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 Night at the Opera]] [include(틀:퀸/음반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434879 '''A Night at the Opera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1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231,연도2=2020,순위2=128)]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47)]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152)]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87, 연도=1998, 순위2=96, 연도2=2000)]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281)]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영국 100대 명반2, 순위=41)]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12)] ---- [include(틀: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4,순위=91,연도2=2015,순위2=74,연도3=2016,순위3=91,연도4=2017,순위4=66)]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40 Greatest Hits, 전번_아티스트=페리 코모, 이번_앨범=A Night at the Opera, 이번_아티스트=퀸, 1위_기간=2주 연속, 후번_앨범=40 Greatest Hits, 후번_아티스트=페리 코모)]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40 Greatest Hits, 전번_아티스트=페리 코모, 이번_앨범=A Night at the Opera, 이번_아티스트=퀸, 1위_기간=1주 / 누적 3주, 후번_앨범=The Best of Roy Orbison, 후번_아티스트=로이 오비슨)] ---- [include(틀:배철수의 음악캠프 선정 100대 음반)] ---- [include(틀:Ultimate Classic Rock 선정 120대 록 명반)] ---- [include(틀:Albumism 선정 50대 LGBTQ 명반)]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A Night at the Opera)] ---- [include(틀:이즘 선정 명반, 음반명=A Night at the Opera)] ---- }}} || ||<-2><#ffffff> '''{{{#434879 {{{+2 A Night at the Oper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688f9dd3b11e44ddecfedf7c4ed7b5216cad17a90cb2cb7265e9e1933ec0dde9.jpg|width=100%]]}}} || || '''발매일''' ||[[1975년]] [[11월 21일]] || || '''녹음일''' ||[[1975년]] [[8월]] - [[11월]] || || '''장르''' ||[[하드 록]], [[프로그레시브 록]], [[팝 록]] || || '''재생 시간''' ||43:08 || || '''곡 수''' ||12곡 || || '''프로듀서''' ||[[퀸(밴드)|퀸]], 로이 토마스 베이커 || || '''싱글 발매곡''' ||[[Bohemian Rhapsody]][* B면은 [[I'm in Love with My Car]]] {{{-1 (1975.10.31, [[영국]])}}}[br][[You're My Best Friend]][* B면은 [['39]]] {{{-1 (1976.03.18, [[영국]])}}} || || '''사용 악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브라이언 메이]] :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리드 보컬, 백 보컬, 고토, 하프, 우쿨렐레 * [[프레디 머큐리]] : 리드 보컬, 그랜드 피아노, 백 보컬 * [[존 디콘]] : 베이스, 일렉트릭 피아노 * [[로저 테일러]] : 퍼커션, 드럼, 백 보컬, 리드 보컬 }}} || || '''스튜디오''' ||트라이던트, 올림픽, 락필드, 랜스돈, 삼 이스트, 라운드하우스, 스콜피오 사운드 || || '''레이블'''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EMI]][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엘렉트라 레코드]] || || '''앨범 번호'''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EMI EMTC 103[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Elektra 7E-1053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Side A''' || || '''트랙''' ||<-2> '''곡명''' || || '''1''' ||[[Death on Two Legs (Dedicated to...)]] || [[https://youtu.be/81t8mi5i0X0|♫]] || || '''2''' ||[[Lazing on a Sunday