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의의 == 4단 [[변속기]] 시절(1970년대)를 지나 그 이후 2000년대까지 5단 변속기가 널리 사용되었다. 당연히 단수가 많으면 기어가 촘촘해지고 연비나 가속력 등이 월등하지만 변속기의 무게와, 가격이 증가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일반적인 차량의 경우는 2010년 이후([[현대 포터|포터]], [[기아 봉고|봉고]]조차 2012년 이후로 6단이 나오는 지금, [[쉐보레 아베오]]는 2016년 페이스리프트 전까지 5단이 나왔다) 대부분 6단으로 전환이 완료되었으나 각기 제각각 6단 수동 변속기로 변경되었다보니 5단과 6단 [[수동변속기]] 차종이 혼재하는 것이다. 자동변속기 쪽의 [[듀얼 클러치 변속기]]들은 현재도 6단-7단-8단으로 계속 단수가 증가하고 있다. 무게 문제만 뺀다면 기어 단 수는 [[다다익선]](多多益善)이다. [* 자전거 변속기어의 경우 22단(2x11)과 27단(3x9)가 있지만 기술의 차이는 하늘과 땅 정도다. 당연히 2x11단이 더 촘촘하고 가속이 빠르다. 반면에 3x9은 기어 범위가 넓어서 저속에서 고속까지 편안하게 쓸 수 있다. 특히 앞의 2,3단의 간격은 좁지만 1단이 매우 작기 때문에 저속에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북미]]의 일부 마니아들은 여전히 4단 수동을 고수하는 경우도 많고, [[NASCAR|나스카]]는 메이저 모터스포츠 대회 중 유일하게 여전히 H시프터 4단을 사용한다. 저단에서의 강력한 토크와 긴 변속비가 저속 가속 측면에서는 유리한 면도 있기 때문. 대신 연비는 매우 나쁘다.] 고속도로 주행시 [[푸조 206|푸조 206RC]]나 [[현대 투스카니|투스카니 GTS(I)]]의 5단 모델을 현행 6단 모델들과 비교한다고 하자. 여기에 6단 항속기어가 있었다면 가속력도 더 올라가고, 장거리 연비도 잡을 수 있다. [* 물론 푸조 206RC 같은 트윈스크롤 터보 장착한 랠리차량이나 투스카니 같은 차가 연비 좋으라고 만든 차는 아니다.] 7단 수동변속기는 쉐보레 콜벳과 포르쉐를 제외한 일반 승용차에서 쓰인 경우는 아직 없다. 수입차종[* 아베오 RS, 카마로 SS 등 종류가 많다.]의 경우 본국에 수동변속기 모델이 멀쩡히 존재하더라도 한국 내 수요가 매우 저조한 탓에 자동변속기 모델만 들여오는 경우가 대부분.[* 심지어는 국산차 중에서도 수출형에만 수동변속기 모델이 존재하기도 한다.] 그래서 해당 차종의 수동 모델을 정말로 원한다면 해당 국가의 내수형 모델을 들여오거나 해외직구를 통해 부품을 들여와 미션스왑[* 쉽지도 흔하지도 않은 작업이다.]을 하기도 한다. 상업용 오토바이나 크루저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이륜차는 수동 6단 변속기[* 6단 리턴 방식]를 장착하고 있다. 저배기량 가솔린 엔진이라 토크가 약한 만큼 가속력을 확보하기 위해 단수가 많은 편이다. == 6단 수동 변속기가 장착되는 차량 == 최초 6단변속기가 장착되고 생산된 연식을 표기했다. === 한국산 차량 === ====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 * [[현대 베뉴|베뉴]] 스마트스트림 G 1.6 (2019-2020) * [[현대 엑센트|엑센트]](RB) 1.4ℓ 카파 MPi, 1.6ℓ 감마 GDi, U2 VGT (2010-2019)[* 흔히 인터넷에서 '엑센트 디젤 수동'의 줄임말인 '엑디수'로 불리는 