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T-59, other1=대한민국 공군에서 T-59라 불리었던 영국제 훈련기, rd1=BAE 호크)] [include(틀:현대전/중국 기갑차량)] ||
[[파일:Type_59_tank.jpg|width=100%]] || || '''59式 中形坦克''' || [목차] == 개요 == ||
[youtube(2PBUSshRzMU)] ||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59식 전차 기동 영상''' || '''"59식 전차"''', 형식 번호 '''"WZ-120"'''은 [[중국]]에서 T-54A를 라이센스 생산해 개발한 [[1세대 전차]]이다. 중국 [[기갑]]부대의 모태이자 근간이라 볼 수 있는 전차로,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에 개발된 1세대 전차답게 성능상으로는 그다지 좋은 전차라고 보기 힘들지만 특유의 간단한 구조 및 중국의 값싼 노동비로 [[63식 장갑차]]와 함께 가격이 매우 저렴해서 9,300량이 넘게 제작되어 15개국에 수출되었다. [[T-54]], [[T-55]] 등과의 차이를 위해 '''"[[T-59]]"'''라고 칭하기도 하는데, 이 명칭의 유래는 서방 및 유럽 국가들의 경우 전차 앞의 "~식 (Type)"을 T로 줄여 부르는 경향이 강했기에 이렇게 칭하게 된 것이다.[* 용산 전쟁기념관에 있는 59식 전차도 59식이 아니라, T-59라고 적혀있다. 70년대 초반 남베트남군으로부터 기증받았을 당시 미군의 정보를 입수하여 이렇게 명명하였기 때문이다.] [[T-54|T-54B]]와, [[T-55]]와의 구분법은 다음과 같은데, T-54B와는 적외선 탐지등의 유무[* T-54B형은 적외선 탐지등을 장착한 것에 반해, 59식 전차에는 적외선 탐지등이 없다.], 그리고 T-55와의 구분법은 포탑 상단의 환풍구 유무로 구별이 가능하다. 그러나 59식과 T-54, T-55 모두 생김새가 동일한데다 상술한 구분점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는 T-54와 T-55를 운용 중인데도 59식 전차를 운용 중에 있다거나, 그 반대로 오기하는 일이 자주 있는 편이다. == 제원 == ||<-2>
'''{{{#ffff00 59式 中形坦克 (WZ-120)}}}''' || ||<-2> '''{{{#ffff00 제원}}}''' || || '''{{{#gold 개발기관}}}'''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중국북방공업공사, 바오터우 제617번 공장 || || '''{{{#gold 개발연도}}}''' ||1958년 || || '''{{{#gold 생산연도}}}''' ||1958년 ~ 1985년 || || '''{{{#gold 생산기관}}}''' ||바오터우 제617번 공장, 낙양 제1호 트랙터 공장 || || '''{{{#gold 생산댓수}}}''' ||'''9,500량 이상''' || || '''{{{#gold 운용연도}}}''' ||1959년 ~ 현재 || || '''{{{#gold 생산국가}}}''' ||[[중국]]|| || '''{{{#gold 운용 국가}}}''' ||[[중국]] 포함 도합 15개국 || || '''{{{#gold 장갑}}}''' ||20 ~ 203mm || || '''{{{#gold 전장}}}''' ||6.04m || || '''{{{#gold 폭}}}''' ||3.27m || || '''{{{#gold 높이}}}''' ||2.59m || || '''{{{#gold 항속거리}}}''' ||600km || || '''{{{#gold 최대속력}}}''' ||50km/h || || '''{{{#gold 엔진}}}''' ||노린코 12150L V형 12기통 액냉식 디젤 엔진 (450마력)|| || '''{{{#gold 추중비}}}''' ||14.44hp/t || || '''{{{#gold 변속기}}}''' ||수동 전진 5단, 후진 1단 || || '''{{{#gold 차체 중량}}}''' ||35.5톤 || || '''{{{#gold 승무원}}}''' ||4명 (조종수, 포수, 탄약수, 전차장) || || '''{{{#gold 주무장}}}''' ||100mm 59식 강선포 (34발) || || '''{{{#gold 부무장}}}''' ||12.7mm [[DShK|54식]] 중기관총 1정 (500발) [br] 7.62mm 59T식 기관총 1정 (3000발) || == 상세 == ||
[[파일:600px-Type_59_production.jpg|width=100%]] || || '''바오터우 제617번 공장에서 제작 중인 59식 전차''' || 전반적인 성능은 [[T-54]]와 거의 동일하였지만, 이후 중국 자체의 독자 기술이 들어가면서 점점 다르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문화대혁명 등의 악재가 터지며 중국 자체의 기술력 및 품질 저하로 이어져 실질적으로는 소련제 T-54의 동급 그 이하에 가까웠다. 520마력 수랭식 디젤엔진과 100mm 주포 등 대부분의 부분에서 본판인 [[T-54]]와 동일했으나 59식 전차는 58년부터 양산된 신형 [[T-55]]가 아닌 1953년에 만들어진 T-54A의 라이센스로 소련이 최종적으로 양산을 시작한 T-55에 달려있는 야간작전용 적외선 투시장치와 주포 안정장치는 도입되지 않았다. 중국은 한국전쟁 참전 보상격으로, 소련에게서 1955년에야 완성된 T-54A를 두고 라이센스 협정을 맺었기 때문에 이후 소련에서 개발한 기술은 라이센스 대상에서 빠졌던 것이다. 59식 전차의 원판인 [[T-54]]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그리고 [[냉전]]의 초창기에 나온 [[소련]]의 첫 [[MBT]]라는 데 의의가 있었다.[* 물론 개발 자체는 44년에 시작되어 2차대전 중에 프로토타입이 나와서 테스트도 했었다. 대전중에 프로토타입이 나오고 전후인 47년에 제식 선정되는 것은 센츄리온과 동일하다.] 소련군도 1947년부터 T-62가 등장하는 61년까지 상당히 오랜 기간동안 [[T-54]]/[[T-55]]를 최신 전차로 사용했지만 어쨌거나 이후엔 [[T-62]], [[T-64]], [[T-72]] 등을 차례차례 개발하여 꾸준히 기존 전차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성능을 향상시켜 기갑부대의 전투력을 강화하였다. 