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8월]][[분류:동음이의어]][[분류:버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v flower 오리지널 곡, rd1=8.32)] [include(틀:달력)] [목차] == 게임의 버그 == [[https://www.youtube.com/watch?v=1uYToC1xDKE|8월 32일 재현 동영상]] [[플레이스테이션]]용 게임 [[나의 여름방학 시리즈|ぼくのなつやすみ(나의 여름방학)]]의 [[버그]]. [[8월 31일]] 이후 특정 행동을 할 경우[* 한 번 [[게임]]을 클리어한다→클리어 [[데이터]]의 그림일기를 연다→「もどる(돌아간다)」에 커서를 올려놓고 위(↑)를 누른다→원래는 일어나지 말아야 하지만 위쪽 그림일기로 커서가 이동한다→거기에서 버튼을 누른다→[[버그]] 발생!], [[9월 1일]]로 넘어가지 않고 8월 32일로 넘어가게 되는 버그이다. 별 거 아니라고 생각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지만, 문제는 이게 이대로 계속 진행되면 9월 1일로 안 넘어가고 8월 33일, 34일로 계속 진행된다.[* 8월 26일이나 혹은 29일로 들어가면 플레이조차 하기 어려워진다고 한다.] 진행만 멀쩡하게 되면 다행이겠지만, 문제는 [[문자 깨짐]] 현상도 일어나면서 점점 [[캐릭터]]들이 이상해지는데, [[엔들리스 에이트|영원히 오지 않는 9월]]과 기괴한 캐릭터들이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추억을 체험하려던 힐링 게임이 순식간에 호러 게임이 된다. 원리는 게임 내부 [[메모리]]들을 참조하는 [[포인터]]의 값이 버그로 인해 변조되어 원래 [[프로그래머]]가 의도하지 않은 영역을 참조하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원래 그 시점에서 출력되어야 할 그래픽이나 텍스트·사운드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이 아닌 전혀 다른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엉뚱한 데이터를 그래픽이나 텍스트·사운드 데이터로 참조해 그래픽을 그리고 사운드를 만들려고 시도하게 되니 이런 공포스러운 일이 벌어지는 것. [[미싱노]]와 출현 원리가 같다. [[스타크래프트]]의 [[EUD]] 유즈맵 또한 이와 비슷한 원리를 활용한 것이다. [[라쿤 아파트]]에서는 이를 소재로 한 [[라쿤 아파트#8월 32일 달력|에피소드]]도 있다.[[https://gall.dcinside.com/kemono/337880|링크(호러주의)]] == [[신세이 카맛테쨩]]의 앨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세이 카맛테쨩/음반 목록, 문단=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