Afternoon]] || [[https://youtu.be/z6l23vczbXk|♫]] || || '''3''' ||[[I'm in Love with My Car]] || [[https://youtu.be/dsJozEEqI70|♫]] || || '''4''' ||[[You're My Best Friend]] || [[https://youtu.be/zl1VTdW3djw|♫]] || || '''5''' ||[['39]] || [[https://youtu.be/Z1ooGKZPxCQ|♫]] || || '''6''' ||[[Sweet Lady]] || [[https://youtu.be/b8ay9LiUJRg|♫]] || || '''7''' ||[[Seaside Rendezvous]] || [[https://youtu.be/248_MbDJoWc|♫]] || ||<-3> '''Side B''' || || '''트랙''' ||<-2> '''곡명''' || || '''1''' ||[[The Prophet's Song]] || [[https://youtu.be/zPtmMsTpGSs|♫]] || || '''2''' ||[[Love of My Life]] || [[https://youtu.be/2bqm4gRY3mA|♫]] || || '''3''' ||[[Good Company]] || [[https://youtu.be/T2zfuuyqtSw|♫]] || || '''4''' ||[[Bohemian Rhapsody]] || [[https://youtu.be/kZVH8Q2UqaA|♫]] || || '''5''' ||[[영국의 국가|God Save the Queen]] || [[https://youtu.be/8_hOex6cSWc|♫]]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록밴드 [[퀸(밴드)|퀸]]이 [[1975년]] [[11월 21일]]에 발매한 정규 4집이다. == 상세 == '''퀸의 앨범중 가장 명반이라고 평가받는 앨범이자 이들의 가장 유명한 앨범'''이다. 퀸 멤버들은 [[데이비드 보위]]와 [[레드 제플린]]의 영향을 짙게 받았던 이전 앨범들의 음악성에서 한층 더 진일보하여 이 앨범에서 소위 말하는 퀸 특유의 음악성을 완성해낸다. 즉 현대 대중들이 알고 있는 퀸의 음악적 색깔이 이 앨범에서야 비로소 완성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앨범이 성공하면서 퀸의 멤버들은 이전보다 더 많은 재산을 모을 수 있었고, 덕분에 이 앨범 이후에 발매된 음반들은 녹음 환경이 좋아져 전작들에 비해 녹음 상태가 확연히 깔끔해진다. 해당 앨범에는 퀸 커리어에서 가장 명곡이라는 평을 받는 '''[[Bohemian Rhapsody]]'''를 비롯하여 [[소프트 록]] 하면 떠오르는 곡 중 하나인 [[Love of My Life]], 영화 [[인터스텔라]]의 모티브가 되었다고 알려진 [['39]], 국내의 여러 광고와 프로그램들에 삽입된 곡인 [[You're My Best Friend]] 등의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앨범의 이름은 '[[막스 형제]]'의 영화 이름에서 그대로 따온 것인데, 5집도 마찬가지이다. 이 두 앨범을 '쌍둥이 앨범'이라 부르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국내에서는 1989년에 Bohemian Rhapsody가 금지곡에서 해제되자 같은 해에 EMI/계몽사를 통해 금지곡 없는 온전한 상태로 이 앨범이 발매되었다. == 녹음 배경 == 전작인 [[Sheer Heart Attack]]이 상업적으로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소속사와의 계약 때문에 멤버들은 보상을 적절하게 받지 못했다.[* 퀸의 음악에 대한 권리는 소속사가 일절 소유한다는 계약 내용 때문에 뭐라 따지지도 못했다. 퀸의 앨범 수익으로 회사에서 [[롤스로이스]]를 구매한 것을 보고 프레디 머큐리는 엄청 화를 내며 이 상태로 음악은 더 이상 못 해먹겠다며 그만뒀고, 로저 테일러도 화가 나서 드럼 스틱을 계속해서 부쉈다고 한다. 게다가 로저 테일러가 드럼 스틱을 망가뜨릴 때 소속사에서 돈이 없으니 부수지 말라는 어이없는 이유를 댔다고 한다. 이땐 퀸이 인지도도 거의 없던 밴드였기에 소속사에서 처음 계약부터 아예 노예 계약으로 진행한 것이다.] 결국 트라이던트 레코드를 나온 밴드는 새 소속사를 알아봤고, 멤버들의 우상인 [[레드 제플린]]이 세운 [[스완 송 레코드]]에 들어가 레드 제플린의 매니저인 ‘피터 그랜트’를 매니저로 고용하려고 했다. 당시 음악 관계자들과 평론가들에게 악평을 듣던 퀸이었으나 피터 그랜트와 레드 제플린 멤버들은 퀸의 음악성을 알아봤고[* 당시 [[로버트 플랜트]]는 [[Killer Queen]]을 즐겨 들었다고 한다.], 피터 그랜트는 퀸의 매니저가 되기를 희망했다. 그렇기에 밴드는 스완 송 레코드와 계약하려고 했으나 당시 레드 제플린은 말 그대로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밴드’였기에[* '''일개 밴드가 [[첼시(런던)|첼시]] 한복판에 있는 빌딩을 사들여 독자적으로 본인들만의 회사를 만들 정도'''였다. 참고로 첼시는 땅값 비싼 런던에서도 특히나 훨씬 더 비싼 곳인데, 한국으로 따지자면 밴드가 강남의 고층 빌딩을 통째로 사들여 본인들만의 회사를 차린 것이었다.] 퀸 멤버들은 피터 그랜트가 본인들보다 레드 제플린에게 더 신경쓸 것을 우려하여 스완 송 레코드와 계약하지 않았고, 최종적으로는 [[엘튼 존]]의 매니저였던 ‘존 리드’와 계약하여 [[EMI]]로 들어가게 된다.[* EMI에 들어가기 전 아주 잠시동안 스완 송 레코드 소속으로 활동하긴 했었다.][* 스완 송 레코드와 계약하지 않았다고 레드 제플린과 사이가 멀어지진 않았기에, 퀸 멤버들은 레드 제플린을 찬양하는 인터뷰를 종종 했으며, 로버트 플랜트는 [[프레디 머큐리 추모 콘서트]]에도 참가하기도 했다. 