하지만 중국은 [[중소결렬]]로 소련과 기술교류가 단절되면서 소련의 업그레이드 기술은 도입하지 못하고, 여기에 [[문화대혁명]]으로 나라가 난장판이 된지라 기술개발이 지지부진, 결과적으로 59식 전차는 소련제 T-54/55보다도 성능이 별로라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이렇게 1960년대 이래 악화된 [[중소관계]]는 [[중국-소련 국경분쟁]]으로 무력충돌까지 간다. 결과적으로 중국 기갑부대는 2차대전 중에 개발하여 47년에 채용된 T-54에서 파생된 59식을 '''2000년대까지''' 주력 전차로 운용해야 했다.[* 2010년대 59식은 모두 2선으로 돌아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가격과 적절한 화력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가난한 제3세계 국가에 수천대가 판매되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사실 59식 전차의 문제점들은 전차를 상대할 때만 문제가 될 뿐인데, 냉전 이후 전차대 전차전은 그다지 일어나지 않았고[* 사막이 주무대인 중동에서나 벌어졌다.] 실제 전장에서의 대부분의 전투는 전차대 보병전이었다. 2차 대전이 끝난지 30-40년 지났어도 [[T-34-85]]나 [[M4 셔먼]] 전차가 잘만 활약하던 대부분의 전장에서는 미소의 최신형 전차에 비해서 많이 부족했던 59식의 성능도 충분한 전력이 되었다. 게다가 수입국들의 가상 적국들도 사실 대부분 59식과 비슷한 레벨이거나 T-34나 M4를 쓸 정도로 그 이하의 기갑전력을 갖추었기 때문에 미소의 최신형 전차에 비한 59식의 낮은 성능도 크게 문제가 되지도 않았다. 즉, 59식은 개별 성능면에서는 좋은 전차라고 보기 힘들지만 가난한 국가가 적은 비용으로 어느정도 규모있는 기갑전력을 구축하는데는 꽤 괜찮은 전차였고, 이들 나라에서는 꽤 쓸만한 전력이 되었다. [[이란]], [[이라크]], [[파키스탄]], [[북한]],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등 약 10여국에 원조되거나 판매되어 기갑전력을 갖추는데 이용되었다. [[파키스탄군]]의 경우 창군 당시에는 영국제와 미국제 장비를 주로 사용했지만 [[중인전쟁]]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의 밀월이 가속화되자 [[인도군]]의 소련제 [[MiG-21]]과 [[T-55]]에 맞서 [[J-7]]과 59식 전차 등을 도입해 사용했다. == 개발사 == ||
[[파일:Type_59_in_parde.jpg|width=100%]] || ||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주년 기념 열병식 등장 59식 전차''' || [[중일전쟁]] 당시 [[프랑스]]제 [[르노 FT]][* 원본인 르노 FT 외에 NC-31이라는 개량형도 사왔다.]와 [[1호 전차]], [[T-26]], [[빅커스 Mk. E]] B형을 사용한 [[국민혁명군]](국민당군)이나, [[국공내전]] 당시 [[일본군]]으로부터 노획한 [[치하]]를[* 노획했다기 보다는 패전후 일본이 놔두고 간 것을 주워 썼다고 할 수 있다. 중일전쟁 당시에도 중국군 상대로는 일본의 치하 전차도 무시무시한 화력을 발휘해 노획할 수 있을 상황이 거의 없었다.] 주력으로 써야했던 공산당군이나 제대로 된 전차는 가져본 적이 없었다.[* 버마 전선의 국민당군은 [[스튜어트 전차|M3A3 스튜어트]]를 가지고 있었고 이후에도 소수이긴 하나 셔먼 등의 전차를 도입하였다. ~~국공내전에서 전부 [[홍군]]에 기증하긴 했지만~~] 그러나 현대전에서 언제까지 보병만으로 싸워야 할 수 없는 노릇이었기에, 중국 역시 신형 전차의 도입이 절실히 필요했다. 그리고 당시 중국의 우방국 중 전차를 제공할 수 있는 나라는 [[소련]] 뿐이었다. 1950년 중소우호조약 체결 및 [[6.25 전쟁]] 참전에 대한 지원으로 [[소련]]은 중국에 자국에서 개발한 당시로선 최신형 전차인 [[T-54/55]]에 대한 기술지원 및 라이센스 허가를 내주었다. 중국은 소련으로부터 T-54A의 시제품 및 부품 및 설계도를 받고 소련의 기술인력이 중국에 파견되어 중국의 생산을 도왔다. 그리하여 1956년 [[내몽골]] [[바오터우]]에서 T-54A의 조립생산품이 처음으로 출고되었으며, 1959년에는 중국이 생산한 자체부품을 사용한 전차가 출고되었고 생산연도를 따서 59식 전차라는 제식명칭을 붙였다. 1960년부터는 [[중소결렬]]이 일어나면서 중국과 소련의 사이가 악화되었기 때문에 소련의 기술도입이 어려워진지라 자체개량을 거치면서 점점 원판 T-54와는 다른 독자적인 형태를 띠게 되었고 1980년대까지 여러 개량형과 파생형의 생산이 계속되었다. == 파생형 == === [[중국]] === ==== 장비 추가 파생형 ==== ===== 59-I식 ===== ||
[[파일:Type_59-I.webp|width=100%]]|| || '''59-I''' || '''"59-I식"'''은 기존의 59식 전차를 베이스로 하여,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부착하고 측면 HEAT탄 방호용 고무 스커트 장착, 자동 화재 소화 시스템 설치, 주포를 기존 59식 100mm에서 업그레이드된 69-II식 100mm 강선포로 개수하고 유압식 서보 시스템을 추가하는 등의 기타 부수적인 업그레이드가 진행된 사양이다. 형식 번호는 WZ-120A 또는 ZTZ59A. ZTZ59-I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주포 규격은 일반 59식과 동일하기에 전투력 차이는 나지 않는다. ==== 무장 교체 파생형 ==== ===== 59-II식 ===== ||
[[파일:external/5a6500e6137e0a9e06b652f1f72cb4bf1973bf2a4c1a28adc10055d8db18fe99.jpg|width=100%]]|| || '''59-II''' || '''"59-II식"'''은 기존의 100mm 59식 강선포 대신, 서방과의 관계 개선으로 인해 받은 105mm [[로열 오드넌스 L7]] 전차포의 현지 라이센스 생산형 주포 ZPL-81로 무장을 교체하고 적외선 야간 관측 장비를 추가한 파생형이다. 중량이 36.5톤으로 늘어났다. 형식 번호는 WZ-120B 또는 ZTZ59B. ZTZ59-II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 59-IIA식 ===== 59-II식의 추가 개선형이자 많은 서방제 부품을 국산화한 사양. 1985년 10월에 첫 시제차가 나왔고, 주포가 [[서멀 슬리브]]가 추가된 ZPL-81A로 바뀌었고 국산 사격통제장치와 2축 포신 안정기, 추가 복합장갑재 등이 추가되었다. 자동 소화 시스템도 업그레이드되어 연막탄을 쏘는 상황에서도 가동될 수 있게 되었다. ZTZ59-IIA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 현대화 개수형 ==== ===== 59-D1식 ===== 59식 계열의 현대화 개량형으로 폭발형 반응장갑과 컴퓨터 방식의 안정화된 신형 사격통제장비, 야간투시경, [[88식 전차]]에 적용된 구경장이 늘어난 신형 ZPL-83A 주포를 새롭게 장비한 개수형으로, [[이스라엘]]의 도움을 받아 개수를 진행하였다. 형식 번호는 WZ-120C. ZTZ59D1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 59-D식 ===== ||
