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노선명=79번 국도, 공사구간=창원시 북면~창녕군 부곡면, 공사진행상황=공사중, 노선개통예정일=미정, 색=#0018A8)] [include(틀:국도 목록)] ||<-2> '''{{{#ffffff 79번 국도}}}''' || ||<-2> [[파일:국도 79호선.png|width=100%]] || ||<-2> '''의령 ~ 창녕''' || || '''시점''' ||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백야오거리 || || '''종점''' ||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유어삼거리 || || '''총 구간''' || 111.6km || || '''경유지''' || [[경상남도]] [[함안군]], [[창원시]]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경상남도]] [[창녕군]]을 경유하는 [[대한민국]] 종축 노선이다. 그러나... 중간에 [[합천군]]을 잠깐 경유할 뿐 두 지역을 거의 나란히 잇는 [[20번 국도]]와 달리 [[함안군]], [[창원시]]를 경유하여 우회한다. 경로가 이해되지 않는다면 상단의 사진을 보면 된다. 중간에 단절된 구간은 후술하겠지만 [[낙동강]]으로 인해 단절된 구간이다. 경로가 이 모양인 이유는 이 국도는 계획적으로 거점과 거점을 연결하고 닦은 것이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던 길들이 수요가 원체 터져나가서 '''승급에 승급을 거듭하다 보니''' 국도로 엮여버린 케이스이기 때문이다(...) 대부분 과거 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였던 구간이며, 심지어 정암교는 조선시대부터 교통로로 쓰던 루트였다. 뭐 조선시대건 지금이건 지형상 통과해야 하는 곳이면 길이 생기는 건 당연한거지만... 실제로 79번 국도의 시종점은 전부 [[20번 국도]]상에 위치해 있는데, 20번 국도상에서 79번 국도 시종점간의 거리는 35km로, 79번 국도의 총 연장인 111km의 30% 남짓한 거리이다. == 경로 == [[의령군]]-[[함안군]]-[[창원시]]-[[창녕군]]을 지난다. 의령군 의령읍-함안군 군북면 군북IC, 함안군 함안읍-창원시 북면, 창녕군 부곡면-영산면 구간은 왕복 4차로 혹은 그 이상으로 포장되어 있다. [[함안군]]에서 [[남해고속도로]], [[창원시]]에서 [[남해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 본선]]과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제1지선]], [[창녕군]]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와 만난다. === 의령 - 함안 구간 === [[의령군]] 의령읍 백야오거리에서 [[20번 국도]]와 분기되며 출발한다. [[함안군]] [[군북IC]]까지 이어지는 구간은 [[남해고속도로]]에서 의령군, 더 넘어 경남 서부 내륙을 연계해주는 역할로, 사실상 의령의 관문 취급을 받아 교통량이 상당히 많고 그에 걸맞게 왕복 4차로로 잘 포장되어 있다. 군북IC를 지난 이후로는 왕복 2차로로 도로폭이 줄어드며, 군북면까지 이어진 후 좌측으로 꺾어 [[제39보병사단]]을 끼고 [[가야읍]]으로 진입한 후, 광복교차로에서 꺾어져 남쪽으로 방향을 틀게 된다. 의령읍-군북면 구간의 구 정암교는 1955년 준공된 철근 트러스교이며 1957년 완공된 고령교와 함께 서부경남 내륙으로 들어가는 유이한 루트였다. 정암교는 현재 79번국도의 왕복 4차로 확장 겸 이설로 인하여 국도지정에서 해제되고 79번 국도는 그 옆으로 신설된 콘크리트 슬래브교인 신 정암교를 지난다. 시점부터 의령군-함안군 경계까지는 [[의령대로]]로, 의령군-함안군 경계부터 광복교차로까지는 [[함마대로]]로 지정되어 있다. 해당 구간은 국도지정 이전에는 [[1004번 지방도]]로 지정되어 있었다. === 함안 - 창원 진북 구간 === 남쪽으로 방향을 튼 국도는 함안면-여항면을 지나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으로 진입한다. 