애초에 [[지미 페이지]]와 [[브라이언 메이]]는 같은 동네에서 자란 초등학교 선후배 사이였으니…] 존 리드는 멤버들에게 “모든 책임은 내가 질테니 너희는 스튜디오에서 최고의 결과물만 만들어오라”고 하였고, 이에 멤버들은 안정감을 가지고 4집 작업에 착수하게 된다. 오페라에 관심을 가졌던 [[프레디 머큐리]]는 아예 앨범 컨셉을 오페라처럼 만들기 위해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이를 위한 오버더빙 작업은 비용이 매우 많이 들어가는 작업이었기에, 밴드는 대여료가 상대적으로 값싼 스튜디오들을 돌아다니면서 4개월 동안이나 곡을 녹음하였다. 대여료가 싼만큼 시설도 웬만한 스튜디오들에 비해서 그리 좋지는 않았기에 녹음하면서 이런저런 불만들이 나오기도 했다고. 이렇게 비용 절감을 위해 노력했지만 최종적으로 음반 작업에 투자된 비용은 무려 £40,000였고[* 현재 물가와 환율로 계산시 '''약 6억 원''' 가까이 되는 매우 큰 돈이다.], 이는 1975년에 발매된 앨범중 예산이 가장 많이 쓰인 음반이 되었다. 더군다나 곡 작업 과정 또한 매우 힘들었는데, 멤버들은 오버더빙 작업을 위해 목에서 피가 나도록 노래를 불러야 했으며, 특히 Bohemian Rhapsody의 오페라 파트 작업에서는 무려 '''70시간이 넘는 동안 180번이 넘는 오버더빙을 해야만 했다.''' 즉 멤버들도 이 앨범에 예산뿐만 아니라 본인들이 가진 기량을 100% 이상으로 쏟아부었던 것. 예산도 많이 없던 소형 밴드가 이렇게 많은 예산을 썼고 기량까지 탈탈 털어부었으니, 만약 이 앨범이 성공하지 못한다면 밴드는 당장 해체 수순이었다. 훗날 멤버들 또한 A Night at the Opera가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면 퀸은 해체했을 것이었다고 자조적으로 말하기도 했다. == [[앨범 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688f9dd3b11e44ddecfedf7c4ed7b5216cad17a90cb2cb7265e9e1933ec0dde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 Night at the Opera (뒷면).jpg|width=100%]]}}} || || '''앞면 커버.''' || '''뒷면 커버.''' || 인상적인 앨범 커버로 유명한데, 이 커버는 [[프레디 머큐리]]가 직접 디자인했다.[* 잘 알려지진 않았으나 프레디 머큐리는 미대 출신이다. 이후 [[Hot Space]] 앨범 커버도 본인이 직접 디자인했다.] 커버에 있는 그림은 멤버들의 별자리를 나타낸 그림이다. 각각 프레디 머큐리는 처녀자리, 브라이언 메이는 게자리, 로저 테일러와 존 디콘은 사자자리이다. 이 앨범 커버는 후속작인 [[A Day at the Races]]에서 재사용되는 등 다방면에서 쓰이기도 했다. 사실 커버디자인의 기준이 되는 문양 자체는 1973년 첫번째 앨범이 나오기 약간 전에 이미 완성했었다고 한다. 보통 queen crest 라고 부르는데, 당연히 디자인상의 모티브는 [[영국 왕실|영국 왕실 문양]]. == 흥행 == 멤버들은 작업 당시 곡들이 상당히 난해하다고 흥행하지 못할까봐 걱정했으나, 앨범은 말 그대로 대히트를 쳤다. 이 앨범의 성공으로 인해 밴드는 음악계의 춘추전국시대였던 1970년대 중반에 본격적으로 메이저 밴드의 반열에 올라섰다.[* 당시는 차트 경쟁이 매우 극심했던 시기였다. 상술한 [[레드 제플린]]부터 [[핑크 플로이드]], [[롤링 스톤스]], [[더 후]], [[데이비드 보위]], [[윙스]], [[존 레논]], [[조지 해리슨]], [[ABBA]], [[엘튼 존]] 등 음악사에 족적을 남긴 수많은 아티스트들이 차트 경쟁을 했었다. 이러한 가운데 퀸은 이 앨범으로 이들과 경쟁을 하는 대형 록밴드가 된 것이다.] 리스너들의 반응은 매우 좋았다. 영국에서 30만 장이 팔렸으며, 미국에서는 300만 장, 독일에서는 50만 장, 일본에서는 25만 장이 팔리는 등 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물론 이것들은 모두 인증 판매고이며, 추정 판매고는 이것의 몇 배는 된다. 앨범 차트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발매 후 UK 차트에서는 1위를 차지하였으며, [[빌보드 200]]에서도 4위를 기록했다. 또한 호주, 네덜란드, 뉴질랜드에서 1위를 함으로써 총 4개국 차트에서 1위에 올랐다. 이 외에도 캐나다에서는 2위, 노르웨이에서는 4위, 서독에서 5위를 기록했고 일본 차트에서도 차트인하여 9위까지 올랐다. 싱글 또한 대성공했다. 가장 먼저 싱글컷된 [[Bohemian Rhapsody]]는 UK 싱글 차트에서 1위를, [[빌보드 핫 100]]에서는 9위를 차지했다. 또한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벨기에, 네덜란드 차트에서 1위를 함으로써 총 6개국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이 싱글은 퀸의 싱글중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싱글이 되었다. 무엇보다 퀸이 유독 죽쒔다고 알려져 있는 미국에서도 앨범과 싱글이 전부 10위권 안에 드는 등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함으로써 퀸의 커리어에서 가장 성공한 앨범중 하나가 되었다.