[[파일:800px-Type_59D_tank_in_Military_Museum_of_the_Chinese_People's_Revolution.jpg|width=100%]]|| || '''59-D''' || '''"59-D식"'''은 59-D1를 한번 더 개수하여 62구경장으로 길이를 늘린 장포신 ZPL-94/94식 강선포로 주포를 교체했다. 주포 교체로 유효 사정거리가 2000m까지 늘어났고, 5500m 범위까지 발사 가능한 포발사 [[대전차미사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서멀 슬리브(열 차폐관)도 달 수 있다. 형식 번호는 WZ-120D. ZTZ59D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 59-G식 ===== ||
[[파일:Tanzanian-type_59G.jpg|width=100%]]|| || '''59-G''' || '''"59-G식"'''은 59식 전차에 [[96식 전차]]와 비슷한 신형 포탑과 [[125mm]] 활강포를 장착하고, 신형 반응장갑을 배치하고 구동계, 사통장치 등에 개량을 가해서 준 [[3세대 전차]] 급으로 개수한 사양으로, 현재 [[탄자니아]]군이 사용 중에 있다. ZTZ59G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 59-P식 ===== ||
[[파일:59P_tank.jpg|width=100%]]|| || '''59-P''' || '''"59-P식"'''은 중국에서 개발된 59식 전차의 개조 키트로, 기존의 59식 전차에 증가장갑을 부착하고 125mm 활강포를 무장으로 채택하였다. 2007 아부다비 병기 기술 전시회에서 처음 등장하였으며, 수출 전용으로만 제작될 예정이다. ===== QN-506 ===== ||
[[파일:QN-506.png |width=100%]]|| || '''QN-506''' || 59식 전차를 기반으로 만든 [[중장갑차]]. 러시아의 [[BMPT]]와 유사하다. 2018년 주하이 에어쇼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4발의 QN-502C 대전차미사일, 20발의 소형 QN-201 다목적 미사일, 4대의 S-570 자폭드론, 30mm 무인 기관포, 7.62mm 기총, 6발 유탄 발사기, 정찰 쿼드콥터 드론 등이 포함된다. ==== 비무장 개조 파생형 ==== ===== 64식 구난전차 ===== ||
[[파일:type64_962.jpg|width=100%]]|| || '''64式 坦克抢救牵引车''' || '''"64식 구난전차"''', 형식 명칭 WZ-652는 59식 전차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된 [[구난전차]]로, 73식 구난전차가 개발되기 이전까지 공백을 채울 구난전차가 필요하다는 요청 하에 617번 공장에서 생산되는 59식 중 소수의 개체를 포탑 대신 크레인 및 견인 장비를 장착하여 개발하였으며, 이후 73식 구난전차가 개발되며 퇴역하였다. ===== 73식 구난전차 ===== ||
[[파일:WZ-651.jpg|width=100%]]|| || '''73式 坦克抢救牵引车''' || '''"73식 구난전차"''', 형식 명칭 WZ-651은 59식 전차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된 구난전차로, 1965년 개발 착수 이후 1973년에 최종 개발 완료되었기에 이러한 명칭이 부여되었다. ==== 기술 기반 파생형 ==== ===== [[62식 전차]] ===== ||
[[파일:Military_Museum_of_the_Chinese_People's_Revolution_Type_62.jpg|width=100%]] || || '''62式 坦克'''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62식 전차)] ===== [[69식 전차]] ===== ||
[[파일:Type_69-II.jpg|width=100%]] || || '''69式 坦克'''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69식 전차)] ==== 병력수송차량 파생형 ==== ===== 59식 보병전차 ===== ||
[[파일:Type_59_APC.jpg|width=100%]] || || '''59式 步兵战车''' || '''"59식 보병전차"'''는 2017년 8월 16일 바오터우에서 개최한 기갑 장비 전시회에서 최초로 등장한 59식 전차의 중장갑차 개조 파생형이다. 주 무장은 30mm WA333T1B 포탑 및 73mm 홍지안-73D 대전차미사일을 탑재하였으며, 59식 전차의 본판인 T-54/55를 베이스로 개수한 이스라엘의 [[아크자리트]]나, 우크라이나의 BMM-55를 주로 참고하여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 [[북한]] === ==== 자주포 개수형 ==== ===== [[곡산포]] ===== ||
[[파일:곡산자주포1.jpg|width=100%]] || || '''M-1978 170mm 자주포 "곡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곡산포)] === [[미국]] === ==== 현대화 개수형 ==== ===== 59식 재규어 ===== ||
[[파일:Type-59-jaguar.webp|width=100%]]|| || '''Type 59 Jaguar''' || '''"59식 재규어"'''는 중국에서 미국과 합작 프로젝트로 진행한 59식 전차의 현대화 개수형으로, 개수된 개체의 테스트 결과 성공적이었기에 양산을 진행하려 했으나 [[천안문 사태]] 이후로 미중관계가 냉각되며 시제형만 개발된 후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 이후 120mm 활강포를 이용한 대전차자주포 개념은 [[89식 자행대전차포]]로 이어지게 된다. === [[파키스탄]] === ==== 현대화 개수형 ==== ===== 알자라르 ===== ||
