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p.eagate.573.jp/201802_sv_06.jpg]] [목차] == 개요 ==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작곡가는 이전에 [[PARADISE LOST#s-2|Rebuilding of Paradise Lost]]로 당선된 적이 있던 [[Laur]]. BPM이 무려 540[* 표기 BPM인 270은 사실상 절반표기이다.]에 달하는 [[스피드코어]] 곡으로, 해당 작곡가의 주력 장르이기도 하다. 곡과 패턴 특성상 [[Blastix Riotz|이 곡]]이 심히 연상되는 관계로 블틱2, 짭블틱이라는 별명이 있다. 공교롭게도 두 곡 모두 이펙터가 [[TEK-A-RHYTHM]]이며, 해당 이펙터의 별도 명의인 TEK-A-RHYTHM'''-IX'''가 사용된 곡은 [[Xronial Xero]]까지 더해 세 곡밖에 없다. 다만 블틱 후속작인 [[BAYONEX]]가 공개된 이후로 BAYONEX를 블틱2라 부르기도 한다. == [[사운드 볼텍스]] == [include(틀:ΩDimension Phase 3)]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The 7th KAC 오리지널 곡 콘테스트의 우수 당선곡으로 ΩDimension Phase 3를 통해 해금할 수 있다. Phase 3에 기본으로 등장하는 6곡([[僕らの時間]], [[羅生門]], [[CUTE-Reflection]], [[Cloud 9(BEMANI 시리즈)|Cloud 9]], [[Sacrifice and Faith]], [[神話に芽吹く]])을 모두 해금하면 등장하는 2곡([[A Lasting Promise]], [[Last Resort]]) 중 하나이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A Lasting Promise nov.jpg|width=150]] || [[파일:A Lasting Promise adv.jpg|width=150]] || [[파일:A Lasting Promise exh.jpg|width=150]] || [[파일:A Lasting Promise mxm.jpg|width=150]] || || 레벨 || 07 || 14 || 17 || 19 || || 체인 수 || 0754 || 0998 || 1811[*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비비드 웨이브]] 까지는 1714] || 2155[*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비비드 웨이브]]까지는 2043] || || 일러스트 담당 || 業をも灼熱切るAI《熱血》-嬬武器雷刀◆蒼弐 || 永久に刻まれた熱だけを抱き -《熱血》-嬬武器雷刀◆蒼弐 || ――また闘おうぜ、この戦場でな -《熱血》-嬬武器雷刀◆蒼弐 || 彼の地で再び遭う契束を交わした -《熱血》-嬬武器雷刀◆蒼弐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TEK-A-RHYTHM]]-IX || || 수록 시기 ||<-4> {{{#17a4ff,#008ce8 IV 38 (2018.02.22)}}} || || [[BPM]] ||<-4> 270 || ||<-2> TRACK INPUT || || 난이도 || 조건 || || {{{#purple,#ff7ffe NOVICE}}} ||<|4> ΩDimension || || {{{#orange,#ffa500 ADVANCED}}} || || {{{#red,#ff0000 EXHAUST}}} || || {{{#696969,#969696 MAXIMUM}}} || * [[스킬 애널라이저]] 수록 * ADVANCED : The 9th KAC 엔조이 코스 【綺羅】 * MAXIMUM : Skill Level ∞(2018.08.09 ~ 2019.02.27), The 9th KAC 챌린지 코스 【綺羅】 === 채보 상세 === [youtube(0WP9FggdEW8, width=420, height=600)] MXM 손배치 포함 PUC 영상 [[Blastix Riotz]]에서 쓰였던 이펙터 명의가 그대로 쓰인 것을 반영이라도 하듯 Blastix Riotz에서 나왔던 초고속 FX트릴 패턴, 일명 회오리감자가 다시 등장하였다. 270BPM으로 내려오는 회오리감자를 비롯해 고속계단, 8비트 연타 등 [[World's end(BEMANI 시리즈)|World's end]]와 유사한 패턴도 들어 있다. 문제의 회오리감자 구간은 Blastix Riotz와는 다르게 BT 동시치기 트릴은 나오지 않고 FX 트릴만 두 번 연속으로 나오는 형태이다. 회오리감자뿐 아니라 패턴이 전반적으로 Blastix Riotz에 비해 훨씬 단순하여 클리어 난이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하지만 스코어링은 BPM으로 인한 틱 보정으로 체인수가 많지 않아서 클리어 난이도에 비해 훨씬 어렵다. [youtube(NV5XzCtiklc, width=420, height=600)] EXH 손배치 포함 PUC 영상 MXM 패턴의 임팩트 때문에 언급이 덜하지만 EXH 패턴도 17레벨 내에서 상당한 지뢰곡 중 하나로, 중반까지는 어느정도 17레벨에 걸맞는 패턴이 나오지만 후반부에는 무려 18레벨인 [[Blastix Riotz]] EXH 패턴의 후살구간이 bpm만 조금 더 빨라진 채로 '''똑같이''' 등장한다. 때문에 EX 클리어 난이도가 해당 구간에서 급상승하며, EF 클리어의 경우에도 해당 구간에서 한번 말리면 게이지 복구가 불가능하니 조심하자. [youtube(sC-uh3dOdEs, width=420, height=540)] ADV 채보 영상 ADV패턴은 다른구간은 평범한 14레벨이지만 초반과 후반에 BPM 270의 16비트 3계단이 등장한다. 노트에 취약하다면 실질적인 체감난이도는 15~16레벨의 불렙으로 느껴질수도 있다. === 아티스트 코멘트 === ||Laur라고 합니다. 이번에 채용해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이 곡의 제작을 시작하기 전, 저는 곡을 만들면서 컨셉을 설정했습니다. ―― 다시 싸우자, 이 장소에서 ―― 최강의 전사인 2명은, 여기서 반드시 재회하자는 약속을 나누었다. 이런 모습의 스토리가 보이도록 완성했습니다. 곡 중간에서 기타나 신디 사이저가 좌우에서 배틀하는 것처럼 번갈아 나타나는 건, 2명의 싸움을 이미지했기 때문입니다. 이미 깨달은 사람도 있겠습니다만, 이 컨셉은 즉 KAC의 결승까지 올라가는 2명을 표현한 것입니다. 그런 뜨거운 전개를 이 곡으로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 라고 생각하면서 제작했습니다. 또, 이 컨셉으로 곡을 제작한 것 이상으로, 반드시 수상하고 싶다는 강한 마음이 있었습니다. 저는 트랙 메이커이면서 동시에 SOUND VOLTEX의 플레이어이기에, 트랙 메이커와 플레이어 양쪽의 시선에서, KAC 컨테스트를 수상한 곡들의 경향을 연구했습니다. 곡이 좋은 것만으로는 안 된다, 단지 소리를 채워 넣는 것으론 안 된다, 단지 빠르기만 하면 안 된다. 이런 소리를 배치할 때는 이렇게 배치하는 건가. 수상 악곡은 전부 2분으로 완벽하게 곡으로서 완결되어있네. 전부다 공통으로 머리에 남는 멜로디나 전개가 있어…. 시행착오를 반복하며 깊이 생각한 끝에는, 누구의 것도 아닌 제 곡이 마침내 완성된 상태였습니다. 그 결과, 무사히 수상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로 기쁩니다. 다시금, 채용·수상 정말로 감사합니다! (Laur)|| [[분류: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