[* 사실 이 ‘죽쒔다’는 표현은 동시대의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롤링 스톤스]] 같은 초대형 밴드들에 비해서이지, 퀸은 영국만큼은 아니어도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상당히 성공했던 밴드였다. 당장 [[딥 퍼플]], [[블랙 사바스(밴드)|블랙 사바스]], [[예스(밴드)|예스]]의 미국 차트 기록을 보면 이해가 갈 것이다.] == 음악적 성향과 평가 == [include(틀: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점수=★★★★)] [include(틀:올뮤직, 점수=★★★★★)] [include(틀:RYM, type=album, code=queen/a-night-at-the-opera, 점수=3.79)]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순위=1975년 5위 / 1970년대 47위 / 올타임 147위)] > '''[[프로그레시브 록]]과 거리가 멀긴 하지만, 이 앨범은 퀸의 앨범중 가장 웅장하고 야심찬 앨범임과 동시에, 훌륭한 작곡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 ---- > '''스테픈 람베'''[* 프로그레시브 록을 연구하는 평론가이다.] 퀸의 음악적 영향력은 동시대의 거대 밴드들에 비해서 매우 적은 수준이지만, 이 앨범은 '''음악적 영향력과 음악성이 모두 인정받는 퀸의 유일한 앨범이다.''' 발매 당시에는 여타 퀸 앨범들처럼 혹평이 대다수였다. 평론가들은 이 앨범에 대해 “졸면서 만든 것 같은 졸작”, “유사 [[하드 록]] 앨범”, “[[레드 제플린]]의 구닥다리 보급형”이라는 식으로 앨범과 밴드를 무차별적으로 디스했다. 심지어 어떤 평론가는 앨범이 발매되자마자 이 앨범이 성공하면 자신이 모자를 먹겠다고 했을 정도였다. 이 앨범과 퀸의 음악성을 알아본 극소수의 평론가들과 음악 관계자들만이 퀸에게 호평과 극찬을 했을 뿐이었다. 그러나 한참 후인 21세기에 들어서는 평가가 올라가기 시작했다. 이를테면 퀸의 현역 당시 퀸을 가장 많이 까댔던 [[롤링 스톤]]은 퀸의 앨범중 유일하게 이 앨범만을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 선정했는데, 상당히 높은 순위인 231위였다. 2020년도에는 여타 고전 록 음반들과는 달리 평가가 올라 무려 128위에 선정되었다. 평론가들의 평론과 음반 리스트들을 통계로 산출해내는 [[어클레임드 뮤직]]에서는 올타임 명반 147위로 산정되었는데, 이는 퀸 앨범중 유일하게 1000위 권에 드는 수치이다. 또한 어클레임드 뮤직에 따르면 이 앨범은 1975년에 발매된 음반중 '''5번째'''로 평가가 높은 앨범이다.[* 참고로 1위는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Born to Run]], 2위는 [[밥 딜런]]의 [[Blood on the Tracks]], 3위는 [[패티 스미스]]의 [[Horses]], 4위는 [[레드 제플린]]의 [[Physical Graffiti]]이다.] 이처럼 이 앨범의 평가가 올라간 이유로는 선대 음악가들이 닦아놨던 틀 내에서 음악을 세련되게 잘 작곡해냈기 때문이다. 퀸은 이 앨범에서 [[레드 제플린]]이 정립한 [[하드 록]], [[비치 보이즈]]가 정립했던 풍부한 하모니[* 보통 Bohemian Rhapsody에서 이러한 하모니가 처음 나왔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미 [[더 후]], [[비틀즈]] 등의 밴드도 1960년대 중반에 시도했었다. 당장 1965년 발매된 비틀즈의 [[Nowhere Man]]이나1966년에 나온 더 후의 곡인 [[A Quick One, While He's Away]]에서도 하모니가 나온다.] 등을 최대한 활용하여 대중들이 편안하게 듣기 좋은 음악들을 만들어 냈으며, 여기에 [[오페라]]와 [[뮤지컬]]의 음악성을 가져오는 등 적절한 실험성과 독창성이 가미되어 있기에 퀸의 음반들 중 평가가 가장 높은 것이다. 또한 상술했듯이 이 앨범이 퀸의 사운드를 정립한 앨범이라는 것에 의의를 두는 평론가들도 있다. == 트랙 리스트 == [include(틀:A Night at the Opera)] === Side A === ==== [[Death on Two Legs (Dedicated to...)]] ==== ||[anchor(Shadow)]'''Death on Two Legs (Dedicated to...)'''[br]{{{#434879 ^^03m 43s^^ }}} ---- {{{#434879 ''You suck my blood like a leech'' ''You break the law and you breach'' ''Screw my brain till it hurts'' ''You've taken all my money'' ''And you want mor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1t8mi5i0X0,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프레디 머큐리]]'''}}}}}} ==== [[Lazing on a Sunday Afternoon]] ==== ||[anchor(Shadow)]'''Lazing on a Sunday Afternoon'''[br]{{{#434879 ^^01m 08s^^ }}} ---- {{{#434879 ''I come from London town'' ''I'm just an ordinary gu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6l23vczbXk,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프레디 