[[파일:AZALA_1.jpg|width=100%]]|| || '''الضرار''' || '''"알자라르"'''는 파키스탄에서 59식 전차를 베이스로 하여 125mm 활강포로 무장을 변경 후, 증가장갑 부착 및 기타 각종 장치를 개량한 현대화 개수형이다. 도합 750량이 제작되었으며, 파키스탄 북서부 전쟁 당시 실전 투입되었다. === [[방글라데시]] === ==== 현대화 개수형 ==== ===== 두르조이 ===== ||
[[파일:Durjoy.jpg|width=100%]]|| || '''দুর্জয়''' || '''"두르조이"'''는 방글라데시에서 중국의 도움을 받아 기존에 소유하고 있던 59식 전차를 개량하여 WZ-120G형과 유사한 성능을 내도록 제작한 파생형이다. === [[이란]] === ==== 현대화 개수형 ==== ===== 샤피르-74 ===== ||
[[파일:SafirTank.jpg|width=100%]]|| || '''سفیر ۷۴''' || '''"샤피르-74"'''는 이란군 내에서 노후화된 59식 전차, [[T-54]], [[T-55]]를 베이스로 하여 개량한 현대화 개수형이다. 주 개량점은 무장으로, 기존의 100mm 강선포를 105mm M68 활강포 베이스의 신형 포로 교체하여 M735 날개안정분리철갑탄과, 바스티온 대전차미사일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추가로 여기에 증가장갑을 부착하여 원본 차량들보다 더욱 강력하게 개조되었다고 한다. 이름인 74식은 기존의 그레고리력 달력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태양력을 뜻한다. == 실전 == === [[냉전기]] === ==== [[인도-파키스탄 전쟁]] ==== =====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 ||
[[파일:Pakistani_Type-59_Tank_column_1965_war.jpg|width=100%]]|| ||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당시의 파키스탄 육군 소속 59식 전차''' || 59식 전차는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당시 파키스탄 육군 소속으로 데뷔전을 치렀으며, 도합 250량의 59식 전차가 동원되어 인도군의 [[T-55]]와 비자얀타 전차에 맞서 전투를 치렀다. =====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 ||
[[파일:3rd_indo_Pakistan_war_Type_59.jpg|width=100%]]|| ||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의 파키스탄 육군 소속 59식 전차''' ||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 파키스탄 육군 소속으로 다수의 59식 전차가 동원되어 전투를 치렀다. ==== [[베트남 전쟁]] ==== =====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 ||
[[파일:남베트남 최후의 날.jpg|width=100%]]|| || '''남베트남 대통령 관저를 돌파하는 북베트남 육군 소속 59식 전차'''[* 1975년 4월 30일에 촬영된 사진으로, [[베트남 전쟁]]의 마지막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미지로 남아있다. 이 때 대통령 관저에는 59식 전차 390호와 소련제 T-54B 전차 843, 844호가 들어왔는데, 843번차가 선두로 들어오고 있었으나 그만 퍼져버려 390번차에게 선두를 내어주게 되었다. 현재 390호와 843호를 재현한 차량이 독립궁에 보존되어 있다. 843호는 현재 하노이에 군박물관에 보존중에 있다.] || 1970년부터 소련이 원조한 원판 [[T-54]]와 [[T-34-85]] 등과 함께 [[베트남 인민군]]에 공여되었다. 베트남 인민군의 기갑부대는 아시아권에서 어느 정도 강력한 세력이었지만, 세계 최강국인 미국의 기갑부대와는 소프트스펙, 훈련 경과, 운용 실력 등의 차이로 고전하였다. 그래도 어느정도 미군의 기갑전력을 상대로 대등한 전과를 내는것에 성공하였는데, 그 비결인 즉슨 북베트남 기갑부대는 미군 기갑부대를 직접 대결하기보다는, 이들을 유인하는 전술을 썼고, 매복해 있던 북베트남군이나 베트콩 보병이 [[RPG-7]]과 같은 보병무기로 미군의 기갑부대를 공격하여 전과를 올리는 방식으로 전투를 치렀던 것이다. 미군이 철수한 이후에는 강력한 기갑전력이 상실된 남베트남은 북베트남이 공세를 감행하며 고전을 면치 못했고, 이에 주력으로 사용된 59식은 대활약을 했다. 결국 59식을 앞세운 북베트남군은 사이공의 대통령궁을 함락시켰고, 남베트남 최후의 대통령 [[두옹반민]]은 북베트남군에 무조건 항복하여 베트남 전쟁을 종결시키고 통일을 이룩하게 되었다. ====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 ||
[[파일:Dadn_3VW4AAxiBk.jpg|width=100%]] || || '''캄팔라에 진입한 탄자니아 육군 소속 59식 전차''' ||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당시, 기습 공격을 받았던 탄자니아 육군 측에서 주력 기갑차량으로 사용했다. 그에 맞서는 우간다의 경우, 그나마 있는 기갑전력이 기껏해야 [[M4A1|M4A1 76mm (W)]]가 전부였던 형국이라 결국 기갑전에서 압도적으로 패배하였으며, 이후 전쟁은 1979년 4월에 우간다 수도 캄팔라가 함락되며 탄자니아군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이 났다. ====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 ||
[[파일:3-3501-1546838266-4644-1559668367.jpg|width=100%]]|| ||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당시의 베트남 인민군 소속 59식 전차''' ||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당시 다수의 차량이 양 측에서 사용되었다. ==== [[중국-베트남 전쟁]] ==== ||
