) || || '''발사속도''' ||1,800~2,000 RPM(3점사)[br]600 RPM(단발) || || '''탄속''' ||1,402 m/s || || '''유효사거리''' ||610 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pJCwC2MBrx4)] || [youtube(LrQRrGU7NBY)] || || AAI ACR 시연 영상 || AAI ACR 리뷰 영상 || [[AAI]] ACR(Advanced Combat Rifle, 발전형 전투용 소총)은 [[미합중국 육군]]의 [[ACR(군사사업)|발전형 전투용 소총]] 사업에 제출된 [[프로토타입|시험용]] [[돌격소총]]이다. == 역사 == ||
[[파일:acr_contenders.jpg|width=100%]] || || '''제3차 심사용 제출품[* 좌측 상단을 기준으로 [[콜트 ACR]], [[슈타이어 ACR]], [[H&K G11|H&K ACR]], AAI ACR, H&K ACR이 있다. 중간의 뜬금없는 캐릭터는 [[http://thinkinghand.co.kr/2017/12/25/gumby-imagined-story-art-clokey-creations/|검비]].]''' || 이는 발전형 전투용 소총 사업이 공개 입찰로 바뀌기 전의 초기 연구 단계인 [[http://web.archive.org/web/20201205010949/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2/|1982년]]부터 개발되어 1989년의 제3차 심사 마지막까지 남은 [[콜트(총기회사)|콜트]], [[헤클러 운트 코흐|H&K]], 슈타이어 사의 3개 제출품과 경합을 벌였으나, 당시의 현용 [[제식 소총]]인 M16A2의 성능을 뛰어넘지 못한데다 [[OICW(군사사업)|목적군 보병 전투용 소총(OICW)]] 사업에 무게가 실리면서 1991년을 기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특징 == ||
[[파일:name-tag_aai-acr 0.jpg|width=100%]] || || '''총몸의 [[https://learninglab.si.edu/resources/view/4579183#more-info|태그]]''' || 외형을 포함한 내외부 설계는 유의미한 성과 없이 종료된 [[SPIW|특수목적용 개인화기]] 사업의 [[AAI SPIW|SPIW]]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개선된 것으로, 이전에 비해 어느정도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빠른 분당 1,800발의 [[점사|3점사]] 기능에는 폭발음에 가까운 총성이 뒤따라 이를 억제시키려는 목적의 [[소음기]] 겸용 [[총구제동기]]가 유지되었으며 그외에는 트리지콘 사의 [[https://www.trijicon.com/our-story/trijicon-history|TA01]][* [[https://www.ar15.com/forums/ar-15/-ARCHIVED-THREAD-ACR-Rifle-Trial-Results-vs-M16A2-found-the-results-/118-759630/?|비교군]] 용도의 M16A2에도 달렸다.] [[ACOG]]가 전용 [[망원조준경]]으로 쓰였다. ||
[[파일:5.56-flechette_aai-acr 0.jpg|width=100%]] || || '''돌출된 [[새보]]로 감싸인 [[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화살촉]]''' || 수많은 시행 착오를 겪으면서 단련된 것으로 보였던 AAI 사의 5.56×45mm [[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플레셰트탄]]은 뛰어난 관통력 말고는 모든 거리에서 가장 낮은 [[https://www.docdroid.net/ffL1XVy/s00440-pdf#page=4|명중률]]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사격술/소총#엎드려 쏴(복사, Prone)|엎드려 쏴]] 자세에서 [[총열]]로부터 [[새보]] 파편이 사수 쪽으로 튀거나 기존 [[5.56×45mm NATO|M855]] 등의 탄약을 억지로 삽탄할 경우 오작동을 일으키는 안전 상의 위험성은 좋지 않은 평가를 받는데 일조했다. == 종류 == === SB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ripped_aai-abr 0.jpg|width=100%]]}}} || || '''분해 상태의 SBR''' || [[http://web.archive.org/web/20210119124444/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76/|1976년]] [[M16A1]]의 대체 수요에 대비한 SBR(연발 탄환 소총, Serial Bullet Rifle) 명칭의 원형. 