차량] * [[현대 아반떼|아반떼]] 시리즈 * 아반떼(MD) 1.6ℓ 감마 GDi, U2 VGT (2011-2015) * 아반떼 쿠페(JK) 2.0ℓ 누우 GDi (2012-2015) * 아반떼(AD) 1.6ℓ 감마 GDi/T-GDi, U2 VGT (2015-2020) * 아반떼(CN7) 스마트스트림 G 1.6ℓ 감마 II MPI, 스마트스트림 G 1.6ℓ 감마 II T-GDi (2020-2021) * [[현대 i30|i30]] 시리즈 * i30 CW (FD) 1.6ℓ U2 VGT (2011)[* 같은 i30계열이지만 거의 새로운 차대, 다르다고 막 광고하는 그 차다. 그중 EURO5 적용된 최후기형 모델][* 후속 중형 [[왜건]]인 [[현대 i40]]는 DCT 버전만 나오기 때문에 사실상 마지막 6단 수동 왜건. 게다가 국내는 수동과 왜건 판매량이 거의 없으므로... 희귀차량이다.] * i30(GD) 1.6ℓ U2 VGT, 2.0ℓ 누우 GDI (2011-2015) * 더 뉴 i30(GD) 2.0ℓ 누우 GDi (2015-2016) * i30 N (PD N) 2.0ℓ 세타 II T-GDi (2017-)[* 유럽 수출형. 국내에는 벨로스터 N이 판매됨.] * i30 (PD) 1.6ℓ 감마 T-GDi (2018-) * [[현대 투스카니|투스카니]] * 투스카니(GK) 2.7ℓ 델타 MPi (2001-2008)[* 국산 승용차 최초의 6단 수동 변속기 적용. [[아이치 MFA60 변속기]]를 적용했다.] * 투스카니(GK) 2.0ℓ 베타 II MPi (2005-2008) * [[현대 벨로스터|벨로스터]] 시리즈 * 벨로스터(FS) 1.6ℓ 감마 GDi/T-GDi (2011-2018) * 벨로스터(JS) 1.6ℓ 감마, 2.0ℓ 세타 II T-GDi (2018-) * [[현대 쏘나타|쏘나타]] 시리즈 * 쏘나타(NF) 2.0ℓ D VGT (2006-2007) [* 디젤모델은 일반 모델(2004년)보다 생산년도가 늦다.] * 쏘나타(NF) 트랜스폼 2.0ℓ D VGT (2007-2009) * 쏘나타(YF) 2.0ℓ 세타 II MPi/LPi, 2.0 누우 MPi/LPi, (2009-2012) * 쏘나타(YF) 더 브릴리언트 2.0 누우 MPI/LPI (2012-2014) * 쏘나타(LF) 2.0 누우 LPi(2014-2017) * 쏘나타(LF) 뉴라이즈 2.0 누우 LPi(2017-2020) * [[현대 제네시스 쿠페|제네시스 쿠페]][* 페이스리프트 전 세타 II 엔진 장착차량만 [[현대 M6VR 변속기|M6VR1]]을 장착하며, 페이스리프트 후 및 람다 II 엔진 장착 차량은 M6VR2를 장착한다.] * 제네시스 쿠페(BK) 2.0ℓ 세타 II TCI (2008-2016) * 제네시스 쿠페(BK) 3.8ℓ 람다 II MPi (2008-2011) * 제네시스 쿠페(BK) 3.8ℓ 람다 II GDi (2011-2016) * [[제네시스 G70|G70]] * G70(IK) 2.0ℓ 세타 II T-GDi (2018-2020)[* 북미 수출형 한정 M6VR2 장착.] * [[현대 포터/4세대|포터Ⅱ]](HR) (2012-)[* 2012년 유로 5 기준에 맞춰 마이너 체인지때 엔진 마력을 133마력으로 올리면서 기존 [[현대 M5TR 변속기|M5TR1]] 5단 수동변속기가 [[현대 M6AR 변속기|M6AR1]] 6단 수동변속기로 다단화되었다.] * [[현대 스타렉스]](TQ) (2012-2021)[* 2012년 유로 5 기준에 맞춰 엔진이 개량되면서 수동변속기가 5단 [[현대 M5ZR · M5SR 변속기|M5SR1]]에서 6단 [[현대 M6VR 변속기|M6VR2]]로 다단화되었다.] * [[현대 스타리아]](US4) (2021-) * [[현대 쏠라티]](EU) (2015-) * [[현대 유니시티]] (2015-2021)[* 2015년식부터 유니시티 전용 선택 사양으로 추가.] 