[[파일:ia931zu10hh41.webp|width=100%]]|| || '''중국-베트남 전쟁 당시 격파된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59식 전차와 이를 살피는 베트남 인민군 소속 병사''' || 1979년 발발한 [[중국-베트남 전쟁]]에서도 양 측에서 활약하였으며, 이 중 중국군 소속의 59식은 장갑 차량 300여대와 함께 투입되었으나 수 십대가 손실되었다. 사실 이것은 산악지형인 중국-베트남 접경지역의 지리적 불리함 때문에 베트남군의 매복공격의 제물이 되었기 때문으로, 결국 중국군은 형식적인 승리만을 취한 채로 철수하며 전쟁은 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 [[이란-이라크 전쟁]] ==== ||
[[파일:iran_iraq_war_T-59_iranian.jpg|width=100%]]||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란 육군 소속 59식 전차''' || [[이란-이라크 전쟁]]때 이란군과 이라크군이 모두 수입해 사용하였다. 이란군과 이라크군은 각각 [[치프틴 전차]] 와 [[T-72]]로 정예기갑부대를 운용했지만, 나머지 기갑부대를 양으로 채울 때 59식 전차를 T-54, T-55와 함께 사용하였다. ==== [[천안문 6.4 항쟁]] ==== ||
[[파일:attachment/cheonanmun_tank.jpg|width=100%]]|| || '''천안문 6.4 항쟁 당시의 탱크맨과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59식 전차''' || [[천안문 6.4 항쟁]]에도 시위대 진압을 위해 [[63식 장갑차]]와 함께 투입되었다. 이 당시 [[탱크맨]]이라 불리는 사나이가 막아선 전차도 이 전차다. ==== [[걸프 전쟁]] ==== ||
[[파일:f71217b1c8638e61a434fd15bf335cba--historical-photos-tanks.jpg|width=100%]] || || '''걸프 전쟁 당시 쿠웨이트에서 미군에 의해 격파된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 소속 59식 전차''' || 걸프 전쟁 당시 다수의 개체가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 소속으로 투입되었으나, [[M1 에이브람스]] 전차와 같이 급이 아예 다른 무기들을 만나는 바람에 활약하지 못하고 다국적군에 의해 격파되거나 노획되기 일쑤였다고 한다. 이 때 인민해방군 지도부는 자국산 전차가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모습을 보고 한계를 느껴 [[96식 전차]], [[99식 전차]] 등의 신병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 [[현대전]] === ==== [[1997년 알바니아 금융사기 사건|알바니아 내전]] ==== ||
[[파일:albanian civil war rebel type 59.jpg|width=100%]] || || '''알바니아 내전 당시의 알바니아 반군 소속 59식 전차''' || 알바니아 금융사기로 인해 발발한 알바니아 내전 당시에도 반군과 정부군 모두가 동원하였다. ==== [[코소보 전쟁]] ==== ===== [[https://en.wikipedia.org/wiki/Albania%E2%80%93Yugoslav_border_incident_(April_1999)|알바니아-유고슬라비아 국경 분쟁]] ===== ||
[[파일:Albanian_army_deploys_T-59_tanks_near_Kosovo_border,_May_1999_(Robert_Wright).jpg|width=100%]] || || '''알바니아-유고슬라비아 국경 분쟁 당시의 알바니아 육군 소속 59식 전차 "145번차"''' || 코소보 전쟁 중 벌어졌던 알바니아-유고슬라비아 국경 분쟁 당시 알바니아 육군 소속으로 투입되었다. ==== 파키스탄 북서부 전쟁 ==== ||
[[파일:cda88f5e9d19424176009008824bcb17.jpg|width=100%]]|| || '''파키스탄 북서부 전쟁 당시의 파키스탄 육군 소속 알자라르''' || 파키스탄 북서부 전쟁 당시 [[탈레반]]들을 소탕하기 위해 파키스탄 육군 소속으로 다수의 알자라르가 투입되어 전투를 치렀다. ==== [[2023년 4월 수단 쿠데타]] ==== ||
[[파일:2023_sudan_coup_Type_59D.jpg|width=100%]]|| || '''2023년 4월 수단 쿠데타 당시의 수단 육군 소속 알주바이르 II''' || 2023년 4월에 발생한 쿠데타에 수단 육군이 진압용으로 알주바이르 II를 투입했다. == 사용 국가 == 현재 중국에서는 1선급 장비에서 물러났지만, 아직도 많은 제3세계 국가에서는 1~2선급 전차로 사용되고 있다. === [[아시아]] === ==== [[동아시아]] ==== ===== [[중국]] ===== ||
[[파일:Military Museum of the Chinese Peoples Revolution Type 59.jpg|width=100%]] ||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59식 전차''' || 원조 운용국으로, 현재까지도 도합 2,360량을 운용 중에 있다. 원래 59식 전차는 2차대전 당시의 기술로 만들어진 [[T-54]] 초기형에 머무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여러 성능의 문제점을 보였고, 이 때문에 중국측도 새로운 전차 개발에 부심했다. 일단 중국은 1990년대까지는 세계 최빈국의 하나였기 때문에, 59식 전차를 어떻게든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쓰기로 의견이 모아졌고, 서방 세계로부터 받은 기술지원과 [[중국-소련 국경분쟁]] 당시 노획한 소련군의 [[T-62]] 전차의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베리에이션을 내놓았다. 이에 [[69/79식 전차]]가 개발되었고 이후, 중국은 59식 전차의 계열에서 벗어나는 [[88식 전차]]를 개발했고, 드디어 59식 전차와 오래 된 인연에 종지부를 찍었으면 좋겠지만 그러기에 80식 이후의 전차들은 중국 기준에서 너무 비쌌거나 생산량이 부족해서 거대한 [[인민해방군]]의 기갑부대를 모두 대체할 수 없었다. 이러한 사정 탓에, 전구제 개편이 이뤄진 2017년 이후 [[합성여단#s-2.2|중형합성여단]]의 화력지원차량, 즉 [[ZBD-2000#s-3.2|05식 전차]]나 스트라이커 MGS, [[16식 기동전투차]] 등의 포지션에 투입되고 있다. ===== [[북한]] ===== ||