머큐리]]'''}}}}}} ==== [[I'm in Love with My Car]] ==== ||[anchor(Shadow)]'''I'm in Love with My Car'''[br]{{{#434879 ^^03m 05s^^ }}} ---- {{{#434879 ''I'm in love with my car'' ''Got to feel for my automobile'' ''Get a grip on my boy racer roll bar'' ''Such a thrill when your radials sque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sJozEEqI70,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로저 테일러]]'''}}}}}} ==== [[You're My Best Friend]] ==== ||[anchor(Shadow)]'''You're My Best Friend'''[br]{{{#434879 ^^02m 52s^^ }}} ---- {{{#434879 ''You're the first one'' ''When things turn out bad'' ''You know I'll never be lonely'' ''You're my only on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l1VTdW3djw,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존 디콘]]'''}}}}}} ==== [['39]] ==== ||[anchor(Shadow)]''''39'''[br]{{{#434879 ^^03m 30s^^ }}} ---- {{{#434879 ''For the earth is old and grey, little darlin' we'll away'' ''But my love this cannot be'' ''For so many years have gone though I'm older but a year'' ''Your mother's eyes from your eyes cry to m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1ooGKZPxCQ,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브라이언 메이]]'''}}}}}} ==== [[Sweet Lady]] ==== ||[anchor(Shadow)]'''Sweet Lady'''[br]{{{#434879 ^^04m 02s^^ }}} ---- {{{#434879 ''You call me up and treat me like a dog'' ''You call me up and tear me up inside'' ''You've got me on a lea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8ay9LiUJRg,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브라이언 메이]]'''}}}}}} ==== [[Seaside Rendezvous]] ==== ||[anchor(Shadow)]'''Seaside Rendezvous'''[br]{{{#434879 ^^02m 13s^^ }}} ---- {{{#434879 ''I feel so romantic, can we do it again?'' ''Can we do it again some time'' ''Fantastic, c'est la vie mesdames et messieur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48_MbDJoWc,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프레디 머큐리]]'''}}}}}} === Side B === ==== [[The Prophet's Song]] ==== ||[anchor(Shadow)]'''The Prophet's Song'''[br]{{{#434879 ^^08m 21s^^ }}} ---- {{{#434879 ''Oh, oh people of the earth'' ''Listen to the warning'' ''The prophet he said'' ''For soon the cold of night will fall'' ''Summoned by your own han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PtmMsTpGSs,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브라이언 메이]]'''}}}}}} ==== [[Love of My Life]] ==== ||[anchor(Shadow)]'''Love of My Life'''[br]{{{#434879 ^^03m 38s^^ }}} ---- {{{#434879 ''You will remember'' ''When this is blown over'' ''And everything's all by the way'' ''When I grow older'' ''I will be there at your side'' ''To remind you how I still love you''}}}||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bqm4gRY3mA,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프레디 머큐리]]'''}}}}}} ==== [[Good Company]] ==== ||[anchor(Shadow)]'''Good Company'''[br]{{{#434879 ^^03m 26s^^ }}} ---- {{{#434879 ''Now marriage