이외에 카운티, 에어로타운, 그린시티, 에어로시티를 제외한 모든 중, 대형 상용차들. ==== 기아 ==== * [[기아 포르테]], [[기아 포르테|포르테 쿱]](TD) 1.6ℓ 감마 II GDi, 2.0ℓ 세타 II MPi (2010-2012) * [[기아 K3|K3]] 시리즈 * K3(YD) 1.6ℓ 감마 GDi (2012-2018) * K3 쿱(YK) 1.6ℓ 감마 T-GDi (2013-2018) * K3 GT(BD) 1.6ℓ 감마 T-GDi (2018-2020) * [[기아 로체|로체]](MG) 2.0ℓ D VGT (2006-2008) * [[기아 K5|K5]] 시리즈 * K5(TF) 2.0ℓ 누우 LPi (2011-2013) * K5(TF) 2.0ℓ 세타 II MPI (2010-2012) * K5(TF) 2.0ℓ 누우 MPi CVVL (2012-2013) * 더 뉴 K5(TF) 2.0ℓ 누우 LPi, 2.0ℓ 누우 MPi CVVL (2013-2015) * K5(JF) 2.0ℓ 누우 LPi (2015-2020) * [[기아 봉고/4세대|봉고Ⅲ]](PU) (2012) ~ [* 포터와 동일하다.][* LPI모델은 2012년 부분변경 모델 이후에도 M5TR1 5단 수동을 사용했으나 2022년 10월부터 5단 수동변속기 사양이 단종됐다.] *[[기아 스포티지]] 2.0 디럭스 [[기아 그랜버드|그랜버드]] 차량은 2004년부터 최고마력에, 2007년 이후로는 최저마력을 제외한 모든 엔진에 6단 수동변속기가 장착된다. ==== 쉐보레(한국GM) ==== * [[쉐보레 아베오|아베오]] 시리즈 * 아베오(T300) 1.4ℓ 가솔린 터보(해치백, 세단) (2015-2016) [* 1.4 에코텍 터보가 보급되면서 5단 변속기가 6단으로 바뀌었다.] * 더 뉴 아베오(T300) (2016) ~ * [[쉐보레 크루즈|라세티 프리미어 / 크루즈]](J300) 2.0ℓ VCDI 커먼레일 디젤 터보(세단) (2011-2014) [* 2011년 이후 해외 판매명인 '크루즈'로 변경된다. 판매랑이 적어 수동은 2014년 단종][* 2011년 이전 생산된 150마력 모델은 5단 변속기가 장착되어 있다.] * [[쉐보레 트랙스|트랙스]](2017~2022) [* 1.4터보 모델만 고를 수 있고 아베오와 달리 가죽시트, 마이링크등의 옵션을 단 하나도 선택할 수 없다.] ==== KG모빌리티(쌍용자동차) ==== * [[쌍용 코란도/3세대|코란도 C]] : 2011년 이후, 시크 트림, 클러비 마니아 한정 * [[쌍용 렉스턴/1세대|렉스턴 W]] : 2013년 이후, RX7 4WD 트림 한정 * [[KG 티볼리|티볼리]] : 2016~2022, 가솔린 차종 한정 * [[KG 렉스턴 스포츠|렉스턴 스포츠]] : 2018년 1월 출시 시점부터~2023년 4월까지 2WD/4WD 공통, 와일드 트림 한정 ==== 자일대우버스 ==== [[자일대우버스 레스타|레스타]], [[자일대우버스 BS|BS090, BS110]], [[자일대우버스 BH|BH090]]을 제외한 모든 차량들. [[자일대우버스 BS|BS106]], [[자일대우버스 BC|BC211]]은 2017년부터 적용. ==== 에디슨모터스 ==== * [[에디슨 스마트|스마트 11HG]] (2018) === 해외 차량(한국 국내 정식수입) === * [[로터스 엘리스]] (2002) 2세대 2ZZ 엔진을 사용한 Elise R과 Elise SC모델만 6단, 1ZZ인 S는 5단 ~ * [[로터스 엑시지]] (2004) 2세대 ~ * [[토요타 86]] (2012-2021) 1세대, (2022) 2세대 * [[재규어 F-타입]] (2015) [* 국내 판매일 기준] ~ * [[폭스바겐 골프]] R32 4세대 (2001-2004) , R32 5세대 (2005-2008) * [[BMW 1M]] 1시리즈 M 쿠페 (2011-2012), 한정판으로 판매되었다. 