[[파일:North_Korean_Type_59.png|width=100%]] || || '''평양 열병식 참가 조선인민군 육군 소속 59식 전차''' || 중국에게 도합 175량을 공여받았으며, 현재까지도 1선급의 장비로 운용 중에 있다. 특이사항으로, 공여받은 59식 전차의 [[DShK|54식 중기관총]]을 탈거하고, [[KPV|KPVK]] 중기관총으로 부무장을 교체하여 사용 중에 있다. ===== [[대한민국]] ===== ||
[[파일:Yongsan_war_memorial_59.jpg|width=100%]] || || '''전쟁기념관 소장 대한민국 육군 노획 베트남 인민군 육군 소속 59식 전차''' || [[베트남 전쟁]] 당시 [[남베트남|남베트남군]]이 노획 후, [[베트남 전쟁/한국군|파월 한국군]]에게 기증한 단차를 전쟁기념관에 야외 전시 중에 있다. ==== [[동남아시아]] ==== ===== [[미얀마]] ===== ||
[[파일:Myanmar_Army_Type-59M_tank.jpg|width=100%]]|| || '''미얀마 육군 소속 WZ-120C''' || 도합 160량 이상을 구매하여 운용 중에 있다. ===== [[베트남]] ===== ====== [[베트남 공화국]] ====== ||
[[파일:T-59_VC.jpg|width=100%]]|| || '''베트남 공화국 육군 산하 제20전차연대 노획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59식 전차''' || 베트남 전쟁 중 부활절 공세 당시에 1량을 노획하여 운용하였다.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
[[파일:Independence_Palace_Type_59.jpg|width=100%]]|| || '''독립궁 소장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59식 전차 "390번차" 재현 차량'''[* 남베트남 대통령궁을 최초로 돌파하여 진입한 전차로, 실제 차량은 다낭의 전차 박물관에서 전시중이다.] || 도합 350량을 베트남 전쟁 시기 중국으로부터 공여받아 현재까지 사용 중에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베트남 전쟁 종전 이후 얼마 안가 중월전쟁이 발발하며 서로 같은 59식끼리 포탄을 주고받기도 했다. ===== [[태국]] ===== ||
[[파일:thaitype59.jpg|width=100%]]|| || '''타이 왕립 육군 소속 59식 전차''' || 도합 158량을 구매하여 사용했으며,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다. ||
[[파일:external/news.tom.com/1281418057413_41908.jpg|width=100%]]|| || '''어초 목적으로 바다에 투하되는 59식 전차''' || 퇴역 후, 고철로 굴러다니는 59식 전차가 많다보니 태국 내에서는 물고기 산란을 위한 어초로도 활용한다고 한다. ===== [[캄보디아]] ===== ||
[[파일:cambodian_type_59.jpg|width=100%]]|| || '''훈련 중인 캄보디아 육군 소속 59식 전차''' || 민주 캄푸치아 시기, 도합 20량을 중국으로부터 공여받아 현재까지도 헌역으로 운용 중에 있다. ==== [[서아시아]] ==== ===== [[이라크]] ===== ||
[[파일:Type_59_main_battle_tank_china_640.jpg|width=100%]]|| ||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 소속 WZ-120A''' || 도합 1,500량을 중국으로부터 구매하여 운용하였으나 현재는 전량 폐기 및 퇴역처리를 밟았다. ===== [[이란]] ===== ||
[[파일:800px-T-59_MBT_pic-022.jpg|width=100%]]|| || '''개인 소장 이란 혁명 수비대 소속 59식 전차''' || 도합 220량을 중국으로부터 구매하여 이란-이라크 전쟁 시기 사용하였으며, 종전 후 1996년부터 잔존 개체 다수를 '''"샤피르-74"'''로 개량하여 현재까지 운용 중에 있다. ==== [[남아시아]] ==== ===== [[인도]] ===== ||
[[파일:Captured_T-59.jpg|width=100%]]|| ||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인도 육군 노획 파키스탄 육군 소속 59식 전차''' ||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 2량 이상을 노획하였다. ===== [[파키스탄]] ===== ||
[[파일:Pakistan_Type_59.jpg|width=100%]]|| || '''파키스탄 육군 소속 WZ-120A''' || 제2차 인도-파키스탄 국경분쟁 이후 중국과 긴밀한 밀월관계를 맺고 1,200량의 59식 전차를 공여받아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등에 투입하였다. 현재는 다수의 차량을 '''"알-자라르"'''로 개수하여 운용 중에 있다. ===== [[방글라데시]] ===== ||
[[파일:FOHq2LLaUAgRhm9.jpg|width=100%]]|| || '''방글라데시 육군 소속 두르조이''' || 도합 264량을 구매하여 운용하다, 2015년부터 중국에게 기술 지원을 받아 '''"두르조이"'''로 개수하여 계속 운용 중에 있다. === [[유럽]] === ==== [[남유럽]] ==== ===== [[알바니아]] ===== ||
[[파일:Albaninan_Tanku_T-59.jpg|width=100%]] || || '''알바니아 국군 박물관 소장 알바니아 육군 소속 59식 전차''' || 소련 및 바르샤바 동맹국들과의 관계가 단절된 이후, 중국과 손을 잡고 도합 721대를 중국으로부터 구매하여 냉전 시기 내내 운용하였다가 2005년 경에 퇴역하였다. ==== [[서유럽]] ==== ===== [[영국]] ===== ||
[[파일:Type_59_(7527876878).jpg|width=100%]] ||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105mm 로열 오드넌스 L7 탑재 59식 전차''' || 1량의 59식 전차를 파키스탄으로부터 구매하여 자국산 [[로열 오드넌스 L7]] 포로 무장을 교체하여 WZ-120B와 동일하게 개수한 뒤 테스트를 진행 후, 현재 보빙턴 전차 박물관에 소장 중에 있다. === [[아프리카]] === ==== [[동아프리카]] ==== ===== [[탄자니아]] ===== ||
[[파일:Type_59G_main_battle_tank_Tanzania_Tanzanian_army_defence_forces_640.jpg|width=100%]] || || '''열병식 참가 탄자니아 육군 소속 WZ-120G''' || 도합 30대를 구매하였으며, 현재 전량 WZ-120G로 개수를 마치고 운용 중에 있다. ==== [[북아프리카]] ==== ===== [[수단]] ===== ||