여기까지 구 1035번 지방도 구간이며, 전구간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으나, 함안과 창원을 잇는 교통량은 함안과 마산을 직행으로 잇고 [[내서읍]]과도 만나는[* 내서읍에서는 내서 주민 외에도 삼칠 지역 및 남지에서 내려오는 수요까지 겹친다.] 남해고속도로와 [[30번 지방도]] 함마대로가 대부분 전담하는지라 교통량이 그리 많지 않다. 이는 함안에서 마산을 갈 때 함안 ~ 진동 ~ 마산으로 가봤자 둘러가고 [[동전터널]] 이후로도 막히기 때문이다. 전 구간 [[진함로]]로 지정되어 있다. 과거에는 구 1035번 지방도로 지정되어 있던 구간이다. 참고로 함안군에 속한 구간은 제한속도가 빡빡하다. 군북면부터 여항면까지 시내구간은 30~50, 왕복 2차선은 50, 왕복 4차선도 모두 60으로 걸려 있으니 천천히 주행하자. 여항면에서 창원시로 넘어가면 80으로 올라간다. 지산분기점에서 [[2번 국도]], [[14번 국도]], [[77번 국도]]와 합류한다. 다만 지산분기점의 구조상 진주방면으로만 합류할수 있어 창원 방면으로 갈려면 이목교차로에서 [[1021번 지방도]]로 갈아탄 후 진북교차로에서 다시 합류해야 한다. === 창원 진북 - 마산회원구 구간 === [[2번 국도]], [[14번 국도]], [[77번 국도]]와 합류한 채로 쭉 간다. 현동교차로까지 대대적 선형개량이 이루어진 구간으로 왕복 4~7차로로 고속화도 잘 되어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터져나가는 교통량으로 간헐적 정체가 발생하는 구간이다. 현동분기점에서는 [[5번 국도]]도 합류하여 현동분기점부터 현동교차로까지는 수백m 남짓한 짧은 구간이지만 무려 5개 국도가 중첩된다. 현동교차로에서 [[2번 국도]], [[5번 국도]], [[77번 국도]]를 떠나 보내지만 [[14번 국도]]와는 계속 합류한채로 마산시내로 진입하여 마산 시내를 완전히 관통한다. 이 구간에 대한 설명은 [[3.15대로]] 참조. === 창원 의창구 구간 === 마산 시내를 지나 [[의창구]]로 진입하자마자 소계광장에서 [[14번 국도]]와 분기하며 북쪽으로 꺾어진다. 소계광장부터 [[북면(창원)|북면]] 월계교차로까지의 구간은 이 국도가 지정되면서 거의 동시에 신설된 구간으로, 전 구간 [[정렬대로]]로 지정되어 있으며, 왕복 4차로로 북면의 간선도로 역할을 한다. 이 국도의 신설 전에는 이 도로와 나란히 지나가는 구도로인 [[천주로]]가 북면의 간선도로였으며, 천주로는 원래 1045번 지방도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정렬대로가 국도로 지정됨과 동시에 지정해제되어 시도로 격하되었다. [[북창원IC]]에서 [[남해고속도로]]와 접속된다. === 창녕군 구간 === 월계교차로부터 [[창녕군]] 부곡면 임해진삼거리까지의 구간은 단절되어 있다. 낙동강을 횡단하는 교량 건설이 계획되어 있으나 계획만 되어 있을 뿐 실제 착공이 언제 이루어질지는 미지수. 2022년 현재는 [[60번 지방도]]-[[30번 지방도]] 본포교-[[1022번 지방도]]를 이용하여 우회하여야 한다. 임해진삼거리에서 다시 시작되는 왕복 2차로 시골길을 달리면 얼마 지나지 않아 온정교차로에서 [[1008번 지방도]]와 합류하며, 여기서부터 영산면 [[영산IC]]까지의 구간은 창녕군의 주요 관광지인 [[부곡온천]]과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연계해주는 구간으로, 이 구간이 국도로 지정되기도 전부터 일찍이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었던 구간이다. 영산면을 지나서부터는 다시 왕복 2차로로 길이 좁아지며, 이후 계성면-장마면을 지나 유어면 유어삼거리에서 시점에서 분기했던 [[20번 국도]]와 다시 만나며 79번 국도는 끝난다. 창녕군 유어면 이북 구간은 국도 승격이 되지 않고 국가지원지방도인 [[79번 지방도]]로 되어 있다. == 도로명 == [[의령대로]]-[[함마대로]]-[[진함로]]-[[남해안대로]]-[[밤밭고개로]]-[[3.15대로]]-[[의창대로]]-[[정렬대로]]-미개통-[[온정청암로]]-[[온천로(창녕)|온천로]]-[[영산계성로]]-[[영산장마로]]-[[유어장마로]] [[분류:79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