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Корнет»}}}''' [[GRAU 코드명]]: 9K135 [[NATO 코드명]]: AT-14 Springgan [목차] {{{#!html }}}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01222212107.jpg]] == 제원 == ||<|8> '''9K135 미사일''' || '''길이''' ||1.2 m || || '''지름''' ||0.152 m || || '''무게''' ||27 kg || || '''탄두 중량''' ||10 kg || || '''유도방식''' ||반능동 레이저 유도 방식 || || '''최소사거리''' ||100m || || '''최대사거리''' ||5,000m || || '''관통력''' ||1,000mm || ||<|8> '''9K135 미사일''' || '''길이''' ||1.2 m || || '''지름''' ||0.152 m || || '''무게''' ||27 kg || || '''탄두 중량''' ||10 kg || || '''유도방식''' ||[[Fire & Forget]] 유도 방식 || || '''최소사거리''' ||100m || || '''최대사거리''' ||10,000m || || '''관통력''' ||1,300mm || == 소개 == [[러시아군]]의 대전차미사일이며 1994년부터 배치되었고 러시아산 추진체 무기답게 성형작약에 [[탠덤탄두]]를 사용하여 '''관통력 1,000mm~1,300mm'''에 달하는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메르카바]]4, [[M1A1]]M 전차도 당했을 정도.....라는데, 이라크군의 M1A1M이 코넷에 의해 관통당한 건 사실이지만 '''실제 피격 사진을 보면 코넷이 명중한 곳은 [[포탑]] 측면이다.''' 코넷 수준의 대전차미사일을 측면에서 방호 가능한 전차는 없다.] 152mm의 토우급 대구경을 지녀 라이너가 크며 EM형은 탄두중량이 10kg나 증가되어 차량 거치형 토우 탄두중량 5.9 kg 비교하면 두 배 가량이증가하였으며 발사관을 포함한 미사일 무게는 토우와 큰 차이가 없지만 98kg가 넘어가는 TOW 유도장치와 발사대와 비교해서 매우 가볍다. [[기화폭탄|기화탄두]]를 사용하면 '''152mm 포탄급 위력'''을 가지며 대구조물 공격용으로 토치카나 벙커, 건물 등에 사용된다. [[시가전]]이 많아지면서 대전차 탄두를 기화탄두로 교체한 형태가 많아지는 추세다. [[헬파이어]]에서 [[SMAW]], 싸구려로는 [[RPG-7]]도 비슷한 형태가 많아지고 있다. == 상세 == 카탈로그 무게는 27kg로 매우 가벼우며 1988년에 배치된 [[BGM-71 TOW|TOW-2A]]는 미사일 무게만 26kg에 관통력은 관통력 900mm로 [[메티스]]수준으로 다만 1992년에 등장한 TOW-2B는 탑어택도 가능하므로 비교는 어려워 가벼운 무게로 보병형, 차량형이나 [[BMP-2]]같은 보병전투차량까지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고 있다. [[파일:external/i34.photobucket.com/KORNET_1.jpg]] 레이저를 이용한 반능동 방식이며 [[러시아군]]뿐만 아니라 많은 국가, [[헤즈볼라]]같은 게릴라 단체에서도 사용되어 심지어 철천지 원쑤 [[터키]]와 [[그리스]]도 사용하고 있다. 차량 탑재 개량형인 EM형에선 [[Fire & Forget]] 방식으로 교체 되었으며 사거리도 10km로 증가하고 동시에 2목표에 대한 타격에 저공 저속 비행물체에 대한 공격도 가능해젔다. == 실전 == [[시리아 내전]], [[레바논 전쟁]], [[이라크 전쟁]] 등 각종 중동 전장에서 실전을 거쳤다. 뛰어난 관통력과 달리 구조가 단순하고 조작성, 신뢰성이 뛰어난 편이며 덕분에 이동력 뿐만 아니라, [[은폐]], [[엄폐]]도 쉬워서 게릴라전에 매우 이상적으로 또한 위에 서술되어 있듯 위력이 뛰어나서 초기 [[3세대 전차]] 라면 전면 또한 아슬아슬하게 위험한 수준이고, [[3.5세대 전차]]들도 측면을 내줄 경우 방어를 장담할 수 없다. 덕분에 [[이스라엘군]]은 [[메르카바 전차]]에 [[트로피]]같은 [[APS]] 시스템을 장착하며 미 해병대도 M1A1 CITV 장착자리[* 사실 M1A1은 CITV가 없어 M1A2에서 CITV가 부착된 자리를 말하는것이니 참고.]에 코넷 유도를 방해하는 능동방어장치를 달기도 하였다. [youtube(-ePvNlfrxfw)] M1A2 격파 영상 [youtube(RzVEduKGUws)] 메르카바 MK4 격파 영상 [youtube(6uFwNUgsqh8)] [[T-72|땡칠이]] 격파 영상 --땡칠이의 원조 포탑 사출 쑈! 빠지지 않는 [[알라후 아크바르]]-- 위의 두 전차는 그래도 나름 떡장을 둘러서 형체라도 유지하지만 [[2세대 전차]]인 [[T-72|땡칠이]]는 [[그런거 없다]]. 