[[파일:Al-Zubair_tank_II.jpg|width=100%]] || || '''수단 육군 소속 알주바이르 II''' || 이란으로부터 샤피르-74 여러 대를 공여받아 사용하였으며, 이를 자국 공장에서 생산해 '''"알주바이르 I"'''라는 명칭으로 운용하다, 현재는 중국으로부터 WZ-120C의 라이센스 권리를 얻고 '''"알주바이르 II"'''라는 명칭으로 생산하여 사용 중에 있다. ==== [[중앙아프리카]] ==== ===== [[차드]] ===== ||
[[파일:type-59g-main-battle-tank.webp|width=100%]] || || '''차드 육군 소속 WZ-120G''' || 중국으로부터 30대 이상의 59-G식 전차를 구매하여 운용 중에 있다. === [[오세아니아]] === ==== [[오스트랄라시아]] ==== ===== [[호주]] ===== ||
[[파일:Puckapunyal-formerNVnamese-Type-59-MBT.jpg|width=100%]] || || '''왕립 호주 기갑군 박물관 소장 호주 육군 노획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59식 전차 "921번차"''' || 남베트남군이 북베트남군으로부터 노획 후, 파월 호주군에게 기증한 단차를 현재 왕립 호주 기갑군 박물관에 소장 중에 있다. == 모형화 == === [[프라모델]] === ==== 미니아트 ==== ||
[[파일:37026_art.jpg|width=100%]] || || '''CHINESE MEDIUM TANK TYPE 59 EARLY PROD''' || 미니아트에서 초기형 1종을 출시하였다. ==== [[트럼페터]] ==== ||
[[파일:Trumpeter-00303-1-35-Scale-Type-59-Chinese-Medium-Tank-Assembly-Model-Building-Kits-Hobby-Plastic.png_.png|width=100%]] || || '''TYPE 59 CHINESE MEDIUM TANK''' || 후기형 및 각종 바리에이션의 키트를 내놓았다. ==== [[하비보스]] ==== ||
[[파일:Hobbyboss-1-35-84539-PLA-Type-59-Early-Production-model-kit.jpg_Q90.jpg_.webp|width=100%]] || || '''PLA 59 Medium Tank-early''' || 하비보스에서 초기형과 레이져 거리측정기 장비형, 반응장갑 장비형을 내놓았다. == 미디어 == ||
[[파일:cam062009_mullah_tan_1.jpg|width=100%]] || || '''이란 풍자 만평에 등장한 59식 전차''' || [[천안문 6.4 항쟁]]에서 진압용으로 투입되었다는 사실과 '''[[탱크맨]]'''의 강렬한 임팩트 때문에 탱크맨을 오마쥬한 정치 풍자나 만평들에도 탱크맨이 막아선 59식 전차들이 그대로 패러디되어 자주 등장하기도 한다.[* 해당 만평의 풍자 대상인 이란은 실제로 59식 전차를 보유하고 있다.] 천안문 사태처럼 권력이나 집단의 '''탄압'''에 대한 비판에서 주로 쓰이는것을 볼 수 있다. === 영화 === ==== [[전랑 2]] ==== ||
[[파일:Wolf_Warrior_2_ZTZ59D1.jpg|width=100%]] || || '''전랑 2에 등장한 WZ-120D''' || 작중 D형이 등장한다. === 게임 === ==== [[월드 오브 탱크]] ==== ||
[[파일:external/wiki.gcdn.co/Type_59_scr_3.jpg|width=100%]] || || '''59식 전차''' || || [[파일:external/wiki.gcdn.co/WZ-120_scr_2.jpg|width=100%]] || || '''WZ-120''' || || [[파일:59-Patton-min.png|width=100%]] || || '''59-패튼''' || 중국 8단계 프리미엄 중형전차로 등장. 일명 '''호구식'''. 원본은 [[T-54]]의 복제 형태로 게임 내에서도 [[월탱 소련 중형전차|T-54]]의 장점과 단점을 고스란히 물려받은 전차이다. 북미서버에서 처음 이 전차의 출시 당시에 7,500골드[* 정확히는 기프트샵에서 먼저 팔았다.]라는 저렴한 가격에 굉장한 고성능의 프리미엄 전차였는데 이것 때문에 엄청난 수의 유저들이 이 전차를 구매하여 한 때 공방의 밸런스가 엄청나게 깨져버리는 문제를 발생 시켰다. 결국엔 이 전차를 절판시켜버리고 MM값을 수정했다. 2012년 8월 이후에 이벤트 추첨을 제외한 그 어느 방법으로도 이 전차를 공개 판매하지 않는다. 자세한건 [[월드 오브 탱크/중국 테크 트리/프리미엄 전차]] 참조. 그리고 중국 트리가 정식으로 생기면서 9단계 중형전차로 따로 나왔다. 이쪽은 WZ-120. [[월드 오브 탱크/중국 테크 트리/중형전차]] 참조. 59식 전차에 황금도색을 하고 암시장에 등장한 전차도 존재한다. 본래 중국서버 한정용 전차였지만, 암시장을 통해 전서버에 풀렸다. 다만 쓸데없이 비싸고 MM제한이 아니라서 살 가치는 없다는 평이 압도적이다. 이 밖에도 창작 전차 중 M48 패튼의 포탑을 59식 전차에 얹은 59-패튼이라는 전차도 8단계 프리미엄으로 등장한다. =====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 ||
[[파일:Type59 leftside.jpg|width=100%]] || || '''Type 59''' || 본편과 같이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에서도 등장한다. ==== [[아머드 워페어]] ==== ||
[[파일:Armored_Warfare_Type_59.jpg|width=100%]] || || '''아머드 워페어에 등장한 59식 전차''' || 중국 트리로 59식 전차가 등장한다. 이밖에도 중국 트리 런칭 이전에, 3티어 프리미엄 전차로 Type 59 Legend가 있었는데, 2015년 연말 이벤트로 접속하는 모든 유저에게 지급했다. 밸런스 2.0 이후 더 강력한 T-55가 2티어로 변경되었는데 약해빠진 59식이 3티어를 차지하는 것은 벨런스가 맞지 않았기에 Type 59-IIA가 되면서 105mm L7 주포를 달게 되었다. 69식과 79식은 각각 2, 3티어 MBT로 등장한다. ==== [[강철의 왈츠]] ==== ||
[[파일:MW_WZ120.png|width=100%]] || || '''구안린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안린나)] ==== [[워게임: 레드 드래곤]] ==== ||
