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일본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GSDF equipment display Type 60 Self-propelled 106 mm Recoilless Gun.jpg|width=100%]]}}} || || '''[ruby(60式,ruby=ろくまるしき)] [ruby(自走,ruby=じそう)] [ruby(106mm,ruby=ひゃくろくミリ)] [ruby(無反動砲,ruby=むはんどうほう)]''' || [목차] == 개요 == [[일본]]의 [[육상자위대]]가 운용한 [[자주무반동포]]. == 제원 == ||||<#fff> {{{#fe0000 '''60식 자주무반동포 제원'''}}} || || '''개발사''' ||[[코마츠 제작소]]|| || '''제조사''' ||[[코마츠 제작소]]|| || '''중량''' ||8t|| || '''전장''' ||4.3m|| || '''전폭''' ||2.23m|| || '''전고''' ||1.38m|| || '''엔진''' ||코마츠 6T-120-2H 공랭 4행정 수평대향 6기통 예연소실식 디젤 엔진(A / B형)[br]코마츠 SA4D 105-1 수랭 4행정 직렬 4기통 터보차지 디젤 엔진(C형)|| || '''엔진출력''' ||120hp/2,400rpm(A / B형), 150hp/2,800rpm(C형)|| || '''속도''' ||55km/h(A / B형), 55km/h(C형)|| || '''행동 거리''' ||140km|| || '''현가장치''' ||토션바|| || '''도섭 가능 심도''' ||?m|| || '''주무장''' ||60식 26구경 106mm [[무반동총]]×2 ([[M40 무반동포|M40 106mm 무반동포]])|| || '''부무장''' ||60식 12.7mm [[스포팅 라이플]]|| || '''탄약 적재량''' ||?|| || '''탑승인원''' ||(차장, 조종수, 장전수) 3명|| || '''장갑''' ||[[균질압연장갑]], 최대 12mm|| == 특징 == [[61식 전차]]와 [[60식 장갑차]]와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초로 일본이 자체 개발하고 생산한 기갑차량이다. [[1950년]]에 [[미국]]에서 개발하여 [[미해병대]]에서 사용한 6연장 [[M50 온토스]]를 참고하여 개발되었다. [[1979년]]까지 253대가 생산되었고, [[2008년]]에 전부 퇴역했다. 운용되는 동안 [[홋카이도]]에 배치되어 있었으며, 가상적국은 [[소련]]이었다. [[소련군]]의 기갑 웨이브에 어떻게든 대응하려 했던 [[자위대]]의 노력을 볼 수 있다. 승무원은 차장, 조종수, 장전수 3명으로 장전수는 차량 후방에 탑승한다. 차장석과 큐폴라 해치는 주포의 포가와 일체화되어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다. [[주포]]로 [[M40 무반동포|M40 106mm 무반동포]]를 2문 장착하고 있는데, 우선 [[50구경|12.7mm]] 축사총 [[스포팅 라이플]]로 [[예광탄]]을 쏴서 조준을 한 다음에 [[무반동포]]를 연사하여 목표를 파괴한다. 무반동포는 상하 조절이 가능하여 엄폐물 뒤에서 무반동포만 빼꼼 내밀고 사격할 수도 있다. 유효사정거리는 1,000m 정도. 원래 무반동포는 유효사정거리가 약 7,000m지만 사격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조준용으로 탑재한 [[스포팅 라이플]]의 사정거리가 1,000m 밖에 안돼서 유효 사거리가 짧았던 것이다. 좌우2련(수평쌍대) 형식으로 배치된 2문의 [[무반동총|무반동포]]를 지니고 있으며 두 포가 번갈아 발사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 이는 2문의 주포를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교대로 번갈아 발사하는 '연속발사'에 의해 반격을 받기 전에 확실하게 목표를 격파한다는 교리에 따른 것으로서, [[매복]]에 실패했거나 초탄이 빗나갔다 하더라도 그 즉시 곧바로 차탄으로 목표를 격파해 목표에게 반격의 기회를 주지 않기 위한 것이다. 2문의 주포를 시간차 없이 한꺼번에 동시에 발사하는 '동시발사'는 상정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이러한 동시발사를 하게 되면 순간화력은 오르겠지만 그 대신 명중률은 당연하다면 당연하게도 그야말로 [[안드로메다]]로 가 버리기 때문이다. 목표를 정확히 직격시켰어도 목표를 확실하게 쓰러뜨릴 수 있을 지 없을 지 알 수 없는 판인데 아예 명중률을 포기하는 짓을 할 수는 없으므로 당연히 동시발사는 기본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 장갑 재질은 [[균질압연장갑]]이지만 두께가 극히 얇기 때문에 적 [[전차]]의 포격에는 견딜 수 없다. 끽해야 소총탄 정도 막는 방어력이지만, 이는 차량의 성격상 당연한 것이다. == 운용 == 명목상은 [[무한궤도]]를 장비한 [[장갑차]]이고 언뜻 보면 그렇게 보이지만, 오히려 장갑차보다는 현대의 [[대전차미사일]] 운용 [[장갑차]]/[[지프]] 같은 '간이 대전차 차량'에 가까운 개념의 장비이다. 적의 출현 예상 지점에 매복해 있다가 적과 조우시 2문의 무반동포 발사관만 수직으로 올려 차체는 매복하고 포만 엄폐물 밖으로 내밀고 쏘는 식으로 운용되었다. 그러나 [[무반동포]]의 특성상 발포음이 크고 후폭풍에 의한 대량의 먼지가 치솟기 때문에 한 방 쏘면 들킬 확률이 매우 높다. 