대폭발을 일으키며, 포탑이 수십 미터 위로 솟구치는것이 인상적이다. == 파생형 == === Kornet-EM === [[파일:external/www.armyrecognition.com/Tigr-M_Tigr_Kornet-D_Kornet-EM_4x4_anti-tank_missile_carrier_armoured_vehicle_Russia_russian_army_009.jpg]] 기존 코넷의 개량형으로 위에 서술되어 있듯 사거리 연장 및 유도방식 변화 등이 있다. [[파일:external/i45.servimg.com/part5712.jpg]] 조준기구도 기존 간단한 형태에서 이런 식으로 바뀌었다. === Dehlavieh(이란판)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30301213339_1.jpg]] 이란에서 2012년에 개발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코넷 짝퉁 dehlavieh 기존 코넷보다 경량화 되어서 발사통에 미사일이 노출되어 있고 조준장치를 간소화 한 것이 원판과 차이점이다. [[BGM-71 TOW|TOW]]항목에서 서술이 되어 있지만 이란은 미국과 러시아 모두에게 무기를 사들일 수 없어 기존에 수입했던 무기들을 가능한 만큼 국산화 해서 쓰는 편이다.[* 그리고 진짜 토우도 짝퉁으로 만들었다. 항목 참고.] 다만 2015년에 경제제재가 풀려서 미국과 러시아와 다시 손잡을 수 있게 되어 양산할 것인지는 미지수이며 [[S-300]] 항목을 보듯 복제하려다, 경제제재가 풀리면 다시 수입하는 방향으로 틀곤 하기 때문으로 원판보다 성능이 안좋으니 어쩔 수 없다.[* 역시 반론이 있는게 그러나 이란도 대부분 북한을 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S-300을 기반으로 역설계에 성공하여 2016년 8월에 공개한 뒤 2017년 5월 북한이 실험에 성공한 다음 이란도 Bavar-373 지대공미사일 실험에 성공하여 그중의 마하 8 정도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요격 실험에도 성공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즉, 북한과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란 공돌이들이 멍청해서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개발할 때 개발자의 조언이나 노하우를 전수받는게 아니라 [[리버스 엔지니어링]]만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며 상당히 머리가 좋다는 반증이 아닐까 싶다.[* 이 특징은 중국인에게도 나타나 있으며 그만큼 중국의 엔진 기술은 우리나라보다 몇십 년은 앞서 있음을 알수가 있다.] 문제는 바로 아래 북한으로 이란은 경제제재 이후 같은 고립국가인 북한과 매우 친해서 무기들을 서로 주고 받았는데[* 재미있는 점은 이란은 [[이란 이라크 전쟁]]때만 해도 남한의 무기를 많이 수입해갔으며 다만 지금은 KN-06 지대공미사일과 다른 탄도미사일 등을 북한과 공동협력하여 데이터 공유를 실행하여 많은 미사일 실험을 절약할 수 있었다. 그중의 하나가 KN-06 지대공미사일과 Bavar-373 지대공미사일이 그 예중에 하나다.] 아무래도 오일머니가 있는 이란 쪽이 신형무기들은 더 빠르게 만드는 편이었으며 이를 공개하면, 1 ~ 2년 뒤에 북한에서도 비슷한 무기가 튀어나와 언젠가는 이란의 자료들이 북한에 넘어갈 것이라는 우려가 되었던 것이다.[* 반론이 있는게 KN-06 지대공미사일과 Bavar-373 지대공미사일과 같은 지대공미사일이나 혹은 탄도미사일 같은 특수한 무기들은 대부분 북한이 먼저 제작하고 실험발사는 공동으로 하던가 아니면 그뒤에 이란이 나중에 실험하는 방식으로 가는 예외가 있다. 즉 북한이 먼저 미사일 실험을 한다는 것이며 데이터 공유를 통하여 보완할 점을 서로 공유한다.] == 매체에서 == [[액트 오브 워]] 컨소시엄의 대전차유닛으로 등장하고 2명이 운용한다. [[배틀필드3]]에서는 고정된 대전차 로켓으로 나온다. [[BGM-71 TOW|TOW]]처럼 유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배틀필드4]]에서도 전작에 이어 등장. 운용법은 동일.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인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라크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알제리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에티오피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터키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넷, version=63)] [[분류:대전차미사일]][[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