is an institution, sure'' ''My wife and I, our needs, and nothing more'' ''All my friends by a year'' ''By and by, disappeared'' ''But we're safe enough behind our doo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2zfuuyqtSw,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브라이언 메이]]'''}}}}}} ==== [[Bohemian Rhapsody]] ==== ||[anchor(Shadow)]'''Bohemian Rhapsody'''[br]{{{#434879 ^^05m 55s^^ }}} ---- {{{#434879 ''Mama, just killed a man'' ''Put a gun against his head'' ''Pulled my trigger, now he's dead'' ''Mama, life had just begun'' ''But now I've gone and thrown it all awa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ZVH8Q2UqaA,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프레디 머큐리]]'''}}}}}} ==== [[God Save the Queen(퀸)|God Save the Queen]] ==== ||[anchor(Shadow)]'''God Save the Queen'''[br]{{{#434879 ^^01m 15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NkNo3WspDw,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Wirtten by {{{#000000 '''[[영국의 국가|영국 국가]]'''}}}}}} == 차트 성적 및 인증 판매고 == ||<-3><#fff> '''A Night at the Opera의 차트 성적''' || || '''국가''' ||<-2> '''피크 성적'''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2> '''1위''' || ||[[빌보드 200|[[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2> '''4위'''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8]] 호주]] ||<-2> '''1위''' ||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8]] 캐나다]] ||<-2> '''2위''' || ||[[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8]] 뉴질랜드]] ||<-2> '''1위''' || ||[[노르웨이|[[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8]] 노르웨이]] ||<-2> '''4위'''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프랑스]] ||<-2> 16위 || ||[[서독 |[[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서독]] ||<-2> '''5위'''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8]] 네덜란드]] ||<-2> '''1위'''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일본]] ||<-2> 9위 || ||<-3> '''A Night at the Opera의 인증 판매고''' || || '''국가''' || '''인증''' || '''판매고'''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 플래티넘 || 300,000장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3×플래티넘 || 3,000,000장 ||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8]] 캐나다]] || 플래티넘 || 100,000장 || ||[[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8]] 오스트리아]] || 골드 || 25,000장 || ||[[서독|[[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서독]] || 플래티넘 || 500,000장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이탈리아]] || 플래티넘 || 50,000장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8]] 아르헨티나]] || 골드 || 25,000장 || ||[[핀란드|[[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8]] 핀란드]] || 골드 || 20,000장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일본]] || 플래티넘 || 250,000장 || ||<#f5f5f5><-2> '''합계''' || '''6,000,000장''' || == 라이브 투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 Night at the Opera/라이브 투어)]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