방어력도 토우나 무반동총 지프보다는 나을 뿐이므로 사실상 공격 기회는 단 2번. 1,2번포를 전부 발포 후에는 즉시 --열심히 도망치도록-- [[구축전차|진지를 옮기도록]] 되어있다. 또한 포를 재장전하려면 차를 일단 멈추고, 장전수가 차에서 내려서 재장전해야 했다. 다만 이는 차량의 성격상 어쩔 수 없긴 하지만[* 비슷한 무기체계인 미국제 [[M50 온토스]]나 [[BGM-71 TOW|TOW]] 미사일을 장착한 [[지프]] 등도 똑같다. M50 온토스의 경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량을 시도하려 했으나 결국 개량 사업이 엎어졌다.] 여전히 운용할때 불편함이 없지는 않았을 것이다. 다소 비슷한 컨셉으로 [[M113]]에 [[BGM-71 TOW|TOW 대전차 미사일]]을 장착한 [[https://en.wikipedia.org/wiki/M901_ITV|M901 ITV]]가 있다. 미사일 발사기를 차체 위로 들어올린 후 헐다운 상태에서 쏠 수 있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발사기를 올리면 이동을 못하고 발사기를 내리면 발사를 못하는 난점이 있었다. 냉전 중반부터 보병휴대용 [[대전차화기]]가 등장하면서 후계형 차량은 개발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 형식 == === SS-1 === [[코마츠 제작소]]가 설계한 1차 프로토타입. 코마츠 6T110-1 공랭식 4행정 수평대향 6기통 디젤엔진(105hp/2,300rpm)을 차체 앞부분에 설치하고, 변속기와 조향기어를 차량 후방에 배치한 [[FR(자동차)|FR 구동계]] 구조를 가졌다. 서스펜션으로는 나이트하르트 고무 서스펜션이 사용되었다. 사격 직후 회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차체 왼쪽 후방의 장전수 겸 부조종 수석에도 조종 장치와 후방 관측창이 설치되어 있었다. 차체 왼쪽에 4발, 차체 오른쪽 뒤에 2발, 다른곳 어딘가에 2발로 하여 총 8발의 탄약을 적재한다. 승무원 호위용으로 [[톰슨 기관단총]] 3정과 탄약 1350발을 장비했으나 [[스포팅 라이플]]은 달리지 않았다. === SS-2 === [[미쓰비시 중공업]]이 설계한 1차 프로토타입. 미쓰비시 4행정 직렬 4기통 공랭식 디젤 엔진(110hp/2,300rpm)을 차체 뒷부분에 설치하고, 변속기와 조향기어를 차량 전방에 배치한 RF [[전륜구동]] 구조를 가졌다. 서스펜션으로는 [[토션바 서스펜션]]이 사용되었다. 총 탄약 적재량은 8발이며, [[스포팅 라이플]]은 달리지 않았다. 1955년 12월 납품되었다. === SS-3 === [[미쓰비시 중공업]]이 설계하고 [[코마츠 제작소]]가 제조한 2차 프로토타입. 코마츠 6T115-1 공랭식 4행정 수평대향 6기통 디젤엔진(130hp/2,300rpm)을 차체 후방에, 변속기와 조향기어를 전방에 배치한 RF 구동계를 가졌다. 전륜이 1쌍 증가하여 총 보기륜이 5쌍이 되었다. 서스펜션으로는 [[토션바 서스펜션]]이 사용되었다. === SS-1 === (改) SS-1의 무반동포를 4연장화한 것으로, 늘어난 중량에 비해 명중률이 향상되지 않아서 채택되지 않았다. 현재는 히가시치토세 주둔지에 전시되고 있다. === SS-4 === 최종 프로토타입. 코마츠 6T120-1 공랭 4 스트로크 수평 대향 6 기통 디젤 엔진 (120hp / 2,400rpm)을 탑재했다. === A형 === 초기 생산형. 42대 생산. === B형 === 1967년부터 양산이 개시되었으며 3차 방형이라고도 불린다. 차체의 각부가 보강되어 있다. 143대가 생산되었다. 60식 자주무반동포 계열 중에서 가장 생산수가 많다. 1975년 이후 순차적으로 C형과 같은 수랭식 엔진으로 엔진이 변경되었다. === C형 === 1975년 이후의 후기 생산형. 기존의 공랭식 디젤 엔진을 수랭식 디젤 엔진으로 변경하였다. 총 82대가 생산되었다. B형으로부터의 개조형도 포함하면 가장 배치수가 많다. 엔진 변경으로 엔진룸의 높이가 증가하였고, 차체 후부에 라디에이터가 설치되었다. 배기 머플러가 차체 왼쪽 상부로 이동되었다. === D형 === 생산 종료 후 1987년 1월에 제식화 되었다. == 파생형 == === 4연장 무반동포 탑재 차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CType60P1L.jpg|width=100%]]}}} || || '''4연장 무반동포 버전''' || 주무장이 2문에서 4문으로 늘어나면서 화력이 대폭 강화되었다. 프로토타입만 제작되었고 채택되지 않았다. === 64식 [[대전차 미사일]] 탑재 차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rRTWiPVMAAbAz6.thumb.jpg.17839a7c65a73cc52abd896eef6496f3.jpg|width=100%]]}}} || || '''64식 [[대전차 미사일]] 탑재 차량''' || [[대전차미사일]]을 탑재함으로써 신속하고 은밀하게 대전차 화력 전개가 가능하다. == 미디어 == == 모형 == == 둘러보기 == [include(틀:코마츠 제작소의 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각주] [[분류:자주무반동포]][[분류:대전차 차량]][[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자위대/기갑차량]][[분류:코마츠 제작소/생산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