[[파일:2014-04-27_00012.webp|width=100%]] || || '''ZTZ-59-I''' || ||[[파일:2014-04-27_00013.webp|width=100%]] || || '''ZTZ-59-II''' || ||[[파일:WRD_Ingame_ZTZ-59-IIA.webp|width=100%]] || || '''ZTZ-59-IIA''' || ||[[파일:WRD_Ingame_PTZ-59.webp|width=100%]] || || '''PTZ-59''' || [[워게임: 레드 드래곤/중국|중국 측의 스팸 전차 트리]]로 등장한다. 성능은 모든 대전차 화기(무반동포 포함)을 얻어 맞으면 춘절 폭죽 마냥 뻥뻥 터지면서 산화되는 점이 포인트. 그냥 한번 뽑을 때 고기방패로 밀어넣고 아래 하이엔드 전차들이 딜링을 하든, 차량 탭에 있는 PTZ-89가 열심히 뒤에서 AP 21짜리 주포를 쓸때 동안 열심히 적군의 대전차 화기, 대전차 미사일,대기갑 집속탄을 대신 얻어 맞아 주면서 포인트로 산화하면 제 할일은 다한 셈.(...) 한 팩에 20~30대가 들어가 양적 주력으로 밀어 붙일려면 정말로 적들은 '''아까 열심히 잡았는데 또 왔어?''' 할 정도로 경악한다. ==== [[워 썬더]] ==== ||
[[파일:GarageImage_Type_59.jpg|width=100%]] || || '''59식 전차''' || || [[파일:800px-GarageImage_ZTZ59A.jpg|width=100%]] || || '''ZTZ59A''' || || [[파일:800px-GarageImage_ZTZ59D1.jpg|width=100%]] || || '''ZTZ59D1''' || 원본인 59식 전차와 1차 개량형인 ZTZ59A는 아케이드, 리얼리스틱 B.R 7.7, 시뮬레이터 8.0으로 등장한다. 59식 전차와 ZTZ59A는 소련 T-54와 다르게 같은 B.R대임에도 수직 안정기가 달려있어 기동샷 및 정차사격에 매우 강한것이 특징이며, 덕분에 영국, 스웨덴, 이스라엘 트리의 센츄리온 Mk.3와 같이 타국 1세대 전차들과 비교하면 매우 성능이 좋은 OP 전차로 평가받는다. 또한, 59식의 3차 개량형인 ZTZ59D1은 전체 모드 B.R 8.7로 등장하며, 포수 열상을 장비하고, 서방제 L7 포를 장착하고 2축 안정기를 사용하는 대신 포탑 회전속도가 느리고, 1~2세대 MBT 특유의 약점인 전방 우측탄약고의 장갑부실로 인해 생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지만 소프트스펙이 2, 3세대 MBT들과 비교해도 밀리지 않음으로 최전선에 나가 싸우기보단 2선이나 혹은 우회를 통해 적들의 허를 찌르는 것이 가장 좋은 운용법이라 평가된다. 2021년 10월 7일 [[유튜브]] 공식 계정에 업로드한 [[https://youtu.be/5WV4FNCSX88|중국 인민해방군 주력전차 소개 영상]]에도 1분 50초경 등장하는데 고가도로 위에서 3대가 포를 위로 치켜들고 이동하는 모습이 마치 [[탱크맨]]을 연상케 하였기에 잠시 화제가 일기도 하였다. ====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C&C 제너럴스]] ==== ||
[[파일:Generals_Battlemaster_Tank.webp|width=100%]] || || '''배틀마스터 전차''' || 작중 중국군 기본 전차인 [[배틀마스터]]의 모티브가 되었다. ==== [[아머 블리츠]] ==== ||
[[파일:C2VO6HOVIAA8Tpy.jpg|width=100%]] || || '''Type 59 "메이링"''' || 중전차로 등장하며 전차명은 Type 59, 탱크 소녀명은 메이링이다. == 참고문헌 == * [[https://en.wikipedia.org/wiki/Type_59_tank|위키피디아 영문판 59식 전차 문서]] * [[https://zh.wikipedia.org/wiki/59%E5%BC%8F%E5%9D%A6%E5%85%8B|위키피디아 중문판 59식 전차 문서]] * [[https://en.wikipedia.org/wiki/Al-Zarrar_tank|위키피디아 영문판 알자라 탱크 문서]] * [[https://en.wikipedia.org/wiki/Type_72Z|위키피디아 영문판 74식 샤피르 문서]] * [[https://www.tanks-encyclopedia.com/coldwar/China/type-59-medium-tank.php|Tanks Encyclopedia 59식 전차 문서]] * [[https://www.tanks-encyclopedia.com/modern/Iran/Safir-74.php|Tanks Encyclopedia 74식 샤피르 문서]] == 둘러보기 == [include(틀:베트남전/월맹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베트남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북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한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영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호주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란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인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방글라데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스리랑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알바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캄보디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차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짐바브웨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콩고민주공화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콩고 공화국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1세대 전차]][[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중국군/기갑차량]][[분류:인도군/기갑차량]][[분류:조선인민군/장비]][[분류:이란군/장비]][[분류:T-54]][[분류:1959년 출시]]