국내에는 약 100여대 정도 정식수입 * [[BMW 3시리즈#s-2.5|BMW 320d ED]] (2008) E90, E91 50대 한정판 === 해외 차량(한국 국내 수입 미확인 또는 병행수입) === *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A클래스]] * A클래스(W169) (2004-2012) * A클래스(W176) (2012-2018) * A클래스(W177) (2018-) * [[메르세데스-벤츠 CLA|CLA]] * CLA(W117) (2013-2019) * CLA(W118) (2019-) * [[메르세데스-벤츠 GLA|GLA]] * GLA(X156) (2014-2019) * [[메르세데스-벤츠 B클래스|B클래스]] * B클래스(W245) (2005-2011) * B클래스(W246) (2011-2018) * B클래스(W247) (2018-) *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C클래스]] * C클래스(W202) (1993-2000) * C클래스(W203) (2000-2007) * C클래스(W204) (2007-2014) * C클래스(W205) (2014-)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E클래스]] * E클래스(W210) (1999-2002) * E클래스(W211) (2002-2009) * E클래스 (W212) (2009-2016) * E클래스 (W213) E200 (2016-2018) * [[마쓰다 MX-5]] * [[포르쉐 911|포르쉐 911(964)]] (1989-1993) 911 2세대(964) * [[포르쉐 911|포르쉐 911(993)]] (1993-1997) 911 3세대(993) * [[포르쉐 911|포르쉐 911(996)]] (1997-2004) 911 4세대(996) * [[포르쉐 911|포르쉐 911(997)]] (2004-2012) 911 5세대(997) 911 마지막 6단변속기[* 6세대 997부터 수동 7단 변속기가 들어갔다] * [[포르쉐 박스터|포르쉐 박스터(987)]] (2008-2012) [* 2008년부터 6단 수동변속기, 7단PDK 장착] * [[포르쉐 박스터|포르쉐 박스터(981)]] (2012-) * [[혼다 NSX]] (1997-2000) 2세대 * [[혼다 NSX]] (2001-2005) 3세대[* 리트랙터블 라이트가 고정형으로 바뀌었다] * [[혼다 S2000]] (1999-2009) * [[혼다 S660]] (2015-) * [[혼다 시빅|혼다 시빅 EP3 TYPE-R]] (2001-2005) 2세대 TYPE-R, EP3 바디 * [[혼다 시빅|혼다 시빅 FD2/FN2 TYPE-R]] (2006-2011) 3세대 TYPE-R, FD2/FN2 바디[* FN2는 유럽형] 8세대 시빅과 호환 * [[혼다 시빅|혼다 시빅 FK2 TYPE-R]] (2015-2016) 4세대 TYPE-R, FK2바디 * [[혼다 시빅|혼다 시빅 FK8 TYPE-R]] (2017-) 5세대 TYPE-R, FK8 바디 [[분류:수동변속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