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중국 기갑차량)] ||[[파일:external/image01w.seesaawiki.jp/83c51f25a75f2f2f.jpg|width=400]] ||[[파일:external/image01w.seesaawiki.jp/480dae599a56dfe7.jpg|width=400]]|| || 77-1式 || 77-2式 || [목차] == 개요 == [[05식 양서장갑차]]로 대체되기전의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육전대]]의 주력 상륙 양용 장갑차였다. 중국명 77식 양서장갑수송차(77式两栖装甲输送车)라는 명칭으로 코드명은 WZ-551이다. 기존의 중국이 [[63식 장갑차]]를 개량화한 63식 양서탄극(상륙전차)를 대체하려고 개발을 하였으며 중국으로서는 상륙장갑차 개발의 1세대격 무기체계이자 기갑차량이라고 할 수 있다. 개발사업은 1965년 4 월에 시작되어 2종류의 시제차가 생산되었고 그 두가지 모델을 야전테스트를 거쳐서 그 후, 초도 양산을 거쳐 1977년 11월 설계안이 군의 승인을 받게 된다. 여기서 시제모델인 2가지의 모델은 각각 77-1式과 77-2式로 각각 구분이 되는데 이는 1의 경우 보병수송용이 아닌 경전차모델 형태를 의미했고 나중에 2에서야 병력수송용이 나오게 된다. 처음 배치는 당연하게 [[63식 장갑차]]를 개량화한 63식 양서탄극(상륙전차)(63式兩棲坦克)를 대체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77년에 처음배치된건 77-1형이며 77-2형의 경우 1978년에 1형의 개량을 거쳐서 병력수송을 목적으로 개발하게 된다. 중국에서는 독자개발이라고 떠들지만 77-1형을 보면 [[PT-76]]과 많은 유사함을 지니며 나중에 개량되는 77-2형의 경우 [[BTR#s-3|BTR-50]]을 많이 베이스로 한 것임을 확인 할 수 있다. ||[[파일:external/image01w.seesaawiki.jp/480dae599a56dfe7.jpg|width=400]]||[[파일:external/www.inetres.com/BTR-50PU_00.jpg|width=400]]|| || 77-2式 || [[BTR#s-3|BTR-50]] || 따라서 기존의 중국이 하던 소련제 장비의 데드카피화에서의 국산화라는 주장도 심심치 않게 중국외 해외에서 언급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현재는 대부분 [[05식 양서장갑차]]로 대체되었으며 일부 차량을 파생형 지원형으로 운영하고 있다. 주로 의무수송장갑차로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 제원 == ||<-2> [[파일:external/www.baikegang.com/14120a0IJE0-2B233.jpg]] || || 중량 ||18.7t || || 전장 ||7.15m || || 전폭 ||2.16m || || 전고 ||3.2m || ||<|3> 승무원 ||2명 || ||전투지원형 8명 || ||의무지원형 3명 || ||<|2> 하차조 ||20명(수송용) || ||의무지원형 2~3명(부상병 수용) || ||<|3> 주무장 ||12.7mm 기관포 × 1 (500 발)(수송용) || ||85mm 대전차포 × 1 (30 발) || ||122mm 곡사포 × 1 (불명) || || 엔진 ||12150L-2 수랭식 디젤엔진 400hp || || 주행거리 ||370km || ||<|3> 최대속도 ||36km/h (수송용) || ||전투지원형 22.5km/h || ||수상속도 12km/h || 출처: [[http://seesaawiki.jp/w/namacha2/d/77%bc%b0%bf%e5%ce%a6%ce%be%cd%d1%c1%f5%b9%c3%ca%bc%b0%f7%cd%a2%c1%f7%bc%d6%a1%caWZ-511%a1%cb|출처]] [[https://zh.wikipedia.org/wiki/77%E5%BC%8F%E4%B8%A4%E6%A0%96%E8%A3%85%E7%94%B2%E8%BE%93%E9%80%81%E8%BD%A6|출처2]], [[https://en.wikipedia.org/wiki/Type_77_(armoured_personnel_carrier)|출처3]] == 상세 == 상술 했듯이 현재는 사실상 퇴역장갑차량이나 의무수송용으로서는 기존의 [[05식 양서장갑차]]보다는 넓은수용능력등을 발휘 할 수 있기에 활용중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 [[파일:external/image01w.seesaawiki.jp/20e916b221e23aa6.jpg|width=400]] || [[파일:external/image02w.seesaawiki.jp/dea29c3502baa646.jpg|width=400]] || || 의무지원형 || 내부 || 다만 이차량도 노후화가 있는만큼 대체를 할지 여부는 현재까지 미지수라고 할 수 있다. [[분류:궤도형 장갑차]][[분류:중국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