총몸의 소재가 [[유리섬유]]가 첨가된 [[나일론]]으로 바뀌어 단가와 중량이 줄어들고 제약이 많은 플레셰트탄 대신 [[https://forum.cartridgecollectors.org/t/4-32mm-us-experimentals/653|4.32×45mm]] 및 [[5.56×45mm NATO]] 탄약 사용으로 바뀌었으나 탄매가 훨씬 많아지고 [[반동]]도 심해 시험 제작에 그쳤다. === CW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3-scoped_aai-cw 0.jpg|width=100%]]}}} || || '''망원조준경이 부착된 [[https://armourersbench.com/2018/02/18/aai-advanced-combat-rifle/|CW]]''' || [[http://web.archive.org/web/20210119124444/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2/|1982년]] [[미국]] [[뉴저지|뉴저지 주]]에 소재한 [[https://en.wikipedia.org/wiki/Picatinny_Arsenal|피카티니]] [[조병창]]의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Picatinny/ectfmfLmCJMC?hl=ko&gbpv=1&dq=FCSCWSL+Picatinny+Fire+Control+and+Small+Caliber+Weapon+Systems+Laboratory&pg=PA351&printsec=frontcover|발사 제어 및 소구경 무기 체계 연구소]]에서 [[헤클러 운트 코흐]] 사의 [[H&K G11|G11]]과 함께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Army/ETVEAQAAIAAJ?hl=ko&gbpv=1&dq=1982+cars+caseless+ammunition+rifle+system&pg=RA9-PA303&printsec=frontcover|CARS(무탄피탄 소총 체계, Caseless Ammunition Rifle System)]] [[연구개발]] 목적의 [[https://www.docdroid.net/ffL1XVy/s00440-pdf#page=76|#DAAK10-82-C-0331]] 계약으로 쓰인 전기 개량형. [[https://en.wikipedia.org/wiki/Hercules_Inc.|허큘리스]] 사 제휴의 [[https://guns.fandom.com/wiki/5.56%C3%9725mm_AAI_AIWS|5.56×25mm AAI AIWS]] 탄약 사용과 AAI 사 자체 개발의 1~3 가변배율 [[망원조준경]] 등이 제시되었다. 특이하게도 상술된 SBR이 아닌 이전 [[FRS(군사사업)|미래형 소총 체계]] 사업의 [[XM19 SFR#XM70|XM70 SSFR]]로부터 계승되었으며, 브로셔 등의 대외 [[https://guns.fandom.com/wiki/AAI_ACR?file=AAI_ACR_Brochure_2.png|홍보]]에는 폐기된 [[불펍]] 구상과 함께 ACR로 알려졌다. === AC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a01-scoped_aai-acr 0.jpg|width=100%]]}}} || || '''[[ACOG|TA01]]이 부착된 [[https://americanhistory.si.edu/collections/nmah_1181030|ACR]]''' || [[http://web.archive.org/web/20210119124444/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1986/|1986년]] 입찰 전환부터의 [[https://apps.dtic.mil/sti/tr/pdf/ADA236451.pdf|#DAAA21-86-C-0365]] 계약에 따라 제출된 후기 개량형. 무탄피탄 기술의 노하우 [[https://guns.fandom.com/wiki/AAI_ACR#Drawbacks|부족]]으로[* 경쟁 업체인 [[헤클러 운트 코흐]] 사와 제휴를 맺은 [[https://en.wikipedia.org/wiki/Dynamit_Nobel|다이너마이트 노벨]] 사와의 협업이 미합중국 육군에게서 제안되었으나, 라이선스 보호가 따르는 규정으로 인해 이루어지지 못했다.] 잦은 [[쿡 오프#화기에 관련된 현상|쿡 오프]] 빈도를 극복하지 못하고[* [[https://en.wikipedia.org/wiki/Lightweight_Small_Arms_Technologies|2004년]] [[LSAT 경기관총|경량 기관총 및 탄약 기술(LMGA)]] 사업에 [[CTA 인터내셔널]] 사의 [[총알/탄자의 종류#탄두 내장형 탄약, CTA|탄자내장탄]]으로 재도전을 펼쳤다.] 20년이 넘도록 실패로 점철된 플레셰트탄 사용으로 다시 돌아간 동시에 SBR 설계 기반으로 변경되었다. == 출처 == * [[https://en.wikipedia.org/wiki/AAI_ACR]] * [[https://guns.fandom.com/wiki/AAI_ACR]] * [[https://guns.fandom.com/wiki/AAI_SBR]] * [[https://armourersbench.com/2018/02/18/aai-advanced-combat-rifle/]] * [[https://www.trijicon.com/our-story/trijicon-acog-history]] * [[https://smallarmsreview.com/revisiting-the-spiw-part-three/]] * [[https://learninglab.si.edu/resources/view/4579183#more-info]] * [[http://pewpewpew.work/usa/r/acr/aai_acr.htm]]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돌격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미군/화기]][[분류:A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